짝짓기 할지 안할지 결정하는 '세포 속 화학방정식' 확인
'한다' 효소와 '안 한다' 효소 싸우다 어느 한쪽으로 급히 기울어


사랑의 영원한 수수께끼가 하나 있다. 왜 어떤 사람에게는 끌리고, 어떤 사람에게는 전혀 마음이 가지 않느냐 하는 수수께끼다.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마르셀 푸르스트의 소설에서도 주인공 남자가 어떤 여자에 대해 '이성적으로' 철저히 생각해 본 끝에 "나는 이 여자를 사랑하지 않아"라고 결정을 내리고 여자를 떠나보내지만, 여자가 없어지고 나니 그때야 비로소 그 여자가 자신의 진정한 사랑이란 사실을 '몸으로' 느끼고 다시 찾아헤매는 내용이 나온다고 한다. 

이런 게 바로 사랑의 수수께끼다. 아무리 머리를 굴려봐야 머리로는 해결할 수 없는 '사랑의 화학(chemistry of love)'이기도 하다. 이 화학방정식을 푸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랑할지 말지 결정은 마음-이성-두뇌가 아니라, 몸 속의 세포가 한다는 연구 결과다. 세계적 과학지 ‘네이처(Nature)’ 최근호에 발표된 내용이다. 


이성 나타나면 "좋다" 효소와 "아니다" 효소 경쟁하기 시작

캐나다 몬트리올 대학의 스티븐 미치닉 교수 팀은 세포 속 분자활동에 대한 관찰을 통해 ‘짝짓기 할 만한 이성이 나타나면 세포에 불꽃이 켜지는’ 현상을 관찰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의 관찰에 따르면 이성이 접근할 때 이성이 내뿜는 ‘사랑의 화학신호 물질’ 페로몬에 따라 인체 세포 내의 두 효소가 싸움을 시작한다.

한 효소는 “괜찮은데”라며 짝짓기를 부추기고, 나머지 한 효소는 “아냐, 내 짝이 아냐”라며 짝짓기를 회피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 두 효소는 Ste5라고 이름 붙여진 단백질에 영향을 미친다.

이런 과정이 축적돼 어느 한 순간 한 쪽 편 효소가 승리하면 바로 몸 전체가 반응하게 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세포의 이런 작용을 이스트 세포의 작용에 근거해 관찰했다고 밝혔다. 빵을 부풀리는 데 사용되는 이스트는 아주 간단한 세포지만 다음 행동을 결정할 때 두 효소가 서로 경쟁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이 과정은 수학적 정확성을 갖고 작동된다. 남자든 여자든, 눈 앞에 나타난 이성이 '짝짓기 할만한 바람직한 특징'을 갖춘 것으로 판단되면 바로 세포에 불이 켜지면서 불꽃이 튀기 시작한다는 것이 연구진의 결론이다.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바뀌는 과정 연구에도 기여할 전망

미치닉 교수는 “이성에 대한 끌림이 세포 차원에서 결정된다는 사실은 매우 놀라운 발견”이라며 “암컷 공작이 수컷 공작의 꼬리를 보고 짝짓기를 할지 말지를 순식간에 결정한다는 사실을 150년 전 찰스 다윈이 발견했는데 우리는 그 과정을 화학적으로 확인했다”고 말했다.

세포 속 효소의 이러한 역할은 앞으로 암 연구 등에도 큰 기여를 할 전망이다. 세포가 분열하면서 각기 다른 신체 조직으로 달라지는 방식 역시 이 같은 ‘세포 속 화학작용’에 따라 이뤄지며, 이런 화학작용에 문제가 생기면서 정상 세포가 암세포로 마구 변하기 때문이다.

이런 연구 결과에서 얻을 수 있는 결론은 간단하다. 이성을 선택할 때 잔머리를 굴리지 말라는 것이다. 유전적으로, 본능적으로 나에게 딱 맞는 이성이 나타나면, 머리로 생각할 것도 없이 바로 몸이 반응한다는 것이다.

"이 사람이 내 사람일까"를 머리로, 스펙으로 아무리 따져 봐야 소용 없고 몸이 먼저 알아서 반응한다니, 배우자 결정에서 스펙만을 따지는 요즘 한국인의 풍토는 정말로 어리석은 짓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책 읽는 북손탐의 재밌는 동영상들>





Posted by
,

미녀 앞에선 남자, 자기도 모르게 위험 무릅쓰기 때문

흔히 '미인은 명이 짧다(미인박명)'고 하지만, 그건 옛날 얘기고 요즘은 '미인 곁 박명'이라고 바꿔야 할 것 같다. 미인 근처의 남자 수명이 짧아지기 쉽다는 실험 결과가 발표됐기 때문이다.

미인이 보고 있으면 남자는 더욱 모험적이 되면서 그녀에게 인상을 남기려 자신이 해를 입을 수 있는 위험한 행동을 불사한다는 것이다.

호주 퀸즐랜드대학의 리처드 로네이, 윌리엄 반 히플 교수 팀은 스케이트보드 묘기를 부리는 젊은 남자(평균 연령 22세) 96명을 상대로, 관객이 전원 남성일 때와, 관객 중에 절세 미녀가 있을 때 이들의 묘기 양상과 몸속 남성호르몬(테스토스테론)의 양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조사했다.


'미녀가 보고 있다'면 크게 달라지는 남자의 행동

관객 역할을 한 미녀는 남자 20명이 객관적 평가를 해 미모가 가장 뛰어난 여성으로 골랐다. 선수들은 남자만으로 구성된 관객 앞에서 한 번, 그리고 미녀가 보는 상태에서 한 번 각각 묘기를 부렸다. 묘기 직후에는 침 샘플이 채취돼 혈액 중의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측정됐다.

남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은 성적 관심-흥분, 성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이 호르몬 수치가 높을수록 수컷은 더 경쟁심이 세지면서 위험한 행동을 무릅쓴다는 점이 사람과 동물 실험에서 밝혀져 있다.

실험 결과, 미녀가 보고 있을 때 선수들은 잘못하면 얼굴을 바닥에 부딪치면서 떨어질 수도 있는 위험한 묘기에 더 많이 도전했으며, 테스토스테론 수치도 훨씬 높아져 있었다.

연구진은 “수컷은 위험을 무릅쓰고라도 위험한 행동을 성공시키면 다른 경쟁자 수컷들에게 겁을 줄 수 있고, 바람직한 암컷의 감탄을 자아내 더 큰 번식 성공을 누릴 수 있게 된다"며 "바람직한 암컷이 쳐다보고 있을 때 수컷은 더욱 모험적이 된다는 가설이 증명됐다”고 밝혔다.
 


미녀 앞에서 달라지는 남자의 행동은 순식간-무의식적

남자의 이러한 행동은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며, 남자들 사이의 싸움이나 교통사고처럼 몇 분의 1초라는 극히 짧은 순간에 결정을 내려야 하는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요즘 인기 최고인 ‘지붕 뚫고 하이킥’의 미녀 배우 신세경 같은 여자가 쳐다보고 있을 때 남자는 가장 겁없는 상태가 된다는 사실은, 이 실험 말고도, 찻길을 무단횡단할 때 여자가 보고 있느냐 아니냐에 따라 남자들의 위험 행동 정도가 달라진다는 다른 실험에서도 밝혀진  바 있다. '미인박명'이 아니라 '미인 옆 박명'이란 사실을 남자들이 알아두어야 하는 이유다.

퀸즐랜드대학의 실험 결과는 학술지 ‘사회심리학과 성격과학(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최신호에 소개됐다. 


<책 읽는 북손탐의 재밌는 동영상들>






Posted by
,
1. 긴 생머리-큰 가슴 인기있는 이유
2. 사람은 원래 일부다처제 동물
3. 일부다처제 되면 남자가 행복?
4. 이슬람 '자살폭탄 테러'의 진짜 원동력
5. 아들 낳으면 이혼율 낮아지는 이유
6. 미남-미녀 부부는 딸 많이 낳는다
7. 천재나 범인이나 남자는 똑같다
8. 젊은 여자 가진 남자는 중년위기 없다
9. 정치인들 왜 이상한 짓? 그러려고 됐으니까
10. 남자는 성차별 안하기 때문에 성희롱


남자의 범죄-창의성 모두
사춘기 직후 급격히 높아졌다가
첫 아기 생기면 급속히 시들시들

여자 눈에 띠어 "Yes" 듣기 위해 
창의성이든 범죄든 꽃 피우는 것.
남자는 여자 위해 문명 만들고 파괴한다.



나이-범죄 곡선과, 나이-천재성 곡선은 똑 같아

남자란 동물은 일생 동안 출렁거리는 물결처럼 살아갑니다.

10대와 20대 때 남자의 사망률은 여자의 3-4배나 되며, 중년 때 약간 안정됐다가 노년 때는 여자보다 평균 10년 정도 먼저 세상을 떠나죠.

범죄율도 10대, 20대 때 엄청나게 올라갔다가 30대나 돼야 가라 앉습니다. 

비슷하게 출렁거리는 곡선이 또 하나 있습니다. 바로 나이-천재성 곡선입니다. 노래를 만들고 글 쓰고 그림 그리는 창의성 역시 사춘기 이후 수직 상승했다가 결혼하거나 첫 아기를 낳은 뒤 갑자기 사라지는 경우가 많죠.

나이-범죄 곡선과, 나이-천재성 곡선이 똑같은 그래프를 그리는 게 남자입니다. 여자에게선 이런 곡선이 발견되지 않죠. 평생 큰 출렁거림 없이 사는 게 여자입니다.

이런 곡선을 근거로 가나자와 교수는 '폴 매카트니, 빌 게이츠 같은 천재도 근본은 범죄자와 마찬가지'라고 표현합니다. 

남자는 젊어서는 불꽃이 튀는 듯 뭔가를 만들고 창작 또는 범행을 하지만 결혼해 첫 아기가 태어나면 물이라도 끼얹어져진 듯 불꽃이 바로 파삭 꺼져 버린다는 거죠.

다른 수컷과 무한경쟁 해야 할 때 창작-범죄율도 타올라 

이런 양상을 그는 

"인간이 살던 원시 환경에서 10대 후반 ~ 20대 초반은 또래 남자를 물리치고 암컷으로부터 '좋아'라는 대답을 들어 번식을 해야 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남자가 하는 모든 행동은 결국 여자에 맞춰져 있으며, 여자로부터 "그래, 좋아"라는 대답을 듣기 위해 남자는 전쟁을 일으켜 공을 세우고자 하며, 노래를 만들고, 책을 쓰고, 그림을 그리고, 과학 실험을 하며, 밴드를 만들고, 새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만든다는 것이죠. 

결국 남자가 하는 모든 일을 여자의 Yes를 듣기 위해 존재한다는 거죠.

예술의 목적은 아름다움? 아냐, 여자 눈길 잡아 당기기 위한 거야

예술을 고상한 행위로 해석하는 게 전통적 해석입니다. 그러나 진화심리학에서 보는 예술 활동은 분명한 목적이 있습니다. '여자의 눈에 띄기 위해'서라는 거죠.

노래 잘 만드는 폴 매카트니, 소프트웨어 천재 빌 게이츠는 이런 능력으로 일찌감치 여자를 차지할 수 있었지만 

이런 능력이 없는 젊은 남자는 폭력, 범죄를 동원하더라도 여자 눈에 띄려 한다는 것이죠. 유전자 남기기 경쟁에 져서 여자를 차지 못하고 죽는 것보다는 뭔 짓이든 해서, 그야말로 죽기 아니면 까무러치기로, 실낱 같은 희망이라도 노려야 하기 폭력, 범죄에 의존한다는 겁니다.

수컷 사이의 성 경쟁이 가장 치열할 때인 10-20대 때 남자의 범죄율이 마차 창작 곡선처럼 하늘 높이 치솟는 이유라는 겁니다.

여자 들어앉히고 첫 아기 낳는 순간, 남자의 창작열 바람 빠져

창작 또는 범죄의 목적이 여자를 차지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일단 목적을 이루면, 즉 결혼을 하고 첫 아기까지 태어나면, 그야말로 남자의 피 끓는 듯한 창작 또는 범죄욕은 풍선에 바람 빠지듯 사라지기 쉽다는 것이죠.

이미 번식 목적(즉, 이 세상에 태어난 목적)을 이뤘기 때문에 더 이상 모험할 필요가 없으며, 모험할 에너지가 있으면 이미 가진 걸 지키는 게 낫다는 거죠.

과학자들에서도 이런 현상이 나타나 "결혼은 과학의 적"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첫 아기까지 생기면 남자는 어렵고 위험한 과학 실험을 열심히 할 필요를 느끼지 않게 된다는 것입니다.


오나시스 "여자가 돈에 관심 안 가지면 세상 모든 돈은 무의미"


남자들은 돈을 더 벌기 위해 그야말로 목숨까지 걸죠. 그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세계 최고 갑부가 한 말을 들어보면 그 이유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세계적 선박왕이며 존 F. 케네디 미국 대통령의 미망인 재클린 케네디를 아내로 맞았던 오나시스는

"만약 여자가 돈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면, 그 순간 이 세상의 모든 돈은 아무 의미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여자들이 돈 많은 남자를 특별히 더 좋아하지 않고, 남자를 선택하는 기준이 돈-능력이 아니라면 과연 남자는 돈을 벌기 위해 지금처럼 피를 튀길까요, 아닐까요. 답은 분명합니다.


남자가 모든 못된 짓 하도록 부추기는 것은 여자들

남자들은 스스로가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원하는 목표를 쫓아서 산다고 생각하죠. 그러나 그 목표, 돈이면 돈, 권력-지위는 바로 여자가 좋아하는 것들입니다.

결국 현재의 남자는 여자가 만들었다 할 수 있고, 여자의 태도가 바뀌는 순간, 남자도 바뀌게 될 테지만, 여자가 남자를 선택하는 기준은 수십만 년 전이나 지금이나 거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오늘도 남자들은 여자의 "Yes"를 듣기 위해 피튀기는 경쟁을 하고 있다는 소리입니다. 

<책 읽는 북손탐의 '피가 되고 살이 되는' 재밌는 동영상>








Post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