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는
사냥했기에 낯선 두려워하지 않게

여자는 채집했기에 낯선 피하도록 진화


사람이 벌레를 무서워한다는 것은 참 웃기는 현상이죠. 벌레 중에는 벌처럼 무서운 것도 있지만 대개 사람에게 아무 해도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사람들은 벌레를 기겁을 하고 무서워하죠. 특히 여자들은.

저는 예전에 아들 하고 낚시를 하러 갔다가 제 아들이 벌을 피하다 계곡 바위에서 미끄러져 머리가 깨질 뻔 하는 광경을 목격했죠. 낚시를 하다 뒤돌아보니 아들이 벌을 피하느라 몸을 틀다 미끄러지면서 광대뼈를 바위에 박는 것이었습니다. 매정한 아빠는 호통을 쳤죠.

"벌에 쏘여 봐야 아픈 정도인데 넌 그것 때문에 죽을 뻔 하지 않았나"고. 매정한 아빠죠. 아들 걱정부터 했어야 하는데.

어쨌든 벌레에 대한 이런 감정들은 사람 약 오르게 하는 게 많죠. 그런데 왜 사람이, 특히 여자가 벌레를 무서워하는지를 밝힌 연구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끄네요.

거미에 대한 두려움, 여아가 남아의 4배

미국 카네기 멜론 대학의 데이비드 래키슨 교수가 연구는 11개월 된 아기들, 즉 아직 말도 잘 못하고 세상 물정도 모르는 아기들을 대상으로 했답니다.

연구진은 우선 남녀 아기 10명에게 '거미 + 무서운 얼굴'이 그려진 그림을 보여 줬답니다. 거미를 본 적이 없는 아기들에게 "거미는 무서운 것"이란 인식을 심어 준 것이죠.

이어 실험진은 '거미 + 행복한 얼굴' 그림을 보여 줘 "거미가 꼭 무섭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시키고, 마지막으로 '거미 + 꽃' 그림을 보여 줬답니다. 거미에 대해 무섭게도 하고 안 무섭게도 한 뒤에 아기들이 꽃이라는 중성적 그림과 함께 있는 거미를 얼마나 많이 쳐다보는지를 본 것이지요.

결과는 남자 아기들은 거미와 꽃을 비슷하게 봤답니다. 거미에 특별히 관심을 가진 게 아니고, 거미를 무섭다고 생각한 것도 아니지요.

그러나 꼬마 아가씨들은 달랐습니다. 거미를 남자 아기들보다 4배나 더 오래 쳐다봤다는 것이죠. 어린이들이 오래 쳐다 본다는 것은 그만큼 신경을 많이 쓰는 것이고 여기서는 무서워하는 것으로 연구진은 해석했습니다.

여자 아기들이 이처럼 거미를 무서워하는 이유에 대해 연구진은 진화론적 해석을 제시했습니다.

원시시대 남녀의 다른 생활방식이 차이 만들어

아직 농사를 짓기 전, 여자는 과일-나무뿌리 등을 모으고 남자들은 사냥을 해서 서 먹을 것을 마련하던 단계에서 벌레를 여자들은 더 무서워하고 남자들은 덜 무서워하게 됐다는 것이죠.

여자들의 채집 활동은 먹을 것의 80%를 조달할 정도로 더욱 중요한 음식 마련 활동이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채집 활동이라는 게, 현대의 원시적 생활을 하는 부족을 봐도 알지만, 낯선 땅을 헤매고 다니는 게 아닙니다. 알고 있는 숲의 알고 있는 자리에 가서 알고 있는 품목을 따오는 것이죠.

그래서 채집의 성과는 노력에 비례합니다. 게으름 피우지 않고 열심히, 더 오래 일하는 사람이 더 많은 먹이를 캐거나 주어 집으로 돌아올 수 있는 것이죠. 반면 사냥은 그렇지 않습니다. 요즘 말로 하면 복불복이죠.

어쨌든 남자는 낯선 곳을 돌아다니며 복걸복으로 사냥해야 했기 때문에 겁을 먹으면 안 되기 때문에 더 과감해지도록 진화했고, 벌레를 덜 무서워하게 됐다는 것이지요.

반대로 여자는 아는 숲의 아는 자리에 가서 채집 활동을 했기 때문에 낯설고 위험해 보이는 벌레 같은 대상에 대해 호기심을 갖고 알아볼 필요가 없도록, 그래서 무서워하게 진화했다는 설명입니다.

수렵-채집 사회의 남녀 특징을 이유로 남자는 길을 잘 찾고(사냥하러 마구 돌아다니고 집으로 찾아와야 했으므로) 여자는 지형지물이 없으면 길을 못 찾는다(정해진 채집 장소로 가는 데는 지형지물만 익히면 됐으므로)고도 하죠.

"공포를 더 많이 느낄 뿐 공포를 타고나는 것은 아냐"

이번 연구에서는 또한 거미에 대한 두려움이 '타고나는 것'은 아니란 점도 증명됐습니다. 흔히 사람은 뱀이나 거미 같은 것에 대한 공포를 타고나는 것으로, 즉 태어나자마자 뱀을 본 아기는 기겁을 하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입니다.

이런 실험 결과는 침팬지 실험에서도 드러났죠. 갓난 침팬지는 뱀에 대한 공포가 없다는 것입니다. 다만 크면서 어른들이 뱀을 무서워하는 모습을 보면서 "저건 무서운 동물이구나"라는 걸 알게 된답니다.

이번 실험을 한 래키슨 교수는 "태어나면서 공포를 갖고 태어난다는 것은 무의미하다. 기어 다니지도 못하는 아기가 뱀에 대한 공포를 가져봐야 할 수 있는 일이 아무 것도 없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니 거미나 뱀에 대한 인간의 공포가 "타고나는 것"이라고 함부로 말해선 안 될 것 같습니다.

거미에 대한 공포심에는 진화적 배경이 있어 남녀 차이가 나지만 최근에 등장한 위험에 대해서는 남녀 차이가 나지 않는다고도 연구진은 밝혔네요.

비행기를 타는 걸 무서워하는 비행 공포증, 주사 맞는 걸 무서워하는 주사 공포증에서는 남녀 아기들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사람은, 특히 여자들은 왜 그렇게 벌레를 필요 이상으로 무서워할까 하는 궁금증도 진화론이 풀어 주니 진화론이 참 별걸 다 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책 읽는 북손탐의 '피가 되고 살이 되는' 재밌는 동영상>






Posted by
,

고래의 숨구멍, 하이에나의 음핵 등
이상한 진화 디자인 10개를 제시

그러나 독자들 “최고의 진화 10가지인데 무슨 소리?”


최악의 진화 디자인 10가지 - Part 2


미국의 유명한 인터넷 관련 잡지 ‘와이어드(Wired)’가 최근호에서 ‘최악의 진화 디자인 10가지’를 제시했다가 관련 전문가들로부터 호된 비판을 받았다.

이 잡지가 제시한 10가지 이상한 진화 디자인은 다음과 같다.


1. 고래의 숨구멍: 바다 속에 사는 동물은 아가미를 통해 바닷물 속의 산소를 끄집어내 사용할 줄 알아야 한다. 고래나 돌고래처럼 허파의 크기를 키우고 콧구멍을 등쪽으로 보낸 것은 이상한 우회 수단일 뿐이다.



2. 하이에나의 클리토리스(음핵): 이 가짜 페니스는 새끼를 날 때는 두 배로 커지지만 아주 딱딱해지기도 하기 때문에 새끼가 빠져 나오다 찌부러져 죽는 수도 있다.




3. 캥거루의 젖꼭지: 막 태어난 캥거루 새끼는 아주 작고 약한데도 불구하고 엄마의 질에서 엄마의 배에 붙어 있는 주머니의 젖꼭지를 찾아서 혼자 엄마 배를 기어올라가야 한다.






4. 기린의 출산:
엄마 기린은 서서 새끼를 낳는데 새끼가 땅으로 떨어지는 높이는 1.5미터나 된다. 까딱하면 새끼가 터질 것 같다.




5. 골리앗 새 먹는 거미: 어른이 두 손을 다 펼쳐야 담을 수 있을 정도로 큰 이 거미는 나무에 올라가 새 같은 움직이는 먹이를 잡아먹는다. 그런데도 이 거미의 껍데기는 아주 약해 추락하면 바로 터진다. 거미니까 실을 뿜어내 떨어지지 않을 거라고? 이 거미는 심지어 실을 뿜어내지도 못한다.




6. 상어 새끼의 이빨: 일부 상어는 알을 낳는 대신에 새끼를 낳는다. 그런데 새끼들은 자궁 속에서 벌써 이빨이 자라기 시작해 가장 먼저 자라는 녀석이 늦게 자라는 다른 형제들을 자궁 속에서 잡아 먹는다. 음…… 형제들을!


7. 사람의 위장: 사람은 여러 음식을 소화시키지만 나무의 주요 구성성분인 셀룰로스는 분해하지 못한다. 왜 우리 위장은 공생하는 박테리아를 갖고 있지 않은가? 터마이트(흰개미)의 뱃속에 있는 박테리아는 열심히 셀룰로스를 열심히 분해해 터마이트를 돕는데….


8. 민달팽이의 성기: 암수한몸의 어떤 종은 성기를 서로의 몸에 감는다. 그 중 한 녀석이 멈춰서 있으면 다른 녀석은 성기를 씹어서 잘라낸다. 이 무슨 일?



9. 네발동물의 가려움증: 등에 상처가 나거나, 가렵거나, 벌레가 기어 다녀도 발을 댈 수가 없다. 참 고된 운명이며 어찌 할 수가 없기 때문에 근처에 나무둥지가 있기를 바랄 뿐이다.




10.  수컷 일각고래의 뿔: 뿔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이빨 하나가 턱을 뚫고 나와 계속 자라는 것이다. 최고 2m 75cm까지 자란다. 일각고래 왈 “선생님, 이빨이 아파요” 치과의사 왈 “그럴 만 하구나.”



오늘은 일단 이 10가지를 소개하기로 하죠. 내일은 이렇게 선정된 10가지 최악의 진화에 대해 전문가와 독자들이 쏟아 부은 반박과 정정, 비난을 모아서 올려 보겠습니다. 


<책 읽는 북손탐의 추천 동영상>



Post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