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하기 직전에 최고 물건 만든다'는 역설 있는데

‘가장 아름다울 때 순식간에 지더라’는 말이 있다. 망하기 직전의 기업이나 나라가 반짝 광휘를 발휘할 때가 있다는 말이다.

미국의 사진 평론가 마이크 존스턴은 카메라 렌즈로 이런 현상을 말했다. 4×5인치나 되는 대형 필름으로 사진을 뽑아내는 대형 카메라에서 최고의 렌즈가 나온 시기를 그는 2000년대 중반으로 꼽았다.

인류의 사진 역사상 카메라 렌즈로는 최고의 영상을 뽑아낼 수 있는 명작이 이때 탄생했지만 이미 세상은 디지털 카메라 시대로 넘어간 뒤였다. 이래서 ‘사상 최고의 렌즈’는 그 최고 품질에도 불구하고 눈길 한번 못 받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는 한탄이다. 


몰락 직전에 광휘 뿜어냈던 유럽, 미국…, 그 다음은?

'몰락 직전의 반짝 광휘'라는 역설은 여러 사례에서 볼 수 있다. 

1·2차 세계대전 이전만 해도 유럽은 세상에 부러울 게 없는 초강대국들이었고,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전만 해도 미국은 부시 전 대통령이 일방주의를 밀어붙이며 영원한 1등을 할 것만 같았다.

미국 애플이 만든 ‘아이폰’ 전화기 한 대가 한국의 이동통신 시장을 하루가 다르게 바꾸는 모습을 보면서 ‘몰락 전 반짝’ 역설이 계속 머리에서 감돈다.

미국이 만드는 ‘물건’이 보잘것없고 제조업 분야에서 한국·일본에 판판이 깨진다고는 한다. 그러나 영화 ‘아바타’, 그리고 아이폰을 통해 보여준 그들만의 장점은 아직도 남아 있다.

한국 같은 폐쇄 사회는 상상도 할 수 없는 그들만의 기발한 창조성, 그리고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힘이다.

정말 딱딱한 한국 사회-기업, 소프트 세계에서 설 자리 있나?

유일 초강대국이던 미국의 헤게모니 배경에는 물론 무시무시한 군사력이 있다. 그러나 세계인이 꼭 미국의 ‘큰 주먹’에 놀라 무릎을 꿇은 건 아니다. 미국 문화에, 할리우드 영화에 매혹돼 자발적으로 무릎에 힘이 풀린 경우도 많다.

이건 마치 애플의 CEO 스티브 잡스가 만드는 물건도 뛰어나지만, 그가 새 제품을 프레젠테이션하면 세계 언론이 초조하게 기다리면서 돈 한 푼 받지 않고 대대적 '광고'를 해주느라 안달을 떠는 현상과도 비슷하다. 자발적 복종을 이끌어내는 힘이다.

그리고 이런 능력의 바탕에는 미국 문화의 독특한 ‘너도 나도 모두 그저 같은 사람일 뿐’이라는 철학적 바탕도 있다. 미국의 파티 같은 데 가면 수입과 지위에 엄청난 차이가 있는 남녀노소가 서로 이름(퍼스트 네임)을 부르며 스스럼없이 말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신 앞에서는 너도 나도 그저 사람일 뿐이기 때문에, 비록 직장에서는 하늘 같은 상사라도 사석에서는 그냥 사람 대 사람으로 만날 수도 있다는 장면이다. 논문으로 바쁜 대학원생을 대신해 교수가 심부름을 해주는, 지상 최고의 권위주의 국가 한국에서는 그림도 그려지지 않는 광경이 펼쳐지는 이유다.

하버드 졸업생을 ‘미스터 하버드’라고 부르며 우대하지만, 그렇다고 비(非)하버드 출신을 모두 바보·멍청이로 여기지는 않는 사회, 실패하더라도 두 번째, 세 번째 찬스를 주는 부드러운 사회이기 때문에 ‘소프트 파워’로 세계인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나라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닌지….


미국이 소프트웨어 지배하는 이유

‘물건’으로 세상을 지배하는 일본도 아직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는 그저 미국을 따라갈 뿐이다. 미국에서 소프트웨어가 나오면 그걸 돌리는 기계를 만들어 팔아먹는 수준이다. 물건만 잘 만들다가 궁지에 몰린 사례를 우리는 최근 일본 자동차의 위기에서 확인한다.

아이폰에서 볼 수 있듯 세상은 이미 ‘소프트’ 쪽으로 패러다임이 넘어갔는데, 한국은 “우리가 세계에서 가장 좋은 핸드폰·LCD·반도체·선박을 만든다”며 입이 귀에 걸려 있는 것은 아닌지….

그래서 요즘 한국 경제를 비추는 햇살은 너무 아름답지만, 바로 이 햇살이 망하기 전의 그 반짝 햇살은 아닐까라고 의심되는 것은 지나치게 걱정 많은 사람의 기우일까?


Posted by
,

진화론을 창시한 찰스 다윈을 괴롭힌 문제가 몇 가지 있었죠. 그 중 하나가 눈입니다. 진화를 통해 생겨났다고 하기엔 너무 정교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창조론, 지적 설계론 따위를 주장하는 눈 먼
사람들은 눈처럼 복잡한 기관은 전지전능하신 하나님이 아니면 아무도 못 만들었을 게 분명하다는 뜬금없는 주장을 아직도 하고 있죠.

눈의 진화에 대해서는 많은 게 밝혀져 있지만 국립호주대학 의대의 트레버 램(Trever Lamb) 교수가 가장 오래된 과학 학술지라는 영국의 철학 회보(Philosophical Transactions) 최신호에 눈의 진화에 대한 자신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5억년 전 눈 생기기 시작해 1억5천년 전 완성

그는 논문에서 눈의 전 단계라고 할 수 있는 빛 감지 세포생긴 것은 5억 년 전이며, 현재의 인간 같은 눈이 완성된 것은 1억5천만 년 전"이라며 "3억 이 넘는 장구한 세월 동안 진화를 거쳐 사람 눈 같은 정밀 구조가 완성됐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지구상 동물의 눈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하나는 사람 눈처럼 렌즈를 갖고 있는 카메라식 눈이며, 다른 하나는 파리 눈처럼 수많은 낱눈이 모여 만들어지는 겹눈(compound eye)입니다.

사람과 같은 눈이 생기게 된 계기를 램 교수는 "5억년 전쯤 겹눈을 가진 포식자를 피해 민달팽이 같은 동물이 깊은 물 속으로 숨으면서 처음으로 렌즈식 눈이 생겼고 설명합니다. 파리 같은 눈을 가진 괴물을 피해 물 속 깊이 들어가는 과정에서 다른 형태의 눈이 생겼다는 것입니다.  


'겹눈 괴물' 피하다 생겨난 사람 같은 렌즈식 눈

빛을 감지하는 단백질인 로돕신(rhodopsin, 視紅素)에는 c-opsin과 r-opsin이 있는데 c-opsin은 렌즈식 눈에, 그리고 r-opsin은 겹눈에 주로 쓰인다고 합니다.

겹눈의 r-opsin은 어두운 환경에 맞도록 재조정되려면 빛이 비춰 줘야 하지만, 렌즈식 눈의 c-opsin은 빛이 없어도 화학적으로 주변 밝기에 맞도록 재조정이 가능하답니다.

겹눈을 가진 괴물을 피해 깊은 물 속으로 들어간 우리의 선조 동물들은 c-opsin을 이용하는 렌즈식 눈을 진화시켰기 때문에 겹눈 괴물들을 피해 살아 남을 수 있었다는 설명입니다. 

램 교수는  “어두운 물 속에서는 렌즈식 눈이 겹눈보다 우수했기 때문에 우리 선조들이 멸종하지 않고 살아남아 렌즈식 눈이 계속 진화할 수 있었다고 말합니다.

'겹눈 괴물'을 피해 깊은 물로 도망간 주인공은 먹장어 같은 동물로 추정합니다. 먹장어는 깊고 어두운 바다에 살며 눈이 없빛을 느끼는 머리에  두 개 습니다.


5살짜리 칠성장어의 깜짝변신에서 진화 엿볼 수 있어

빛 감지 띠로 밤인지 낮인지, 계절은 뭔지 정도만 알 수 있을 뿐 눈이라고 할 수 없는 정도입니다. 그래도 먹장어는 이런 빛 정보를 토대로 짝짓기 등을 한답니다.

먹장어비슷하면서도 다른 칠성장어란 물고기가 있습니다. 칠성장어는 태어나서 다섯 살 때까지는 먹장어처럼 빛 감지 띠’밖에 없지만 다섯 살이 되면 홀연히 진짜 눈이 생겨납니다. 그야말로 장님이 눈을 뜨듯 번쩍 눈이 생기는 것이지요. 

램 교수는 칠성장어의 이런 변화가 진화의 순간을 재현하는 것으로 봅니다.


"창조론-지적설계론, 눈 갖고 장난 그만 좀 쳐라"

처음엔 그저 빛을 감지하는 띠 정도에서 렌즈, 각막, 렌즈 조정 근육, 시신경 등을 갖춘 완전한 눈으로 진화하는 데 3억년이 걸려 지금으로부터 1억5천만 년 전쯤에는 렌즈식 눈이 일단 완성됐으며, 워낙 잘 진화된 눈이기 때문에 지난 1억5천만 동안 큰 변화 없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는 것입니다. 

눈은 썩어 없어지므로 화석으로 남을 수 없죠. 뼈 같이 화석이 남는 부위는 진화의 증거가 있지만 눈처럼 화석이 남지 않는 부위는 항상 논란이 있기 쉽습니다. 창조론자들이 눈을 예로 들어가며 신이 만들어냈다는 이론도 아닌 그저 주장을 하는 이유입니다.

그러나 램 교수의 연구처럼 유전학, 분자생물학 등을 이용한 연구은 눈의 진화사를 척척 밝혀내고 있습니다.

램 교수는 사람 눈이 3억 년에 걸쳐 진화한 증거를 찾을 수 있다이제 더 이상 창조론자들이 눈을 갖고 장난을 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답니다. 


<책 읽는 북손탐의 재밌는 동영상들>





Post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