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이 두개골 용량 사자보다 16%
키 같아도 남자 뇌가 조금 더 크다면?

 

몸집이 비슷해도 호랑이의 뇌 크기가 사자보다 더 크기 때문에 호랑이가 사자보다 더 똑똑하다는 기사가 나왔네요.

 

영국 옥스퍼드대학의 동물학자 노비 야마구치 교수가 사자 370마리, 호랑이 225마리, 재규어 32마리, 표범 42마리의 두개골 용량을 측정했더니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합니다.

 

호랑이는 몸집이 비슷한 사자보다 두개골 용량이 평균 16% 더 크답니다.

몸집 작은 암사자가 덩치 큰 숫사자보다 뇌 더 커

 

사자, 재규어, 표범 같은 대형 고양이들은 뇌 용량이 비슷해 호랑이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고 연구진은 밝혔습니다. 이들 큰 고양이들은 370만년 전에 공통 조상에서 갈라져 나왔다는데 유독 호랑이만 뇌 용량이 크다는 것입니다.

 

뇌 용량은 두개골만 있으면 쉽게 측정할 수 있어 인간 선조의 화석을 통해 뇌 용량의 변천사가 쭉 정리돼 있죠.

 

야마구치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뇌 용량만 보면 발리 섬의 몸집이 작은 암컷 호랑이가 남아프리카의 덩치 큰 숫사자보다 더 크다이런 결과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고 놀라워했습니다.

 

진화적으로 비슷한 몸집에 뇌가 더 크면 일반적으로 더 똑똑한 것으로 인정되죠.

무리 동물이 더 똑똑해진다는데 왜 호랑이가?

 

여태까지 학계에서는 무리 동물인 사자가 혼자 사는 호랑이보다 더 똑똑할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합니다. 이는 여러 마리가 함께 사는 사회성 동물들이 자기들끼리 사회적 생활을 하면서 상호 소통 또는 경쟁을 해야 하기 때문에 더 똑똑해진다는 이른바 사회성 동물의 뇌 발달 이론에 따른 것이죠.

 

이번 연구는 뇌의 용량만 잰 것이지, 다른 조사를 통해 호랑이가 실제로 사자보다 똑똑한 것이라고 증명한 것은 아닙니다.

 

야마구치 교수 역시호랑이가 사자보다 똑똑하다는 증거를 두개골 용량 이외의 다른 실험으로 증명한 것은 아니다고 말했죠.

 


약간 더 큰 남자 뇌가 더 우수한지 놓고 설전

이 연구를 보면서 생각 드는 것은 그럼 남녀의 뇌 크기 차이는 어쩔 건데?”라는 질문입니다. 남녀의 뇌 크기 차이는 이미 100여 년 전에 밝혀졌죠. 남자의 뇌가 여자의 뇌보다 평균 15% 정도 더 크다는 것이다.

 

남자가 몸집이 크다는 것을 감안해도 남자의 뇌는 여자보다 조금 크답니다. 즉 키가 똑 같은 남녀를 비교해도 남자의 뇌가 조금 더 크다는 것입니다.

 

이런 뇌 크기를 근거로 일부 학자들은 당연히 남자의 머리가 더 좋다고 말합니다. 물론 페미니스트 진영에서는 뭔 소리냐며 맞서고 있죠.

 

진화심리학자 가나자와 사토시 교수(런던 정경대)는 이를 아주 간단히 표현합니다. “더 큰 사람이 더 똑똑하기 때문에 당연히 여자보다 남자가 더 똑똑하다.

남녀 뇌 대결은 이제 막 시작?

 

전통적으로 남자가 성적도 좋고 더 똑똑한 것으로 여겨졌지만 최근 이런 경계가 흔들리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여러 나라 학생들의 수학 실력을 비교해 보니 여자는 수학을 못 한다는 기존 관념이 안 맞는 나라가 많다는 연구 결과가 올해 나온 적이 있죠.

 

또한 최근 과거 금녀의 구역으로 통했던 과학기술 분야에 여성의 진입이 늘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뇌의 매운 맛을 톡톡히 보여 주고 있는 게 현재의 상황이기도 합니다. 남녀 뇌의 실력 대결은 이제 새로운 무대로 들어가고 있는 것이죠.

 

Posted by
,


따라하기는 인간관계-사회통합의 기본원리

원숭이, 따라하면 놀아주지만 그렇지 않으면 무시 

따라하기에 대한 재미있는 연구가 나왔네요
. 사람은 사람을 따라한다고 하죠.

두 사람이 만나서 행동하는 것을 비디오로 촬영해 보면 사람들 행동이 묘하게 일치하기 시작한다고 합니다. 한 사람이 뒤로 몸을 제끼면 상대방도 제끼고, 목소리를 올리면 같이 올리고 내리면 같이 내리고.

 

그리고 이런 과정은 무의식적에 일어나 본인들은 누가 누구를 따라하는지 잘 모른답니다.

 

그런데 이 따라하기에 아주 중요한 의미가 있다는 연구가 학술지 사이언스’ 814일자에 나왔네요. 미국 국립보건원 산하 국립 아동건강-인간발전 연구소가 한 연구입니다.

 

내용은 원숭이가 자기를 따라하는 사람과는 함께 놀아 주지만 따라하지 않는 사람은 싫어한다는 내용입니다. 내용을 한번 봅시다.


끌리는 사람 따라하고 따라하는 사람에 끌리고
 

연구진은 흰목꼬리감기원숭이(capuchin monkey) 한 마리에 두 연구원을 붙여 원숭이의 행동을 따라하거나 또는 따라하지 않게 했습니다. 조그만 공을 주면 이 원숭이는 공을 손으로 찌르거나, 입에 집어넣거나 또는 땅에 튀기는 행동을 한답니다.

 

따라하게 돼 있는 연구원은 원숭이가 공을 입에 넣으면 자기도 입에 넣는 식으로 따라했고, 안따라하는 연구원은 원숭이가 공을 입에 넣을 때 자기는 공을 땅에 튀기는 식으로 완전히 다른 짓을 한 것이지요.

 

이런 실험을 하고 연구진이 원숭이와 함께 있는 시간을 가졌는데 원숭이들을 자기를 쫓아한 연구원들 옆에는 잘 가서 앉지만 따라하지 않은 연구원은 피하더라는 것입니다.

 

이어 연구진은 간단한 과제를 원숭이에게 시켰답니다. 연구원 손에 있는 작은 물건을 원숭이가 집었다가 다시 연구원에게 돌려 주면 음식을 보상으로 주는 일이었답니다.

 

이번에도 역시 원숭이들은 자기를 따라한 적이 있는 연구원과는 일을 잘 했지만, 따라하지 않은 연구원이 똑 같은 먹이 보상을 주는데도 함께 일하기를 거부했답니다.


자기도 모르게 상대방 목소리 톤에 맞추게 돼
 

재미있죠? 모방에 대한 연구는 이 밖에도 많지요. 침팬지 새끼들이 어른들이 하는 행동을 찬찬히 들여다보고 쫓아하는데, 어미처럼 자기와 가깝고 좋아하는 상대는 잘 따라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잘 따라하지 않는다고 하죠.

 

미국 CNN방송의 유명한 토크쇼 사회자인 래리 킹에 대한 연구도 있죠.

생긴 건 별로인 이 할아버지는 인터뷰하는 사람이 속마음을 털어놓게 만들기로 유명한데, 이 사람이 방송에서 말하는 톤을 조사해 보니, 영국 여왕처럼 거물이 나오면 킹이 상대방의 말 톤을 쫓아가고, 반대로 만만한 인물이 나오면 출연한 사람이 킹의 말 톤에 맞춘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약자가 강자에게, 그리고 배우고자 하는 사람이 모범적인 사람을 따라하는 게 바로 모방이라는 것입니다.

 

나를 따라하는 사람이 귀여워 보이기 시작한다

모방의 원리가 이렇다면 어떻게 될까요
? 바로 나를 쫓아하는 사람을 귀여워하는현상이 생기게 되겠죠. 놀리는 따라하기에는 신경질이 나지만 존경해서따라하는 행동은 좋게 받아들여지고 그래서 따라하는 사람에게 조언과 도움을 더 많이 준답니다.

 

이러한 따라하기의 메커니즘은 여태껏 사람에게서만 관찰됐는데 이번 연구는 처음으로 원숭이에서도 같은 현상을 확인했다는 데 의미가 있답니다.

 

흰목꼬리감기원숭이가 선택된 것은 이들이 야생에서 먹이를 먹을 때나 이동할 때, 그리고 포식동물을 피할 때 서로 따라하기를 잘 하기 때문이랍니다.

 

따라하기는 이런 기능 때문에 원숭이든 사람이든 무리를 이루는 동물의 기본이랍니다. 따라하기를 서로 하면서 가까운 사이가 되고 갈등이 줄어들면서 함께 모여 살 수 있다는 것이죠.

 

뒤집어 말하면 따라하기를 못하면 무리생활이 안 된다는 것입니다. 따라하기를 못하는 대표적 경우가 바로 자폐증이라는 것입니다. 따라하기를 못하니 유대감 형성이 안 되고 다른 사람과 연결이 안 돼 완전히 따로 놀게 된다는 겁니다.

따라하기 원리를 처세술이 적용하기

 

이런 따라하기의 과학적 근거를 안다면 처세술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 같군요. 중요한 상대나 직장 상사의 행동을 너무 티나지 않게 슬쩍슬쩍 따라해 주면 된다는 거죠. 이런 행동으로 상대방의 동물적 감각에 당신을 존경합니다” “당신은 저에게 중요한 분입니다라는 의식을 깊숙이 심어 넣어 주면 효과를 볼 수 있을 것 같네요.  

 

따라하기가 이렇게 사회를 구성하고 유지하는 기본 원리 중 하나라면 한국 사회에서의 따라하기는 잘 되고 있나요?

 

한국 근현대사의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옳은 일을 하면 거지 꼴을 못 면한다인 것 같습니다. 못되게 살아야 사회 상층부로 올라갈 수 있다니 사람들이 안 그래도 되는데 못된 짓을 하면서 사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따라해도 거지꼴 면할 수 있는 나라가 되야 할 텐데...

 

가까운 미국-일본을 보면 편안히 따라할 수 있는 롤 모델들이 우리보다는 훨씬 많은 것 같습니다. 편안히 따라할 수 있다는 것은 거지꼴 걱정을 않고 따라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어느 사회든 옳은 일을 하려면 저항과 고통을 이겨내야 하겠지만 한국처럼 옳은 일을 따라하면 반드시 죽이겠다고 벼르는 사람들이 많고, 그들이 지배층을 구성하고 있는 나라도 드물 것입니다. 편안히 따라할 수 있는 사회가 어서 빨리 와야 할텐데


<책 읽는 북손탐의 재밌는 동영상들>





Post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