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석
-유전자 분석했더니

고양이 사이즈의 '인도 사슴'이 고래의 선조


초식동물인 상태로 물로 되돌아가

'걸어다닐 수 있는 고래' 때부터 육식으로 바뀌어 


고래는 지구상에서 가장 큰 동물입니다
. 또한 고래는 바다에서 시작한 생명이 뭍으로 올라왔다가 다시 바다로 돌아간 동물이어서 신비롭게 느껴지죠.  

 

그런데 고래의 선조에 대해서는 그간 초식동물이었냐, 아니면 육식동물이었냐 하는 점이 논란이었답니다.

 

고래나 돌고래 같은 고래류 동물들이 현재 육식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이 물로 되돌아가기 전에 뭍에서 벌써 육식을 했으리라는 설이 있는가 하면,

 

물로 돌아간 뒤에야 육식으로 전환했을 것이라는 설이 있죠.

 

앞의 학설은 고래의 조상을 메소니키드(mesonychid)라는 육식동물로 추정하죠. 메소니키드는 마치 늑대와 호랑이를 섞어 놓은 듯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왼쪽 그림. wikipedia.org에서 인용)

 

반면 뒤 학설은 인도에서 발견된 고양이만한 크기의 초식동물 인도휴스(indohyus)로 추정하죠.

 

현재 고래의 크기와 식성을 생각하면 늑대나 큰 곰만큼 컸던 육식동물에서 진화했다고 믿는 게 더 그럴듯해 보이죠.

 

그러나 미국의 과학잡지 플로스 원(PLoS One)’ 이번 주 호에 나온 논문에 따르면 모양, 유전자 등을 다각도로 조사한 결과, 고래의 조상은 고양이만한 사슴이었던 인도휴스일 가능성이 훨씬 크답니다. 메소니키드는 먼 친척뻘 된다는 것이지요.

 

이 논문을 발표한 미국 자연사 박물관(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의 연구진은 그 동안 발견된 고래 관련 화석 80가지를

 

몸 생김새(털이 있나 없나, 발목 뼈의 생김새)

행동의 특징 같은

601가지 특징으로 분류해 컴퓨터에서 분석했답니다.

 

여기다가 최근 발견된 49가지 유전자 특징까지 넣어 컴퓨터에 입력함으로써 고래와 가장 닮은 동물이 무엇인지 분석했다는 것이지요.

 

그 결과, 현재 살아 있는 동물 중에서 고래와 가장 비슷한 사촌 격은 하마인 것으로 드러났답니다.

 


그리고 과거 살았던 멸종 동물의 화석 중에서는 고양이만한 사슴인 인도휴스(위 그림. wikipedia.org에서 인용)가 고래의 조상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나왔다는 것이죠.

 

사실 인도휴스는 물 속에서도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귀를 갖고 있어 30년 전 인도 카쉬미르 지역에서 처음 발견된 뒤 고래의 조상이 아니냐는 소리를 들어온 동물입니다.

 

인도휴스는 초식동물의 이빨을 갖고 있어 뭍에서 초식을 했을 게 분명한데, 귀 뼈는 고래에서만 발견되는 특징을 갖고 있어 아주 흥미로운 동물이죠. 그래서 학자들은 이 인도휴스가 뭍과 물을 오가며 생활한 포유류로 봐 왔습니다.

 

연구진의 결론은 이렇습니다.

 

인도휴스가 물과 뭍을 오가며 생활하다가 드디어 바다로 돌아가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그때만 해도 인도휴스는 초식동물이었다.

 

물 속으로 들어가 생활하면서 물 속 생물을 잡아 먹는 육식성을 발달시켰지만, 그때까지도 고래의 조상은 여전히 물과 뭍을 오갈 수 있는 다리를 갖고 있었다.

 

땅을 걸을 수 있으면서도 물 속에 들어가 살면서 물 속 동물을 잡아먹는고래의 선조격 동물로는 암불로세투스(Ambulocetus, 아래 그림, eurekalert.org에서 인용)를 들 수 있다. 지금으로부터 5천만 년 전쯤 살았던 암불로세투스는 진정한 다리 달린 고래라고 할 만한 몸 생김새를 갖고 있다.



진화에 관한 연구는 항상 재미있지만, 땅 위에서 살던 고양이 만한 사슴과 동물이 고래로 발전했다는 게 놀랍습니다.

 

그리고 다리 달린 고래라는 암불로세투스의 모습도 참으로 기괴하죠?
 

<책 읽는 북손탐의 재밌는 동영상들>





Posted by
,

스웨덴 학자 개는 양자강 남쪽에서 처음 가축화,

쓰레기 먹으러 온 늑대를 사람들이 키워서 먹은 듯

 

개의 발상지는 지금으로부터 16천 년 전쯤 양자강 남쪽 딱 한 군데이며, 당시 중국 사람들이 쓰레기를 주워 먹으러 사람 근처로 다가온 늑대를 유인해 개로 가축화시켰으며, 가축화시킨 목적은 개를 잡아먹기 위해서였던 것 같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의 페터 사볼라이넨 박사는 중국 연구진과 함께 개 유전자를 분석해 늑대가 개로 가축화된 것은 양자강 남쪽이며, 한 마리가 아니라 대량으로 가축화가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고 학술지 분자생물학과 진화(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최근호에 밝혔습니다.

 

그는 지난 2002년에도 개의 원산지는 중국이란 논문을 발표한 적이 있는데, 이번에는 더욱 자료를 보강해 더욱 정확한 데이터를 내놓았다고 합니다.

 

그는 이번 논문에서 개의 원산지는 양자강 남쪽 딱 한 곳으로 보이지만 한 마리가 아니라 최소한 수백 마리가 거의 비슷한 시기에 개로 길들여진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여러 자료를 인용해 중국에서 처음부터 사람이 먹기 위해 늑대를 개로 가축화된시킨 것 같다는 가설을 내놓습니다.

 


늑대가 식물성 먹이도 먹기 시작하면서 개로 사육돼


우선 중국에서는 고대로부터 지금까지 개고기를 계속 먹어 왔다는 사실이 밝혀져 있습니다.

또한 원래 늑대는 100% 육식동물이지만 먹이 공급이 힘들어지면 식물 음식도 먹는 것으로 드러나 있다는 군요. 

 

1995년 늑대가 식물성 먹이도 먹을 수 있다는 논문이 발표됐고, 이탈리아 늑대의 경우 개발로 서식지가 좁아지자 인가로 내려와 버려진 스파게티 등으로 전체 먹이의 60~70%까지를 충당한다는 사실도 밝혀져 있답니다.

 

이런 사실을 근거로 사볼라이넨 박사는 먹을 것이 없어진 늑대가 인가로 내려와 쓰레기를 뒤지기 시작했으며, 이 과정에서 사람을 보고도 도망가지 않은 순한 늑대를 사람들이 개로 가축화시킨 것 같다고 추정했습니다.

 

그런데 그가 궁금해 하는 것은 늑대를 개로 바꿀 때 사람들이 뭐를 노렸을까 하는 것입니다. 지금으로부터 16천년 전이라면 사람들이 수렵-채집 생활을 접고 농사를 짓기 시작할 때입니다.


고기를 먹기 위한 것 이외에 무슨 목적이 있었을까? 
 

나중에 유럽에서는 개가 소나 양 떼를 모는 몰이꾼 노릇을 했지만 당시 중국에서는 개의 이런 역할이 필요 없었을 것이라는 거죠.

그러면 남는 것은 늑대를 개로 바꿔 먹다 남은 음식을 주면서 기른 뒤 고기를 먹기 위해서였지 않겠느냐는 가능성이라는 것입니다.

 

늑대가 고기만 먹을 때는 고기를 먹으려 고기를 먹이는방식에 의미가 없지만, 늑대가 식물성 먹이를 먹기 시작하면 육용 동물로서의 가치가 생기게 된다는 주장입니다.

물론 사볼라이넨 박사는 어디까지나 가설로 개는 처음부터 육용이었다는 의견을 내놓습니다. 이를 증명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지요.

 

개의 원산지는 중국이고, 중국 사람도, 그리고 한국 사람도 첫 개부터 먹어 왔다는 소리를 듣고 보니 어째 으스스하군요.

 

개의 출발이 식용이었다면 현재 한국이나 중국에서 개를 먹는다고 전세계인들이 난리를 치는 게 과연 합당한 것인지, 또는 반대로 먹어 왔다고 계속 먹는 게 과연 잘 하는 일인지 등등의 궁금증이 생기네요.

Post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