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차이 따라 폭력성-무기사용 달라져


인간은 섹스, 음식, 약을 갈구하는 것처럼 본능적으로 폭력을 갈망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한 이러한 폭력성에의 갈구는 특히 남자에게 두드러지며, 아버지의 난폭성은 아들에게만 유전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플로리다주립대의 사회생물학적 범죄 학자인 케빈 비버 교수는 미국 국립 청소년 보건 연구에 참여한 남자 청소년 2500명 이상의 DNA 자료와 생활 모습을 조사했다.

그 결과 ‘MAOA(Monoamine oxidase A)’라 불리는 유전자를 갖고 있는 남자 청소년은 미래에 폭력조직에 가입하고 조직원 중에서도 총처럼 더 난폭한 무기를 잘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이 유전자는 물론 아버지에게서 아들과 딸에게 다 전해지지만 여자에게서는 이 유전자가 발현되지 않기 때문에 폭력적 성향은 아들에게만 대물림한다는 설명이다.

즉, 여자는 MAOA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도 여성 호르몬이 이 유전자를 활성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폭력성이 강해지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비버 교수는 “폭력조직은 보통 사회적 현상으로 여겨지지만 이번 연구는 그것이 유전자라는 생물학적 원인도 갖고 있음을 보여 준다”고 말했다. 선천적으로 사납고 폭력을 잘 쓰는 성격이 있다는 것이었다.

그는 “MAOA를 가졌는지 안 가졌는지 여부로 장래 폭력조직에 가입할지 않을지, 또는 폭력 조직에 가입한 뒤에 더 폭력적으로 행동하고 무기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을지 낮을지도 예측할 수 있다”고 밝혔다.

유전자로 조폭이 될지 안될지도 예측할 수 있다는 무서운 연구에 다름 아니다.


'전사 유전자' 연구로 인간의 폭력성 드러나 

이 연구는 2006년부터 논쟁이 시작된 이른바 ‘전사 유전자’ 연구의 연장선상에 있다. 전사 유전자는 뉴질랜드의 원주민인 마오리족의 폭력성을 연구하면서 드러났다.

전사 유전자는 기분이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도파민이나 세로토닌 같은 신경전달 물질에 영향을 미친다.

미국 브라운대의 연구에서는 전사 유전자의 개인간 차이에 따라 외부 자극에 대한 공격성 정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미국 밴더빌트대의 크레이그 케네디 교수는 “인간에게 공격성을 유발하는 전사 유전자가 있다는 것은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다”며 “인간은 섹스, 음식, 약을 갈구하는 것처럼 본능적으로 폭력을 갈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공격성이라고 해서 특별히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며 "인간은 협동심이라는 마음을 유전적으로 전해 주듯 공격성을 유전으로 물려주며 이는 인간의 기본 감정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인간뿐 아니라 거의 모든 포유동물이 각자의 방식으로 공격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책 읽는 북손탐의 재밌는 동영상들>





 


Post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