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익빈 부익부’ 싫어하는 뇌 현상을 뇌촬영으로 증명

칼텍 연구진이 촬영한 뇌 사진. 가난한 사람에게 돈이 돌아가자 뇌의 보상 부위에 선명하게 불이 밝혀지며 기뻐하는 모습이 촬영됐다.


‘인간은 철저하게 이기적’이라는 경제학의 대전제를 깨는 연구 결과가 잇달아 나오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뇌는 경제적 불평등을 혐오한다’는 뇌 촬영 결과가 세계적인 과학지 ‘네이처’ 2월25일자에 실렸다.


인간은 정말 철저히 이기적인가? 경제학 대전제 속속 깨져

미국의 칼텍, 아일랜드의 트리니티 칼리지의 경제학자-신경과학자로 구성된 연구 팀은 실험참여자 40명에게 돈과 관계되는 여러 실험을 하면서 이들의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촬영했다. 이 장치는 뇌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다.

뇌 촬영을 하기에 앞서 연구진은 실험참여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절반에게는 실험을 시작하기도 전에 50달러씩을 줘 ‘부자 마인드’를 갖게 하고, 나머지 절반에는 아무 돈도 주지 않아 ‘가난뱅이 마인드’를 갖게 한 것이었다.

"똑 같은 일 하는데 넌 50달러, 쟨 5달러"

그리고 이들의 뇌에 촬영 장비를 장착한 뒤 연구진은 돈과 관계되는 여러 시나리오를 들려 주었다. 시나리오는 예컨대 ‘당신은 50달러를 받지만 당신의 짝은 20달러만 받을 것이다’라든지, 또는 ‘똑 같은 일을 하지만 당신은 50달러를 받을 것이고 당신 짝은 단돈 5달러만을 받을 것이다’ 등이었다.

이렇게 경제적 보상이 불평등하게 이뤄지는 상황을 들려 주자 실험참여자들의 뇌에서는 놀라운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우선 ‘가난뱅이 마인드’로 시작한 사람들의 뇌에서는 연구진이 예상했던 변화가 일어났다. 즉 가난뱅이 자신이 더 많은 돈을 받게 되면 이들 뇌의 보상 관련 부위가 활발하게 움직였다. 반대로 이들은 다른 사람에게 돈이 더 많이 돌아가는 상황에는 비교적 무관심했다.

뇌의 보상 관련 부위는 음식을 먹거나, 칭찬을 듣거나, 음악을 듣거나 할 때처럼 좋은 일이 있을 때 활발히 활동하는 부위다.

'부자 뇌'가 양극화 해소 더 기뻐해

놀라운 반응은 ‘부자 마인드’의 참여자 뇌에서 나타났다. 출발부터 자신은 큰 돈을 받고 상대방은 1원 한 장 받지 않았다는 사실에 부담을 느낀 이들은 가난뱅이에게 더 많은 돈이 주어진다고 했을 때 뇌의 보상 부위에 환하게 불이 들어오면서 기뻐하는 반응을 보였다.

가난한 사람에게 혜택이 돌아가 불평등이 조금이라도 해소된다는 사실을 기쁘게 여기는 뇌 반응을 보여 준 것이었다.

연구진은 이런 결과를 “가난한 자는 자신에게 돈이 들어올 때는 즐거워하고 부자에게 돈이 들어갈 때는 무관심하지만, 부자는 가난한 사람에게 돈이 들어갈 때 더 기뻐한다"며 "이는 ’내가 더 누리고 있다‘는 부자의 불편한 마음이 일부 해소되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부자건, 가난뱅이건 경제적 불평등이 해소되면 뇌의 보상 부위가 활성화되는 본능적 반응을 보인다는 것이 결론이었다. 연구진은 뇌의 이러한 특징을 ‘불평등을 혐오하는 뇌의 신경학적 증거’라고 이름붙였다.

뇌는 자그마한 불평등에도 정말 민감한데…

연구에 참여한 칼텍 행동경제학과의 콜린 캐머러 교수는 “경제학에서는 인간은 기본적으로 이기적이고 다른 사람을 도우려 하지 않는다고 가르치지만 이번 연구 결과는 그런 대전제가 틀릴 수 있음을 분명히 보여 준다”며 “만약 그런 전제가 맞다면 다른 사람에게 더 많은 돈이 들어가는 상황에서 뇌가 기뻐할 리 없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칼텍 심리학과의 존 도어티 교수도 “뇌의 이러한 반응은 인간의 본능을 보여 주는 것”이라며 “교육이나 사회적 관습에 따른 학습 효과 때문에 뇌가 이런 반응을 보인다고 해석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뇌가 이렇게 반응하면 일 제대로 하겠는가" 추가 연구

뇌는 본능적으로 아주 미세한 불평등에도 민감하고, 자신이 더 많은 혜택을 받는 것에 대해 불편해 한다는 설명이다.

연구진은 앞으로 뇌의 이러한 반응이 실제 사람들의 행동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즉 같은 일을 하면서 보수를 적게 받는 사람은 그에 대한 반응으로 일을 덜 열심히 하고 그래서 일의 결과에 무관심해지는지 등의 행동 반응을 추가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Posted by
,


왜 악당은 착한척하고, 착한듯한 사람이 못된짓 할까?

좋은 사람으로 알았는데 어느 날 갑자기 못된 행동을 하는 사람이 있지요. 예컨대 평소엔 너무나 예의 바르던 사람이었는데 운전대만 잡으면 난폭 운전을 하는 경우입니다.

 

종교인들도 이런 짓을 잘하죠. 너무 경건한 말씀만 하시던 분이 테이블 아래로 돈다발을 센다거나, ‘이상한 짓을 하다가 들켜 여관 창문으로 뛰어내리는 것 같은 행동입니다.

 

이럴 때 우리는 그럴 사람이 아닌데라고 말합니다.

 

그런데 왜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지, 즉 그럴 사람이 아닌데 왜 그런 짓을 하는지를 심리학적으로 밝힌 연구가 미국에서 나왔습니다. 미국의 명문 노스웨스턴 대학에서입니다.

 

스스로를 선의 화신이라 생각하면

 

연구진은 가설을 세웠습니다. 나쁜 놈이 착한 일을 하고, 착한 놈은 나쁜 일을 할 것이라고. 즉 스스로를 아주 아주 착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갑자기 나쁜 짓을 할 때가 있고, 반대로 스스로를 악당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어쩌다 한 번은 관대한 행동을 하지 않고는 못 배길 것이란 가설이었습니다.

 

연구진은 실험 참가자 46명을 모았습니다. 그리고 이들에게는 필체 연구소에서 조사를 한다고 속이고는 글을 쓰게 했습니다. 단 조건이 있었죠. 한 그룹에게는 친절하다, 돌봐주다, 관대하다, 정직하다 같은 착한 말을 반드시 넣어 쓰도록 했고, 다른 그룹에는 이기적이다, 잔인하다, 속인다 같은 나쁜 말을 넣도록 했습니다. 비교를 위해서 세 번째 그룹에게는 책, , 집처럼 선악 판단과는 아무 상관 없는 말을 넣도록 시켰습니다.

 

글짓기를 시키면서 연구진은 또 다른 주문도 했습니다. “글을 쓴 뒤 최고 한도 10달러 이내에서 기부를 하실 수 있으니 기부하고픈 액수를 써 달라는 것이었습니다.

 

결과는 어땠을까요? 아주 재미있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부정적인 단어를 쓰며 글을 쓴 사람들의 기부액 평균이 5달러로 가장 높았습니다. 중성적 단어로 글을 쓴 사람은 평균 3달러를 기부했고, 착한 단어만 쓴 사람들은 단 1달러만 기부했습니다.

 

자신에 대해 부정적 감정 가진 사람이 기부는 더 많이

 

즉 착한 단어만 골라 쓰면서 스스로 착한 사람이 됐다고 느낀 사람은 막상 기부해야 할 순간이 오자 나는 착한 사람인데 뭐라면서 기부액이 짜진 것이고, 나쁜 단어를 쓰면서 스스로에게 부정적 감정을 느낀 사람들은 그래, 쓸 땐 써야지라는 기분이 들면서 최고액 기부를 하게 됐다는 결론입니다.

 

연구진은 약간 조건을 달리 한 실험도 추가로 했습니다. 이번에는 참가자들에게 당신들은 어느 공단의 공장장들이다. 아주 돈이 많이 드는 공해 방지 필터가 있는데 당신들 공장장들은 비용을 줄여야 하기 때문에 필터 가동을 60%만 하기로 약속했다고 상황을 부여했습니다. 그리고는 앞 실험에서처럼 각자가 스스로에 대해서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생각하도록 만들었습니다.

 

스스로 착하다고 생각하면 거침없이 나쁜 짓

 

그리고 당신은 그 비싼 공해방지 필터를 얼마나 돌릴 것인가?”라고 물었답니다. 그러자 역시 마찬가지로 부정적 기분에 있는 사람이 손해를 보더라도 73%까지 돌리겠다고 크게 마음을 쓴 반면, 자신을 도덕적이라고 생각하도록 유도된 사람들은 “55%만 필터를 돌리겠다고 말했다는 군요. 스스로를 가장 착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공해방지 노력에서는 못된 짓을 당당하게 한다는 결론입니다.

 

이 실험에 대해 연구진은 이런 결론을 내렸습니다. “착해지는 것은 힘들고 에너지가 많이 들어가는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한 분야에서 자신이 아주 양심적이고 좋은 일을 많이 했다고 스스로 자신하는 사람들은 다른 분야에 가서는 좀 악한 일을 해도 된다고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연구진은 이런 비유도 했습니다. “비행기가 너무 높이 올라가면 비행기 운전하기가 힘들어진다. 이럴 때 해결책은 아래로 내려가는 것 말고는 없다. 반대로 비행기가 너무 낮게 내려가도 사고가 난다. 유일한 해결책은 어떻게든 올라가는 것이다.”

 

인간의 가슴 속에는 대개 이런 도덕심의 절대 기준이 있기 때문에 악한 짓을 많이 한 사람은 착한 짓을 하고 싶어지고, 착한 짓을 스스로 많이 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악한 짓을 좀 해도 문제가 없다고 느낀다는 해석이지요..

 

-----토 나쁜 짓, 일요일 두 손 모아 기도

 

이런 착한 짓, 나쁜 짓 얘기를 하다 보면 요즘 한국 사회를 시끄럽게 만드는 이상한 사람들 생각이 떠오르지 않을 수 없습니다. 못된 짓만 하면서 스스로는 국민에게 좋은 일을 하고 있다고 착각하는 이상한 사람들입니다.

  

이 실험을 보면 차라리 마음 속으로 나는 좀 나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오히려 행동에서는 선한 행동을 할 가능성도 있는 것 같습니다. 스스로를 도덕의 화신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오히려 못된 짓을 태연하게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제 개인적인 경험입니다만, 재미 한인의 거의 대부분이 교회를 다니는데, 교회 안 다니는 극소수 또는 소수의 불교도 중에서는 극악무도한 파렴치범이 잘 안 나오는 반면, 교포 사회에서 날고 기는 사기꾼들은 대개 일요일마다 열심히 교회에 다니는 분들입디다.

그들의 드높은 사기 심리, 즉 월-----토요일에는 사기를 치고 일요일에는 경건하게 두 손 모아 기도하는 모습을 보고 이마에 땀방울이 많이 맺혔었습니다만, 이 논문을 읽어 보니 왜 그랬는지 이해도 가는군요.

 

나쁜 놈이 착한 척 하고, 착한 놈은 못된 짓을 태연하게 한다는 사실은 해방 이후 한국의 대통령들 면면만 봐도 알 수 있지 않나요? 이제 우리도 좀 제대로 알아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나 착한 사람입니다라고 나서는 사람을 조심해야 한다는 걸.


<책 읽는 북손탐의 추천 동영상>


 

 

 

Post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