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튼 꿈에 매달리면 만성 우울증 생겨새 가설 

 

우울증이 한국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우울증은 꿈을 이루지 못할 때 발생하는 마음의 과정이라는 새로운 가설이 제기됐다.

 

캐나다 콘코디아 대학의 카스텐 로쉬 교수는 인격과 사회심리학 저널(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월호에 우울증과 꿈과의 관계를 조사한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은 15-19세 소녀 97명을 1 7개월 동안 추적 조사한 결과를 담고 있다. 연구진은 이들 10대 소녀들이 자신의 꿈이 이룰 수 없는 꿈이란 사실을 알았을 때 어떻게 마음을 정리하는지를 쫓아가 봤다.

 

그 결과 이룰 수 없는 꿈에 고통을 느끼면서도 도저히 안 될 꿈이라면 욕망을 접고 다른 목표를 잡아나가는 소녀들은 우울증이 심하지 않았지만, 반대로 이룰 수 없는 꿈을 버리지 못하는 소녀들은 심각한 우울증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연구진은 밝혀냈다.



포기할 줄 알아야 에너지 절약되면서 새 목표 잡혀
 

연구진은 우울한 감정을 신체적 고통에 비교했다. 신체적 고통은 사람에게 이건 네가 할 수 없는 일임을 알려 준다. 뜨거운 냄비에 손을 덴다는 것은 뜨거운 냄비는 맨손으로 만지면 안 된다는 것을 알려 준다는 것이다.

 

이런 경험을 한 뒤 뜨거운 냄비에 맨손을 대지 않는 사람은 더 이상 육체적 고통을 당하지 않는다. 그런데 어떤 사람이 이런 육체적 고통에도 불구하고 냄비를 맨손으로 들고야 말겠다고 도전에 나선다면 그 사람의 손은 덴 상처가 끊이지 않을 것이며, 결국 단발의 통증에서 만성 통증으로 발전하게 된다.

 

연구진은 우울감도 이런 특성이 있다고 비유했다. 안 되는 꿈을 포기할 때 우울한 감정을 느끼지만 안 되는 꿈을 포기하면 단발성 우울감에 그치지만, 안 되는 꿈에 계속 매달리면 만성 우울감, 즉 우울증이 된다는 비유다.

 

오를 수 없는 나무를 포기하는 대신 에너지가 저장되면서 새로운 목표를 잡아나갈 수 있게 되는 이러한 과정은 진화적으로 사람 마음에 새겨진 것이라는 게 연구진의 가설이다.

 

연구진은 2년 전 연구에서 못 오를 나무를 계속 고집하면 몸에도 문제가 생김을 증명한 바 있다. 불가능한 꿈에 매달리는 사람의 몸에서는 염증 반응 물질인 C-반응성 단백질 수치가 높아진다는 것이었다. 이 단백질이 지속적으로 높으면 당뇨병 또는 심장혈관 질환 위험이 높아진다.

 

한국 문제는 허튼 꿈인가? 아니면 작은 꿈도 용납 안하는 사회가 문제?

안 되는 목표에 매달리는 피해를 알았기에 우리 선조들은 못 오를 나무는 쳐다보지도 말라는 속담을 남겨 주었다.

 

문제는 옛날과 비교할 때 현대 사회는 헛된 꿈을 꾸기 너무 좋은 환경이라는 것이다. TV 드라마 시청자의 99.9%는 소시민이지만 드라마 내용은 항상 회장님, 회장님 아들, 신데렐라 같은 공주님들의 얘기다.

 

이런 드라마, 세계적 스타의 사는 모습, 10억을 모은 회사원 얘기 등이 끊임없이 매스컴에 소개되면서 현대인은 헛된 꿈을 꾸기 딱 좋은 상황에 놓여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헛된 꿈을 꿀 때마다 심리적 고통이 예비된다는 것이 로쉬 교수의 가설이다.

 

그는 내 논문의 내용은 아직 가설 단계이고 증명할 내용이 많지만, 무조건 큰 꿈을 품는 태도는 우울증이 원인이 된다는 사실을 알아둘 만 하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미국이 세계 최고의 우울증 환자 비율을 보이는 것은 이처럼 허황된 꿈을 꾸기 좋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코리안 드림' 사라진 한국에서 젊은이들 우울 의미는?
 

이런 소식을 읽으면서 생각되는 것은 과연 한국 젊은이들도 꿈을 쫓다가 우울증에 걸리냐는 질문이다. 미국 젊은이들이야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걸 쫓다가 좌절해 우울증에 걸릴 수 있겠지만, 과연 한국의 젊은이들도 큰 꿈을 쫓다가 우울증에 걸리냐는 질문이다.

 

큰 꿈은커녕 아주 작은 꿈도 못 꾸게 하기에, 즉 보통 사람으로 살겠다는 꿈도 못 꾸게 하고, 초등학교 때부터 동료들과 경쟁만 하게 만들고, 그렇게 우정까지 버려가면서 경쟁해 봐야 결국 88만원 세대로 몰아 넣는 나라이기에 이렇게 우울증이 젊은층의 기본 정서가 되지 않았냐는 생각이다.

 

사람들은 작으면서도 실현가능한 꿈을 꾸고 또 이뤄나가며, 사회는 이러한 차근차근 전진을 장려하고 도와줘야 하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책 읽는 북손탐의 재미진 동영상>


<3.1절 100주년 속살읽기 시리즈~>


[①] 남한의 3.1절과 북한의 3.1절이 다르다고? ‘3월 김정은 답방’을 앞두고 해석 통일 하려면?





[②] 유치장으로 ‘도피’한 민족대표 33인에 대해 일본 학계 “33인은 어떻게 봐도 어이없는데, 33인을 대단하다고 가르치는 남한은 쫌 이상” 혹평




[③] 18살 함석헌 소년은, 3월 1일 그날 일본경찰 코앞에 태극기 마구마구 흔들었는데 어떻게 살아남았을까?





[3.1운동 속살읽기 ④] “죽기 딱 좋은 날”이라며 3.1거사 반기고 준비한 남강 이승훈 선생의 결기와 실행






<설날에도 항일의 냄새가? 시리즈>


[①] 윤치호는 왜 “총독부가 아무리 '왜설날' 강요해도 조선인은 끝내 설 쇤다”고 썼나?





[②] 염상섭의 ‘지 선생’은 어떻게 침뱉어 만세 부르고, 총독부는 이를 ‘정의롭게’ 만들어줬나




Posted by
,

매일 늦게까지 잔업을 하는 직원에게 동료가 비아냥거렸다. “너는 그렇게 힘들게 일한다면서 왜 살이 안 빠지고 오히려 찌냐?”

 

이런 무식한 질문에는 이렇게 답을 해줘야죠. “너는 스트레스 살도 모르냐?”.

 

흔히들 스트레스를 받으면 살이 빠진다고 생각하지만 스트레스가 오히려 살을 찌운다는 연구 결과가 미국 하버드대학에서 7일자로 나왔습니다. 미국 사람 1355명을 9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랍니다.


 

스트레스 받는 원인, 여자가 훨씬 다양

 

연구를 진행한 제이슨 블락 교수는 스트레스 살이 찌는 데도 남녀가 다르다고 했습니다. 여자는 여러 원인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허리가 굵어진답니다. 경제 문제, 힘든 직장 일, 가족 사이의 불편한 관계, 자기 삶의 조건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 모두가 여자에게는 스트레스 원인이 된다고 하네요.

 

반대로 단순한 동물남자에겐 스트레스 종류도 간단해, 가족 사이의 불편한 관계, 삶의 조건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 따위는 별 스트레스가 아니라는군요. 남자들이 스트레스를 받는 주요 원인은 직장에서 새로운 일을 잘 배우지 못할 때, 그리고 재미있다고 생각한 일을 제대로 해내지 못할 때처럼 일 스트레스들이고, 이럴 때 스트레스 살이 찐답니다.


 

통통한 사람 스트레스 받으면 살 팡팡 쪄

 

스트레스 살은 스트레스를 받기 전 상황에 좌우된다는군요. 말랐던 사람은 스트레스를 받아도 별로 살이 찌지 않지만 이미 뚱뚱한 사람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팡팡 살이 찐답니다.

 

연구진의 결론은 체중 조절을 하려면 먹는 것도 중요하지만 마음도 중요하다는 것이죠. 마음이 편하지 않으면 살 빠지기가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우리 주변에서도 이런 경우를 많이 보죠. 황제다이어트나 단식이니 해서 기껏 살을 빼 놓고는 조그만 지나면 바로 원상복귀 하는 요요현상이죠. 이렇게 요요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기본적으로 사람 몸이 원래 유전자가 정해 준 대로 일정 체중을 유지하려고 끊임없이 노력하는 이유도 있지만, 심리적 불안정도 큰 역할을 합니다.


 

모니카 셀레스 마음 비우니 살 빠지더라

 

다이어트에 마음이 얼마나 중요한가는 90년대 초 세계를 휩쓴 여자 테니스 선수 모니카 셀레스(Monica Seles, 36)의 자서전에 잘 나와 있습니다.

 

1990-1991-1992년 프렌치 오픈 3연승, 1991-1992US오픈 2연승 등 찬란한 시기를 구가한 그녀는 지난 4꽉 잡기: 내 몸, 마음, 자신에 대해(Getting a Grip: On My Body, My Mind, My Self)’란 자서전을 냈는데 여기서 자신의 다이어트 투쟁사를 털어놨다고 외신들이 보도했습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폭식을 하는 습관이 있던 그녀는 시중에 나와 있던 다이어트 책이란 책은 모두 사서 읽었으며 새해마다 올해는 30파운드를 빼야지라고 작심했지만 살은 안 빠지고 건강만 상했답니다. 비싼 돈을 주고 영양사, 트레이너 등을 고용해 돈으로살을 빼려고도 했지만 도대체 소용이 없었다지요.

 

그러던 어느 날 그녀는 내가 왜 영양사, 트레이너의 명령을 들으며 다른 사람들이 보기 좋은 몸을 만들려고 이 고생을 해야 하지?” 하는 생각에 이들을 모두 해고했답니다. 그리고 그때까지 해 왔던 식이요법을 집어치우고 먹고 싶은 걸 편안하게 먹되 무지무지하게 많이 걷기 시작했답니다. 트레이너가 시켜서 걷는 게 아니고 그냥 자기가 좋은 대로 걸어 다니는 운동입니다. 이렇게 식이요법을 집어치운 뒤 그녀의 살은 꺼지기 시작했고 지금은 날씬한 몸매를 자랑합니다.

 

초조한 마음으로 다이어트를 하는 것보다는 욕심내지 않고 차분하게 생활하는 것이 살을 빼는 첩경이란 점을 우리는 그녀의 경험에서 알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받으면 몸은 '비상사태' 맞을 준비를 시작

 

스트레스를 받으면 살이 찌는 이유는 여러 연구가 밝혔습니다. 미국 예일대 연구진은 2004년 스트레스를 받으면 우리 몸은 살아남기 위한 생존 모드에 돌입하면서 코르티솔이라는 스트레스 호르몬을 많이 분비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이 호르몬은 비상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식욕을 높이고 복부지방을 쌓기 시작한답니다.

 

또 스트레스를 받아 잠을 충분히 못 자면 지방을 분해하는 렙틴 호르몬은 줄어들고, 식욕을 돋우는 그렐린 호르몬이 늘어나면서 살찌게 된다는 연구 결과를 아주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김대중 교수와 미국 콜럼비아대 정신과 제임스 강비쉬 교수 팀이 지난 2월 발표한 바 있습니다.

 

여기다 한국식으로 말하자면 스트레스 받으면 술 먹게 되고 자기 전에 라면 먹게 되잖아요? 경제난에 항상 시끄러운 나라 한국이기에 스트레스를 안 받고 사는 게 참으로 힘들지만, 그래도 초조하게 열량을 계산하기 보다는 마음 편히 먹으면서 몸을 재게 움직이는 게 살빼기, 아니 건강하게 유전자가 정해준 내 몸매 지키기의 왕도란 점을 알았으면 좋겠습니다.


<책 읽는 북손탐의 추천 동영상>



Post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