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익빈 부익부’ 싫어하는 뇌 현상을 뇌촬영으로 증명

칼텍 연구진이 촬영한 뇌 사진. 가난한 사람에게 돈이 돌아가자 뇌의 보상 부위에 선명하게 불이 밝혀지며 기뻐하는 모습이 촬영됐다.


‘인간은 철저하게 이기적’이라는 경제학의 대전제를 깨는 연구 결과가 잇달아 나오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뇌는 경제적 불평등을 혐오한다’는 뇌 촬영 결과가 세계적인 과학지 ‘네이처’ 2월25일자에 실렸다.


인간은 정말 철저히 이기적인가? 경제학 대전제 속속 깨져

미국의 칼텍, 아일랜드의 트리니티 칼리지의 경제학자-신경과학자로 구성된 연구 팀은 실험참여자 40명에게 돈과 관계되는 여러 실험을 하면서 이들의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촬영했다. 이 장치는 뇌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다.

뇌 촬영을 하기에 앞서 연구진은 실험참여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절반에게는 실험을 시작하기도 전에 50달러씩을 줘 ‘부자 마인드’를 갖게 하고, 나머지 절반에는 아무 돈도 주지 않아 ‘가난뱅이 마인드’를 갖게 한 것이었다.

"똑 같은 일 하는데 넌 50달러, 쟨 5달러"

그리고 이들의 뇌에 촬영 장비를 장착한 뒤 연구진은 돈과 관계되는 여러 시나리오를 들려 주었다. 시나리오는 예컨대 ‘당신은 50달러를 받지만 당신의 짝은 20달러만 받을 것이다’라든지, 또는 ‘똑 같은 일을 하지만 당신은 50달러를 받을 것이고 당신 짝은 단돈 5달러만을 받을 것이다’ 등이었다.

이렇게 경제적 보상이 불평등하게 이뤄지는 상황을 들려 주자 실험참여자들의 뇌에서는 놀라운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우선 ‘가난뱅이 마인드’로 시작한 사람들의 뇌에서는 연구진이 예상했던 변화가 일어났다. 즉 가난뱅이 자신이 더 많은 돈을 받게 되면 이들 뇌의 보상 관련 부위가 활발하게 움직였다. 반대로 이들은 다른 사람에게 돈이 더 많이 돌아가는 상황에는 비교적 무관심했다.

뇌의 보상 관련 부위는 음식을 먹거나, 칭찬을 듣거나, 음악을 듣거나 할 때처럼 좋은 일이 있을 때 활발히 활동하는 부위다.

'부자 뇌'가 양극화 해소 더 기뻐해

놀라운 반응은 ‘부자 마인드’의 참여자 뇌에서 나타났다. 출발부터 자신은 큰 돈을 받고 상대방은 1원 한 장 받지 않았다는 사실에 부담을 느낀 이들은 가난뱅이에게 더 많은 돈이 주어진다고 했을 때 뇌의 보상 부위에 환하게 불이 들어오면서 기뻐하는 반응을 보였다.

가난한 사람에게 혜택이 돌아가 불평등이 조금이라도 해소된다는 사실을 기쁘게 여기는 뇌 반응을 보여 준 것이었다.

연구진은 이런 결과를 “가난한 자는 자신에게 돈이 들어올 때는 즐거워하고 부자에게 돈이 들어갈 때는 무관심하지만, 부자는 가난한 사람에게 돈이 들어갈 때 더 기뻐한다"며 "이는 ’내가 더 누리고 있다‘는 부자의 불편한 마음이 일부 해소되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부자건, 가난뱅이건 경제적 불평등이 해소되면 뇌의 보상 부위가 활성화되는 본능적 반응을 보인다는 것이 결론이었다. 연구진은 뇌의 이러한 특징을 ‘불평등을 혐오하는 뇌의 신경학적 증거’라고 이름붙였다.

뇌는 자그마한 불평등에도 정말 민감한데…

연구에 참여한 칼텍 행동경제학과의 콜린 캐머러 교수는 “경제학에서는 인간은 기본적으로 이기적이고 다른 사람을 도우려 하지 않는다고 가르치지만 이번 연구 결과는 그런 대전제가 틀릴 수 있음을 분명히 보여 준다”며 “만약 그런 전제가 맞다면 다른 사람에게 더 많은 돈이 들어가는 상황에서 뇌가 기뻐할 리 없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칼텍 심리학과의 존 도어티 교수도 “뇌의 이러한 반응은 인간의 본능을 보여 주는 것”이라며 “교육이나 사회적 관습에 따른 학습 효과 때문에 뇌가 이런 반응을 보인다고 해석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뇌가 이렇게 반응하면 일 제대로 하겠는가" 추가 연구

뇌는 본능적으로 아주 미세한 불평등에도 민감하고, 자신이 더 많은 혜택을 받는 것에 대해 불편해 한다는 설명이다.

연구진은 앞으로 뇌의 이러한 반응이 실제 사람들의 행동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즉 같은 일을 하면서 보수를 적게 받는 사람은 그에 대한 반응으로 일을 덜 열심히 하고 그래서 일의 결과에 무관심해지는지 등의 행동 반응을 추가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Posted by
,
태어난 순서 따라 성격 달라지기 때문


형제자매 중 첫째는 동생보다 자기보호 본능이 강해 다른 사람을 잘 믿지 않고, 협동심이 부족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위 사진은 사진가 이형록의 작품)

프랑스 몽펠리에르 진화과학연구소의 알렉상드르 코르티올 박사 팀은 형제 사이 순서가 타인에 대한 신뢰나 협동심 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생 510명을 상대로 금융게임을 시켰다.

참가자들은 2명씩 짝을 이뤄 서로 누구인지 모른 채 게임머니를 갖고 금융게임을 한 뒤 남은 돈을 현금으로 환전했다. 2명 중 A에 속한 사람은 개인투자가, B는 금융기관의 역할을 맡았다. 연구진은 A에게 게임머니 30 단위를 주고 투자자 역할을 하도록 했다. A는 게임머니를 투자하면 3배로 수익을 낼 수 있음을 알고 자신이 원하는 양만큼 B에게 투자를 했고, B는 A에게 받은 게임머니를 불려 돌려주도록 했다. 

연구진은 A가 B를 믿고 얼마나 많이 돈을 맡기는지를 바탕으로 다른 사람을 믿는 신뢰도를 측정했다. B에서는 상대방에게 돈을 얼마나 많이 불려서 주는지를 기준으로 협동심을 측정했다. 


동생 태어나면서 부모 사랑 뺏기고 이기적-폐쇄적 되기 쉬워

그 결과, 장녀나 장남은 A역할을 하든, B역할을 하든 동생이나 외동이보다 돈을 더 적게 투자하고 또 덜 돌려줬다. 첫째가 A 역할을 맡을 때는 동생이나 외동이보다 B에게 돈을 25% 덜 투자했고, B 역할을 할 때는 22~29% 덜 돌려줬다. 

연구진은 성별, 수입, 종교적 믿음 등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소를 고려하더라도 출생순서에 따라 이렇게 신뢰도-협동심에 차이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코르티올 박사는 “첫째는 자라면서 동생이 태어나면 부모의 관심을 동생에게 빼앗기면서 냉소적으로 바뀌고 타인에 대한 신뢰와 협동심이 부족해진다”며 “태어난 순서가 남과 협동할 수 있는 에너지의 양을 정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첫째는 동생 때문에 자기보호 본능이 발달하면서 이기적이고 폐쇄적인 성격이 되기 쉽다는 것이다. 이 연구 과는 학술지 동물행동(Animal Behaviour)' 12월 6일자에 실렸다.

<책 읽는 북손탐의 재밌는 동영상들>








Posted by
,

 

가족전화 핸드폰

함께 식사 혼자 식사

무료 공교육 → 돈 받는 사교육

공중파 방송 → 케이블 방송

이렇게 세상은 계속 개인화되고 있지만

 

인터넷의 게시판, 카페, 블로그, 정보공유 사이트 등이

인간의 공유 정신을 계속 지켜나간다

 

세상은 꼭 신자유주의, 우파 정권이 아니더라도 계속 개인화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집 전화를 가족이 함께 썼지만 이제 각자 핸드폰으로 통화를 해결하며, 밥도 가족이 모여 함께 먹는 일이 드물어지고 있습니다.

 

미수다에서 왜 외국 미녀들이 말하잖습니까. “한국 드라마를 보면 가족들이 빙 둘러 앉아 밥을 먹는 장면이 자주 나와 한국 사람들은 그렇게 밥을 먹는 줄 알았는데 막상 와 보니 전혀 그렇지 않더라.

 

여기다 우파 정권이 들어서면 교육도 돈 가진 순서대로라는 이기적 정신이 구현되면서 사립학교 또는 사교육이 강화되며, 방송도 누구나 볼 수 있는 공중파 방송에서 돈을 내고 보는 케이블-IPTV로 바뀌어 가죠. 우리가 요즘 매일 확인하는 현상들입니다.

인간의 중요한 행동 방식인 나누기, 그간 무시돼

 

캐나다 토론토에 있는 요크 대학의 러셀 벨크 교수는 학술지 소비자 연구 저널(Journal of Consumer Research)’ 최근호에 발표한 논문에서 이런 추세가 사람들의 나누기 정신을 망가뜨리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소비자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가 조건 없이 나누기인데 그간 소비자학에서는 소비자의 이런 나누기 행동을 무시해 왔다고 했습니다.

선물 주고받기와 조건없는 나눔은 달라

학걔는 그간 선물을 주고 받는 행동을 서로 나누는 행동으로 착각해 왔다는 것입니다. 누구나 다 경험해 봤겠지만 선물 주고받기는 보통 힘든 일이 아닙니다. 받으면 줘야 하는 의무감이 생기기 때문이죠.

반면 조건없는 나누기는 예를 들자면 부모가 자식에게 베푸는 부양이 대표적이죠. 부모의 보살핌을 받았다고 자식이 빚을 졌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자식이 성인이 돼 독립해 나갈 때 부모가 여태까지 널 기른 명세표를 들이밀지는 않는다는 것이죠.

 

원시 사회에서도 이런 나누기는 기본이었다죠. 맘모스 같은 큰 먹이를 여럿이 함께 잡았건, 아니면 어떤 잘난 사냥꾼이 혼자 잡았건, 고기는 무리의 모든 사람이 나눠 먹었다는 거죠. 냉장고도 없는 시대에 내가 다 먹겠다고 고집을 부려 봐야 바보 소리밖에 들을 수 없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큰 사냥감을 조건없이 나눠 먹는 행동은 원시 시대와 다를 바 없는 생활을 하는 현대의 수렵-채집 사회에서도 여러 번 확인됐답니다. 

내것-네것 아닌 우리것 개념 키워야

 

기술의 발달과 생활 패턴의 다양화로 나누기 정신이 점점 옅어지고 있지만 벨크 교수는 인터넷에서 희망을 봅니다.

 

인터넷에 수도 없이 많은 정보 공유 사이트, 기술-조언-팁을 무료로 주는 커뮤니티 사이트,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블로그, 포럼, 카페, 친구맺기 사이트 등이 인간 고유의 나누기 정신을 적극적으로 실현하고 확대하고 있다는 것이지요.

 

벨크 교수는 이러한 나누기 정신을 더욱 북돋기 위해서는 두 가지를 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하나는 물건에 대해 내 것, 네 것 나누지 말고 우리 것’이라는 개념을 키울 것, 그리고 두 번째는 물건보다 사람을 포용하면서 확장된 자아를 가지는 것입니다. 

 

한국에서 특히 더 두드러지는 현상이겠지만 날로 개인화되고 다른 사람에 대해 나 몰라라하는 태도가 권장되는 사회에서 인터넷이 나누기 정신을 살리는 수단이 되고 있다니 마음이 놓이는 소식입니다.

 

사실 인터넷은 처음서부터 저작권(copyright)에 대항하는 베낄 권리(copyleft)를 기본정신으로 시작됐습니다.

 

그러나 최근 극우 보수방송 폭스뉴스 등 주요 매체를 엄청 많이 보유한 뉴스코퍼레이션의 루퍼트 머독 회장이 공짜 인터넷 신문의 시대는 갔다며 인터넷 언론 유료화를 추진하고 있어 앞으로도 이 양 진영의 힘겨루기는 계속될 전망입니다.


Post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