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다 아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게 있습니다. 아들은 엄마를 사랑하면서 아빠를 미워한다는 것이죠. 반대로 엘렉트라 콤플렉스라는 것도 있죠. 딸은 아버지를 사랑해 엄마를 제거하고자 한다는 것입니다.

 

프로이트가 제시한 이 개념은 아직도 언론지상에 종종 등장합니다. 그런데 이 콤플렉스가 맞을까요? 정말로 누구나 아들은 엄마를, 딸은 아빠를 사랑할까요? 그게 본능일까요?

 

올해는 찰스 다윈 탄생 200주년이고, ‘종의 기원출판 150주년이 되는 해여서, 전세계적으로 축하행사들이 잇달아 열리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윈과 진화론의 탄생이 축하되는 것은 그만큼 진화론이 과학적으로 인정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간 진화론자들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말이 안 된다는 사실을 여러 방법으로 증명했습니다.

 

개나 고양이를 보면 새끼가 어미와 교미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짐승이라는 소리가 나오는 순간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일부 동물이 어미와 교미한다고 새끼의 어미에 대한 사랑이 보편적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동물학을 몰라도 정말 너무 모르는 소리입니다.



나이 차면 침팬지-고릴라 암컷이 가족 떠나는 이유 
 

사람과 가까운 침팬지나 고릴라를 보면 근친상간을 피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갖춰져 있다고 합니다. 침팬지나 고릴라 암컷은 일정 연령이 되면 자기 그룹을 떠나 다른 그룹의 수컷에게로 시집가는경우가 많답니다. 또한 수컷이 나이가 차면 무리를 떠나는 경우도 있죠.

 

따라서 침팬지 수컷 새끼가 태어나 교미를 할 정도 나이가 되면 암컷 형제들은 다 다른 그룹으로 떠난 상태이기 때문에, 다른 암컷에게서 태어난 암컷을 교미 상대로 찾을 수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근친상간을 피하려는 이런 양상은 여러 동물에서 관찰됩니다. 최근 ‘BMC Evolutionary Biology(진화생물학)’라는 학술지 630일자에 실린 검정세발가락갈매기(black-legged Kittiwake)의 짝짓기에 대한 연구 논문도 이런 근친상간 기피 현상을 보여 줍니다.

 

이 새가 특히 관심을 끄는 것은 새 중에서는 특이하게도 한번 짝을 맺으면 평생 함께 사는 일부일처 새이기 때문이랍니다. 한번 짝을 고르면 평생 사니 짝을 고를 때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를 동물학자들이 연구할 만하죠.

 

결과는 유전적으로 아주 멀리 떨어진 짝을 암컷과 수컷이 의식적으로 찾고, 이렇게 유전적으로 먼 암수가 만나 낳은 새끼들은 튼튼하게 잘 자란답니다.

반면 이들 새 중 일부는 유전적으로 가까운 개체와 짝을 맺는데
, 그러면 대개 새끼들이 부실해 일찍 죽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 유전적으로 가까운 짝을 고르는 것은 후손이 남을 여지를 없애는 자살행위라는 것이죠.

 


유전적으로 가까운 사람을 기가 막히게 피하는 게 사람인데...


사람도 유전적으로 먼 짝을 고른다는 연구 결과는 많이 나와 있습니다
. 미국 뉴욕주립대 연구진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첫 키스를 한 뒤 상대와 헤어졌다는 비율이 남자 대학생은 59%, 여자 대학생은 66%나 됐다고 합니다. 이렇게 첫 키스에서 쫑이 나는이유는 바로 냄새로 상대방의 유전자 특징을 파악하기 때문이라는 해석입니다.

 

두 사람이 침을 섞으며 첫 키스를 할 때 상대방에 대한 엄청난 정보가 전달되는데 이때 상대방이 유전적으로 자신과 가깝다고 판단되면 무의식적으로 상대를 멀리 하게 된다는 결론입니다.

 

티셔츠에 밴 남녀의 체취로 마음에 드는 상대방을 고르라고 했더니 유전적으로 거리가 먼 이성을 골랐다는 실험 결과도 있습니다.

 

이렇게 새부터 사람까지 유전적으로 가까운 상대를 최대한 피하려는 특징이 진화돼 있는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유전자의 절반이 나와 같은 부모를 사랑의 대상으로 선택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지요. 진화론자 입장에서 본다면 말도 안 되는 거짓말인 것이지요.

 


성선택론자가 설명하는 '말도 안 되는 이유' 

인간의 두뇌가 커진 현상 등이 모두 암컷과 수컷이 서로를 고르면서 그렇게 됐다는 이른바
성선택론을 주장해 요즘 최고로 잘 나가는 진화론 학자 중 하나인 제프리 밀러는 자신의 저서 연애(The Mating Mind)’에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대해 이런 내용을 썼습니다.

 

어린이들은아빠, 나 좀 봐!’ 하면서 자기 능력에 버거운 뭔가를 해내는 모습을 부모에게 보여 주려 한다. 이는 자신의 적응도(생존할 수 있는 능력)를 과시하기 위해서다. 어미새는 어떤 새끼에게는 벌레를 주고 어떤 새끼는 굶겨 죽인다. 이는 새끼 기르기라는 힘든 일에서 되지도 않을 싹수에 헛된 투자를 하지 않기 위해서다.

 

부모가 이렇게 차별 부양을 하기 때문에 새끼는 살아남으려면 부모에게 자신의 적응도를 증명해야 한다. 부모에게 자신의 적응도를 보여 줄 때 자식은 구애에 사용되는 전략들을 사용한다. 튼튼하고 잘난 점을 적극 내세우는 것이다. 여기에 숨겨진 성적 동기 따위는 없다.

 

따라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엘렉트라 콤플렉스는 틀렸다. 프로이트는 아이들이 부모를 겨냥해 적응도를 자랑하는 행위, 즉 원기왕성한 놀이, 재미있는 이야기하기, 장난스런 대화 등을 발견하고는 이것을 부모와 성관계를 하려는 아이들의 은밀한 욕망이라고 추론했다. 말도 안 된다. 아이들이 원하는 것은 근친상간이 아니라 부모의 부양투자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말도 안 되는 이론을 완전히 폐기처분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 이런 주장, 동물 연구 등이 맞다고 생각한다면 이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니 하는 말은 추방돼야 할 것 같습니다.

Posted by
,

 

스페인 대학 조사 결과

 

페미니스트들은 겉으론 아니라고 하지만 속으로는 여자가 남자보다 더 큰 힘을 갖게 하려고 한다.’

 

대부분 여자들은 남자가 그들에게 해 주는 것에 대해서 충분히 감사하지 않는다.’

 

남자에게 시시덕거리며 접근했다가 나중에 아니라고 부정하는 여자가 있는데 그런 여자들은 대개 남자를 놀리려고 그런 짓을 한다.’

 

스페인 그라나다 대학 심리학과 연구진이 18~26세 남자 대학생 109명 중 일부에게 실험을 위해 들려 줬다는 성차별 농담 중 일부다. 당신은 이런 농담을 들으면 맞다고 생각하는가, 틀리다고 생각하는가?

 

연구진은 남자 대학생들은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에는 이런 농담을 들려 주고, 나머지 그룹에게는 성차별 내용이 없는 농담을 들려 줬단다. 그리고 이어 남자가 여자에게 간단한 정도부터 심각한 정도까지 폭력을 가하는 상황을 말해 주면서 이럴 경우 당신은 어떤 태도를 취할 것이냐?”고 물어 보았다.

 

측정 결과, 여성차별 농담을 들은 남학생일수록 여자에 대한 남자의 폭력에 무감각해지는 경향을 보이더라는 것이 연구의 결론이다. 여성을 비하하는 농담을 많이 들을수록 여성에 대한 폭력에 둔감해지면서 잘못 했으니 맞는다는 태도를 갖기 쉽다는 것이다.

 

이런 조사 결과는 2일 스페인 그라나다에서 열린 세계 최대의 농담 관련 학술대회인 유머와 웃음에 관한 국제 여름 심포지엄에서 첫날 발표됐다.


<책 읽는 북손탐의 재밌는 동영상>


Posted by
,


왜 악당은 착한척하고, 착한듯한 사람이 못된짓 할까?

좋은 사람으로 알았는데 어느 날 갑자기 못된 행동을 하는 사람이 있지요. 예컨대 평소엔 너무나 예의 바르던 사람이었는데 운전대만 잡으면 난폭 운전을 하는 경우입니다.

 

종교인들도 이런 짓을 잘하죠. 너무 경건한 말씀만 하시던 분이 테이블 아래로 돈다발을 센다거나, ‘이상한 짓을 하다가 들켜 여관 창문으로 뛰어내리는 것 같은 행동입니다.

 

이럴 때 우리는 그럴 사람이 아닌데라고 말합니다.

 

그런데 왜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지, 즉 그럴 사람이 아닌데 왜 그런 짓을 하는지를 심리학적으로 밝힌 연구가 미국에서 나왔습니다. 미국의 명문 노스웨스턴 대학에서입니다.

 

스스로를 선의 화신이라 생각하면

 

연구진은 가설을 세웠습니다. 나쁜 놈이 착한 일을 하고, 착한 놈은 나쁜 일을 할 것이라고. 즉 스스로를 아주 아주 착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갑자기 나쁜 짓을 할 때가 있고, 반대로 스스로를 악당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어쩌다 한 번은 관대한 행동을 하지 않고는 못 배길 것이란 가설이었습니다.

 

연구진은 실험 참가자 46명을 모았습니다. 그리고 이들에게는 필체 연구소에서 조사를 한다고 속이고는 글을 쓰게 했습니다. 단 조건이 있었죠. 한 그룹에게는 친절하다, 돌봐주다, 관대하다, 정직하다 같은 착한 말을 반드시 넣어 쓰도록 했고, 다른 그룹에는 이기적이다, 잔인하다, 속인다 같은 나쁜 말을 넣도록 했습니다. 비교를 위해서 세 번째 그룹에게는 책, , 집처럼 선악 판단과는 아무 상관 없는 말을 넣도록 시켰습니다.

 

글짓기를 시키면서 연구진은 또 다른 주문도 했습니다. “글을 쓴 뒤 최고 한도 10달러 이내에서 기부를 하실 수 있으니 기부하고픈 액수를 써 달라는 것이었습니다.

 

결과는 어땠을까요? 아주 재미있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부정적인 단어를 쓰며 글을 쓴 사람들의 기부액 평균이 5달러로 가장 높았습니다. 중성적 단어로 글을 쓴 사람은 평균 3달러를 기부했고, 착한 단어만 쓴 사람들은 단 1달러만 기부했습니다.

 

자신에 대해 부정적 감정 가진 사람이 기부는 더 많이

 

즉 착한 단어만 골라 쓰면서 스스로 착한 사람이 됐다고 느낀 사람은 막상 기부해야 할 순간이 오자 나는 착한 사람인데 뭐라면서 기부액이 짜진 것이고, 나쁜 단어를 쓰면서 스스로에게 부정적 감정을 느낀 사람들은 그래, 쓸 땐 써야지라는 기분이 들면서 최고액 기부를 하게 됐다는 결론입니다.

 

연구진은 약간 조건을 달리 한 실험도 추가로 했습니다. 이번에는 참가자들에게 당신들은 어느 공단의 공장장들이다. 아주 돈이 많이 드는 공해 방지 필터가 있는데 당신들 공장장들은 비용을 줄여야 하기 때문에 필터 가동을 60%만 하기로 약속했다고 상황을 부여했습니다. 그리고는 앞 실험에서처럼 각자가 스스로에 대해서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생각하도록 만들었습니다.

 

스스로 착하다고 생각하면 거침없이 나쁜 짓

 

그리고 당신은 그 비싼 공해방지 필터를 얼마나 돌릴 것인가?”라고 물었답니다. 그러자 역시 마찬가지로 부정적 기분에 있는 사람이 손해를 보더라도 73%까지 돌리겠다고 크게 마음을 쓴 반면, 자신을 도덕적이라고 생각하도록 유도된 사람들은 “55%만 필터를 돌리겠다고 말했다는 군요. 스스로를 가장 착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공해방지 노력에서는 못된 짓을 당당하게 한다는 결론입니다.

 

이 실험에 대해 연구진은 이런 결론을 내렸습니다. “착해지는 것은 힘들고 에너지가 많이 들어가는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한 분야에서 자신이 아주 양심적이고 좋은 일을 많이 했다고 스스로 자신하는 사람들은 다른 분야에 가서는 좀 악한 일을 해도 된다고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연구진은 이런 비유도 했습니다. “비행기가 너무 높이 올라가면 비행기 운전하기가 힘들어진다. 이럴 때 해결책은 아래로 내려가는 것 말고는 없다. 반대로 비행기가 너무 낮게 내려가도 사고가 난다. 유일한 해결책은 어떻게든 올라가는 것이다.”

 

인간의 가슴 속에는 대개 이런 도덕심의 절대 기준이 있기 때문에 악한 짓을 많이 한 사람은 착한 짓을 하고 싶어지고, 착한 짓을 스스로 많이 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악한 짓을 좀 해도 문제가 없다고 느낀다는 해석이지요..

 

-----토 나쁜 짓, 일요일 두 손 모아 기도

 

이런 착한 짓, 나쁜 짓 얘기를 하다 보면 요즘 한국 사회를 시끄럽게 만드는 이상한 사람들 생각이 떠오르지 않을 수 없습니다. 못된 짓만 하면서 스스로는 국민에게 좋은 일을 하고 있다고 착각하는 이상한 사람들입니다.

  

이 실험을 보면 차라리 마음 속으로 나는 좀 나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오히려 행동에서는 선한 행동을 할 가능성도 있는 것 같습니다. 스스로를 도덕의 화신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오히려 못된 짓을 태연하게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제 개인적인 경험입니다만, 재미 한인의 거의 대부분이 교회를 다니는데, 교회 안 다니는 극소수 또는 소수의 불교도 중에서는 극악무도한 파렴치범이 잘 안 나오는 반면, 교포 사회에서 날고 기는 사기꾼들은 대개 일요일마다 열심히 교회에 다니는 분들입디다.

그들의 드높은 사기 심리, 즉 월-----토요일에는 사기를 치고 일요일에는 경건하게 두 손 모아 기도하는 모습을 보고 이마에 땀방울이 많이 맺혔었습니다만, 이 논문을 읽어 보니 왜 그랬는지 이해도 가는군요.

 

나쁜 놈이 착한 척 하고, 착한 놈은 못된 짓을 태연하게 한다는 사실은 해방 이후 한국의 대통령들 면면만 봐도 알 수 있지 않나요? 이제 우리도 좀 제대로 알아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나 착한 사람입니다라고 나서는 사람을 조심해야 한다는 걸.


<책 읽는 북손탐의 추천 동영상>


 

 

 

Post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