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 과학자들, 무성생식하는 곰팡이를

암수로 나누어 섹스하게 함으로써

나무에서 바이오연료 뽑아내는 기술 개발

 


암컷과 수컷이 짝짓기를 해 새끼를 만들어 내느냐(유성생식), 아니면 혼자서 제 몸을 불려 새끼를 만드느냐(무성생식)는 진화론에서 중요한 관찰 사항 중 하나다.

 

그런데 이번에 오스트리아 과학자들이 홀몸으로 사는 홀아비 곰팡이를 장가보내 나무에서 바이오연료(biofuel)를 뽑아낼 수 있는 기막힌 신품종 혼혈 버섯을 만들었다고 해서 화제다.

 

미국의 온라인 과학 뉴스 라이브사이언스는 11일 트리코더마 레세이(Trichoderma reesei)란 곰팡이를 장가보내 신품종 버섯으로 만들어낸 스토리를 보도했다.

 

이 트리코더마 곰팡이는 2차 대전 때 미군의 면직물 옷과 천막 등을 갉아 먹는 바람에 그 존재가 알려졌다. 이 곰팡이는 나무의 주성분인 셀룰로스를 녹여 포도당(글루코스)을 만들어내는 탁월한 기술을 가졌다.

 

이렇게 신통한 재주를 가졌지만 무성생식을 하는 곰팡이이기 때문에 과학자들 입맛에 딱 맞도록 나무를 녹여내는 품종으로 만들어낼 수가 없었다. 무성생식을 하는 개체는 부모나 자식이나 모두 똑 같은 유전자를 갖고 있기 때문이었다.

 

과학자들은 그 동안 트리코더마 곰팡이와 유전적으로 거의 동일하지만 유성생식을 하는 다른 곰팡이 종류를 발견했다. 히포크레아 제코리나(Hypocrea jecorina)라는 학명의 이 곰팡이는 암컷이 있고 수컷이 있다.

암수 따로 있는 비슷한 종자에 접붙여 암수 분리 성공

 

오스트리아 과학자들은 이 두 품종을 결혼시켜 보면 어떨까 하고 생각했다. 그래서 수컷 성질을 띤 트리코더마를 암컷 히포크레아에 접붙여 봤다. 결과는? 셀룰로스를 분해하는 성질은 그대로 가지면서 암수가 따로 있어 과학자들이 이리저리 접붙이면서 품종개량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암수 분리 트리코더마 곰팡이가 생겨난 것이었다.

 

이 신종 트리코더마 곰팡이에게 톱밥, 잡초, 나무 부스러기 등을 주면 이 곰팡이가 식물 속의 셀룰로스를 쓱싹쓱싹 분해해 연료로 쓸 수 있는 포도당을 만들어낸다니 신통방통한 놈이 아닐 수 없다.

 

식물 속의 셀룰로스는 거의 무한정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자원 중 하나지만 셀룰로스를 분해할 수 있는 박테리아를 몸 속에 갖고 있는 동물은 흰개미(터마이트)뿐이다. 목조건물의 나무를 갉아먹어 건물을 못 쓰게 만들어 원성을 사고 있는 녀석들이다.

농산물 갉아먹는 곰팡이 죽이는 효과도

 

양성을 한 몸에 갖춘 남녀한몸에서 당당하게 암컷과 수컷으로 나뉘어 새로 탄생한 트리코더마 곰팡이의 맹활약으로 에너지난이 해결되길 기대해 본다.

 

또한 이 신종 트리코더마 곰팡이 중에는 농장에 해로운 곰팡이를 죽이는 종자도 있어 앞으로 식량 증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니 여러 모로 기특한 녀석이 아닐 수 없다


<따박따박 읽어내는 북손탐의 재밌는 동영상들>



번역의 신경지! 들리는대로 정직하게 번역한 아다모의 '똥블라네주'~~ㅋ

"네가 돈 벌어 나 줘. 지난 달에 빠졌수아~"


 

"네가 돈 벌어 나 줘. 지난 달에 빠졌수아~" 시키는 사장님 되려면

 

열심히 노오력하면 절대로 안 되고, 

더욱더 오오만 해져야 한다능~ㅋ




고흐가 미쳤다고? 이렇게 맨정신인데? 

고흐는 열정만의 화가라고? 책을 이렇게나 많이 읽은 지식인인데? 

우리가 잘못 배운 빈센트의 진면모!



메시와 호날두 중에 누가 좋냐고? 

난 단연코 호날두!! 

왜냐고? 인간적이잖아!! 

동양인 비하하느라고 눈찢는 메시가 좋으니? 

호날두는 저런 천박한 짓 말라고 메시 같은 것들한테 아래위로 찢어주잖아.   


"아래위로 눈 찢어진 야만인들아!"라면서



돈에 구애받지 않고 사는 법이 있다고라고라??






Posted by
,

누구나 다 아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게 있습니다. 아들은 엄마를 사랑하면서 아빠를 미워한다는 것이죠. 반대로 엘렉트라 콤플렉스라는 것도 있죠. 딸은 아버지를 사랑해 엄마를 제거하고자 한다는 것입니다.

 

프로이트가 제시한 이 개념은 아직도 언론지상에 종종 등장합니다. 그런데 이 콤플렉스가 맞을까요? 정말로 누구나 아들은 엄마를, 딸은 아빠를 사랑할까요? 그게 본능일까요?

 

올해는 찰스 다윈 탄생 200주년이고, ‘종의 기원출판 150주년이 되는 해여서, 전세계적으로 축하행사들이 잇달아 열리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윈과 진화론의 탄생이 축하되는 것은 그만큼 진화론이 과학적으로 인정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간 진화론자들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말이 안 된다는 사실을 여러 방법으로 증명했습니다.

 

개나 고양이를 보면 새끼가 어미와 교미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짐승이라는 소리가 나오는 순간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일부 동물이 어미와 교미한다고 새끼의 어미에 대한 사랑이 보편적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동물학을 몰라도 정말 너무 모르는 소리입니다.



나이 차면 침팬지-고릴라 암컷이 가족 떠나는 이유 
 

사람과 가까운 침팬지나 고릴라를 보면 근친상간을 피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갖춰져 있다고 합니다. 침팬지나 고릴라 암컷은 일정 연령이 되면 자기 그룹을 떠나 다른 그룹의 수컷에게로 시집가는경우가 많답니다. 또한 수컷이 나이가 차면 무리를 떠나는 경우도 있죠.

 

따라서 침팬지 수컷 새끼가 태어나 교미를 할 정도 나이가 되면 암컷 형제들은 다 다른 그룹으로 떠난 상태이기 때문에, 다른 암컷에게서 태어난 암컷을 교미 상대로 찾을 수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근친상간을 피하려는 이런 양상은 여러 동물에서 관찰됩니다. 최근 ‘BMC Evolutionary Biology(진화생물학)’라는 학술지 630일자에 실린 검정세발가락갈매기(black-legged Kittiwake)의 짝짓기에 대한 연구 논문도 이런 근친상간 기피 현상을 보여 줍니다.

 

이 새가 특히 관심을 끄는 것은 새 중에서는 특이하게도 한번 짝을 맺으면 평생 함께 사는 일부일처 새이기 때문이랍니다. 한번 짝을 고르면 평생 사니 짝을 고를 때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를 동물학자들이 연구할 만하죠.

 

결과는 유전적으로 아주 멀리 떨어진 짝을 암컷과 수컷이 의식적으로 찾고, 이렇게 유전적으로 먼 암수가 만나 낳은 새끼들은 튼튼하게 잘 자란답니다.

반면 이들 새 중 일부는 유전적으로 가까운 개체와 짝을 맺는데
, 그러면 대개 새끼들이 부실해 일찍 죽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 유전적으로 가까운 짝을 고르는 것은 후손이 남을 여지를 없애는 자살행위라는 것이죠.

 


유전적으로 가까운 사람을 기가 막히게 피하는 게 사람인데...


사람도 유전적으로 먼 짝을 고른다는 연구 결과는 많이 나와 있습니다
. 미국 뉴욕주립대 연구진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첫 키스를 한 뒤 상대와 헤어졌다는 비율이 남자 대학생은 59%, 여자 대학생은 66%나 됐다고 합니다. 이렇게 첫 키스에서 쫑이 나는이유는 바로 냄새로 상대방의 유전자 특징을 파악하기 때문이라는 해석입니다.

 

두 사람이 침을 섞으며 첫 키스를 할 때 상대방에 대한 엄청난 정보가 전달되는데 이때 상대방이 유전적으로 자신과 가깝다고 판단되면 무의식적으로 상대를 멀리 하게 된다는 결론입니다.

 

티셔츠에 밴 남녀의 체취로 마음에 드는 상대방을 고르라고 했더니 유전적으로 거리가 먼 이성을 골랐다는 실험 결과도 있습니다.

 

이렇게 새부터 사람까지 유전적으로 가까운 상대를 최대한 피하려는 특징이 진화돼 있는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유전자의 절반이 나와 같은 부모를 사랑의 대상으로 선택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지요. 진화론자 입장에서 본다면 말도 안 되는 거짓말인 것이지요.

 


성선택론자가 설명하는 '말도 안 되는 이유' 

인간의 두뇌가 커진 현상 등이 모두 암컷과 수컷이 서로를 고르면서 그렇게 됐다는 이른바
성선택론을 주장해 요즘 최고로 잘 나가는 진화론 학자 중 하나인 제프리 밀러는 자신의 저서 연애(The Mating Mind)’에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대해 이런 내용을 썼습니다.

 

어린이들은아빠, 나 좀 봐!’ 하면서 자기 능력에 버거운 뭔가를 해내는 모습을 부모에게 보여 주려 한다. 이는 자신의 적응도(생존할 수 있는 능력)를 과시하기 위해서다. 어미새는 어떤 새끼에게는 벌레를 주고 어떤 새끼는 굶겨 죽인다. 이는 새끼 기르기라는 힘든 일에서 되지도 않을 싹수에 헛된 투자를 하지 않기 위해서다.

 

부모가 이렇게 차별 부양을 하기 때문에 새끼는 살아남으려면 부모에게 자신의 적응도를 증명해야 한다. 부모에게 자신의 적응도를 보여 줄 때 자식은 구애에 사용되는 전략들을 사용한다. 튼튼하고 잘난 점을 적극 내세우는 것이다. 여기에 숨겨진 성적 동기 따위는 없다.

 

따라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엘렉트라 콤플렉스는 틀렸다. 프로이트는 아이들이 부모를 겨냥해 적응도를 자랑하는 행위, 즉 원기왕성한 놀이, 재미있는 이야기하기, 장난스런 대화 등을 발견하고는 이것을 부모와 성관계를 하려는 아이들의 은밀한 욕망이라고 추론했다. 말도 안 된다. 아이들이 원하는 것은 근친상간이 아니라 부모의 부양투자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말도 안 되는 이론을 완전히 폐기처분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 이런 주장, 동물 연구 등이 맞다고 생각한다면 이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니 하는 말은 추방돼야 할 것 같습니다.

Posted by
,



세상에는 남자와 여자가 있고 두 이성이 만나 성행위를 해 아기를 낳는다는 사실은 너무나 분명해서 왜 그럴까?’라는 의문을 품을 여지도 없을 것 같다. 우리 주변의 모든 동물도 암컷과 수컷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양성생식(두 성이 만나 새끼를 낳는)은 생물학자들에게는 수수께끼가 아닐 수 없었다. 박테리아처럼 제 몸을 둘로 쪼개 자식을 만드는 이른바 무성생식이 훨씬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었다.

 

지금 신종플루가 전세계에서 계속 사람들에게 전염되고 있지만 이런 바이러스나 세포는 암컷, 수컷이 필요 없기 때문에 신속하게 번식할 수 있다. 과학자들은 무성생식이 최소한 자손을 두 배 더 많이 만들 수 있는 방법으로 보고 있다.

 


무성생식은 두배 더 많은 새끼를 만들 수 있지만

 

사람은 한 세대가 지나려면 30년 이상이 흘러야 하지만, 세균은 단 몇 분만에 세대를 바꾸면서 엄청난 속도로 진화한다. 신종플루처럼 새로 생긴 바이러스의 침투력이 무서운 이유다.

 

양성생식이 생긴 이유에 대해 생물학자들이 내린 결론은 기생충과 싸우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기생충은 항상 숙주동물을 이용해 살려 하고, 숙주동물에 침투해 숙주동물이 죽을 때까지 착취해 먹으려고 한다. 사람에게 있는 기생충이나 사람 몸에 존재하는 세균 등이 그렇다.

 

그런데 무성생식은 이런 기생충에 약하다. 무성생식으로 태어난 자식은 부모와 유전적으로 완전히 똑같기 때문에 부모에 대한 착취기술을 획득한 기생동물은 자식도 식은 죽 먹듯침투할 수 있다. 유전적으로 똑 같은 자식을 낳는 무성생식의 문제점이다.

 

유전적으로 부모와 완전히 다른 새끼를 만드는 유성생식

 

반면 유성생식은 암컷이 유전자의 절반, 수컷이 유전자의 절반을 공급해 새로운 개체를 만들기 때문에 부모 세대와 유전적으로 완전히 다른 새끼들이 태어난다. 부모 세대를 마음껏 요리했던 기생충이라도 유전적으로 완전히 다른 새끼 세대에 침투하려면 새로운 침투 루트를 개발해야 한다.

 

이렇게 기생동물과 싸우는 방식에서 유성생식이 유리했기 때문에 인간을 비롯한 고등동물들은 모두 유성생식 방식을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세균이나 원생동물은 물론이고 나무 또는 일부 파충류 중에서도 무성생식을 하는 종류가 있다. 뉴질랜드에 사는 달팽이의 일종(학술명  Potamopyrus antipodarum)은 특이하게도 일부는 무성생식을 하고, 일부는 유성생식을 해 섹스의 진화를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두 생식 방법의 차이를 비교하는 좋은 재료가 되고 있다.

 

기생충 때문에 우리는 섹스를 하게 됐다는 가설을 현실에서 증명하고 싶어했던 학자들은 마침내 이 달팽이에서 그 살아 있는 증거를 발견했다. 스위스 해양 과학기술 연구소의 유카 요켈라 박사 등 국제 공동 연구진은 지난 1994년부터 10년 이상 이 달팽이의 개체 증가와 감소를 조사해 왔다.

 


뉴질랜드 달팽이에서 섹스의 가치를 발견

 

그리고 연구진은 학술지 미국 자연주의자(American Naturalist)’ 최근호에 그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10년 이상 이 뉴질랜드 달팽이를 조사한 결과 무성생식을 하는 일부는 새로운 기생충이 퍼지면 개체 숫자가 크게 줄거나 일부는 아예 멸종한 반면, 유성생식을 하는 종류들은 새로운 기생충이 발생해도 일정한 개체 숫자를 유지했다는 것이다.

 

유성생식이 동물계에 처음 나타난 다음 동물들은 유성생식을 하면서 쾌락을 느끼는 쪽으로 진화해 갔다고 진화학자들은 풀이한다. 섹스에 기쁨을 느끼는 개체일수록 더 많이 섹스하고 더 많은 후손을 남기면서 이런 유전적 특징이 점점 더 후손에게 강하게 남게 됐다는 것이다.

 

섹스에서 쾌락을 느끼는 것은 인간만이 아니다. 침팬지나 보노보 등 인간과 가장 가까운 종에서는 사람이 오르가슴을 느낄 때 뇌에서 나오는 호르몬이 이들 유인원에게서도 나오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기생충에 대한 저항으로 유성생식이 생겨나고, 섹스에 기쁨을 느끼도록 진화함으로써 현재 서로 사랑을 느끼는 남자와 여자가 존재하게 됐다는 것이다. 사람에게 해를 끼치려고 호시탐탐 노리는 것이 기생충과 세균이지만, 적어도 섹스에 관한 한 이들 괘씸한 놈들에게 감사를 보내야 할 것 같다.

<따박따박 읽어내는 북손탐의 재밌는 동영상들>




고흐가 미쳤다고? 이렇게 맨정신인데? 

고흐는 열정만의 화가라고? 책을 이렇게나 많이 읽은 지식인인데? 

우리가 잘못 배운 빈센트의 진면모!



메시와 호날두 중에 누가 좋냐고? 

난 단연코 호날두!! 

왜냐고? 인간적이잖아!! 

동양인 비하하느라고 눈찢는 메시가 좋으니? 

호날두는 저런 천박한 짓 말라고 메시 같은 것들한테 아래위로 찢어주잖아.   


"아래위로 눈 찢어진 야만인들아!"라면서



돈에 구애받지 않고 사는 법이 있다고라고라??




Post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