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남은 "지금 아내와 다시 결혼할래" 더 많아


기혼 여성의 70%가 '다시 결혼하면 지금 남편과 안 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드러났다.

KBS 방송문화연구소가 7~12일 전국 20세 이상 성인 남녀 8494명을 대상으로 인터넷을 통해 ‘결혼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결혼 생활에 대해 전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부정적 인식을 가진 비율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미혼자(3433명)에게 결혼할 의향을 물으니 여성 응답자(1708명) 네 명 중 한 명(25.4%)은 ‘결혼할 의향이 없다’고 대답했다.

이는 남성 응답자(1724명) 중 13.6%만이 같은 대답을 한 것에 비하면 결혼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여자에서 두 배나 높음을 보여 주는 결과다.

기혼자에서도 반응은 비슷했다. 기혼 남녀를 대상으로 ‘만약 다시 결혼한다면 지금 배우자와 다시 하겠냐’는 질문에 대해 기혼 여성 응답자(2333명) 대다수(71.9%)가 ‘아니다. 다른 남자를 고르겠다’고 대답했기 때문이다.

기혼남 응답자(2422명)의 절반 이상(53%)이 ‘다시 결혼하더라도 지금 아내와 다시 하겠다’고 대답한 것과 비교한다면 남녀 차이가 크다. 기혼남은 결혼생활에 만족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근소하지만 더 많은 반면, 기혼녀의 경우는 10명 중 7명 이상이 ‘현재의 남편보다 다른 남자를 골라 보겠다’고 대답했기 때문이다.


배우자에게 감추고픈 비밀, 남자 "다른 여자와 관계" 여자는 "비밀 통장"

기혼 남녀를 통틀어서는 ‘지금 배우자와 다른 배우자를 고르겠다’는 응답이 59.2%를 차지해 결혼생활에 만족하지 못한다는 비율이 더 높았으며, 이런 현상은 결혼한 지 오래될수록 더 두드러졌다.

결혼을 꼭 해야 한다는 인식에도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전체 응답자 중 58.7%가 ‘결혼은 해도 좋고 안 해도 좋다’고 응답해 ‘반드시 결혼을 해야 한다’는 38.5%, ‘할 필요 없다’는 2.8%보다 훨씬 많았다.

결혼을 꼭 할 필요가 없는 이유로는 ‘결혼하면 자유로운 생활을 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대답이 61.8%로 가장 많았고, ‘자녀 교육비 등 양육 부담 때문’이 19.1%로 그 뒤를 이었다.

연상녀-연하남의 결혼에 대해서는 전체의 82.3%가 찬성한다고 대답했다. 남성의 육아 휴직에 대해서는 남성의 83.2%, 여성의 87.4%가 바람직하다고 대답해 결혼생활에 대한 사회복지적 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절대다수를 차지했다.

‘배우자에게 끝까지 감추고 싶은 비밀’을 물은 질문에 남자는 ‘결혼 뒤 다른 여성과의 이성 관계’를 꼽은 응답이 가장 많았고, 여성은 ‘남편이 모르는 비자금이나 통장’을 꼽은 경우가 가장 많았다.

물론, 이런 반응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 남자가 더 많이 바람을 피우기 때문에 이런 답변이 나올 수 있지만, 여자 입장에서는 설사 바람을 피운 과거가 있더라도 절대로 이를 쉽게 발설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설문조사 따위를 하면서 '다른 남자와의 관계를 감추고 싶다'고 당당히 얘기할 여자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설문조사에서 이처럼 거짓말을 하는 응답자들의 성향은 이미 여러 연구에서 밝혀져 있다. 

이번 조사의 오차 범위는 95% 신뢰 수준에서 ±1.06%포인트라고 KBS 방송문화연구소는 밝혔다.



Posted by
,

기혼 남녀의 친구에 대한 충고, 180도 달라
여자들 "결혼-출산할 만한 환경을 만들어 줘야 결혼을 하지"


기혼 남성들은 미혼의 동성 친구에게 결혼을 가급적 빨리하라고 조언하는 반면, 여성 기혼자들은 일찍 할 필요가 없다고 말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결혼정보회사 비에나래(대표 손동규)가 3월 29일부터 4월 6일까지 전국의 결혼희망 미혼남녀 496명(남녀 각 248명)을 대상으로 전자메일과 인터넷을 통해 ‘결혼한 동성친구들의 결혼시기에 대한 충고’를 설문조사한 결과이다.

이 질문에 대해 남성의 경우 ‘최대한 빨리하라’(22.6%)와 ‘빨리 하는 편이 낫다’(27.0%)처럼 빨리 하라는 충고가 49.6%로서 절반에 가까웠다. ‘늦지 않게 하라’도 40.7%나 됐다.

결혼을 미루라는 충고인 ‘늦게 하는 편이 낫다’(4.4%)거나 ‘최대한 늦게 하라’(3.2%)는 다 합쳐도 7.6%에 그쳤다. ‘안하는 게 낫다’는 2.1%였다.

결국 기혼남은 “결혼해 보니 좋더라”는 의견을 적극적으로 미혼 친구들에게 한다는 결론이었다.

반면 여자들은 달랐다. ‘늦게 하는 편이 낫다’(29.4%)거나 ‘최대한 늦게 하라’(19.4%)처럼 결혼을 미루라는 응답자가 도합 48.8%로서 가장 많았다.

‘늦지 않게 하라’(43.1%)는 충고도 적지 않았지만, ‘빨리하는 편이 낫다’(2.8%)거나 ‘최대한 빨리하라’(1.6%)처럼 서둘라는 충고를 한다는 경우는 다 합쳐도 4.4%에 불과했다.
 
‘안하는 편이 낫다’는 응답도 3.7%로 남자의 2.1%의 거의 두 배나 됐다.


여자들 "결혼하기 싫게 만드는 한국의 사회 조건 그냥 놔둔다면"

이런 결과에 대해 비에나래의 손동규 대표는 “남성은 결혼을 일찍 하면 맞벌이를 통해 경제적 기반을 일찍 구축하고 정서적으로 안정되는 등 여러모로 유리한 측면이 많다”라며 “반대로 여성은 사회활동은 물론 시집 관계, 가사, 육아 등 결혼 전에 미처 생각지 못했던 난제가 많기 때문에 결혼에 대해 긍정적이지만은 않다”고 설명했다.

최근 ‘세계 최저 출산율’이 한민족의 장래를 망친다며 걱정거리가 되고 있지만, 이번 조사 결과만 봐도 왜 혼인 연령이 날로 늦춰지며, 출산율이 점점 낮아지는지 이유가 일부 드러난다.

한국 사회가 여성에 대해 충분히 배려하지 않고, 결혼-출산 뒤 여성에 대한 지원 대책도 없으면서 그저 애국심에 호소해 결혼하고 아이를 낳으라고 한다는 비판을 들어도 할 소리가 없게 만드는 여론조사 결과라고 할 수 있다. 




Posted by
,

미국 정부가 애플에 친화적이라 아이폰 나왔을까
정부가 기업에 친화적인 나라 = 거덜날 나라


아이폰이란 전화기 한 대가 지구촌 경제계에 풍랑을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아이폰의 파괴력은 ‘영역 부수기’에 힘입은 것이다.

휴대전화기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를 전에는 삼성전자-SK 같은 대기업(비즈니스)이 결정했다면, 아이폰에서는 소비자(컨슈머)가 결정하도록 바꾸었다는 것이 아이폰 열풍의 원인이다.

국내에서 철통처럼 지켜지던 여러 규제들이 아이폰 때문에 하나하나 허물어지는 모습을 보면서 외환위기 이후 10년이 넘도록 한국인의 귀를 때렸던 ‘비즈니스 프렌들리’라는 말을 다시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핸드폰 쓰면서 느끼는 한국의 친(親)기업, 반(反)소비자 정책

아이폰 이전에도 한국과 미국의 휴대폰 시장에 대해서는 ‘한국은 업체 위주, 미국은 소비자 위주’라는 평가가 있었다.

실제로 사용해 보면 미국의 휴대폰이 사용하기 간단하고 요금도 저렴했다면, 한국의 휴대폰은 ‘전화기는 폼 나지만 쓸모는 떨어진다’는 것이 필자의 경험이었다.

한국 휴대폰에는 별별 기능이 무지하게 많이 들어가 있지만, 이런 기능들은 별로 쓰지도 않았을 뿐 아니라, 자칫 잘못 쓰면 요금이 부과되는 것들이었다. 별별 서비스가 다 들어가 있지만 소비자를 위해서가 아니라, 업체를 위해서 들어가 있었던 것이다.

반면, 기본적인 통화 기능 등은 미국에서 쓸 때보다 확실히 한국 핸드폰이 떨어졌다. 폼나는 전화기에 불편한 통화 기능, 이게 바로 한국의 핸드폰이었다. 아이폰 이전에도.

그러다, 아이폰이 나왔다. 그래서 한국인들은 많이 알게 됐다. 그 동안 한국 사회를 주무르는 아저씨들이 어떤 짓을 해 왔는지를. 소비자들에게 필요한 여러 가지를 강제로 막아 놓고(와이파이 등), 업체들이 더 많은 수익을 긁어 모을 수 있도록 도와줘 왔다는 것을.


한국 경제를 거덜낼 수 있는 악마의 주문, "비즈니스 프렌들리" 

비즈니스 프렌들리. 말은 좋다. 기업 하기 좋은 나라를 만들잔다. 그러나, 여기서 잠깐 생각해보자. 어떻게 해야 기업 하기 좋은 환경이 되느냐는 질문이다. 한국에서 주장되듯, 기업에 친절한 정책을 펴면 기업 하기 좋아질까?

일부 경제학자들은 절대 그렇지 않다고 펄쩍 뛴다. 정부가 기업에 친화적이면 ‘나라가 거덜 난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아이폰을 예로 들어보자. 미국 정부가 애플이란 업체에 친화적이어서, 애플이 만드는 컴퓨터·소프트웨어가 잘 팔리도록, 또는 반품이 힘들도록 만들어준다고 가정해보자. 그 결과는 어떻게 될까?

당장은 애플이 좋을 수 있다. 일단 소비자가 산 물건에 대해서는 반품, 애프터서비스의 책임이 상당 부분 줄어들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상태가 계속되면 결국 애플은 망하게 돼 있다. 반품을 안 해줘도 되니 품질은 점점 떨어지고, 소비자들은 쉽게 반품이 안 되는 애플 제품을 멀리할 것이기 때문이다.


물건 사기가 겁나는, 한국의 ‘없는 거나 마찬가지인’ 소비자 보호

물건을 살 때 철저히 조심하는 태도를 필자는 한국에서 배웠다. 미국에 살 때는 궁금한 제품이 있으면 ‘일단 한번 사서 써봐’라는 태도를 가질 수 있었다. 마음에 안 들면 정해진 기간 안에만 가게에 가져가면 거의 100% 반품을 해준다.

부담이 적으므로 ‘일단 사고 보는’ 태도가 몸에 배고, 그래서 미국인들은 또 헤프게 돈을 쓰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물건 사는 게 겁난다. 반품이 거의 안 되거나, 반품을 받으려면 거의 투쟁 수준까지 감정 싸움을 각오해야 한다. 그래서 물건을 살 때 극히 조심하게 되고, 되도록이면 안 사는 게 편하다는 마음을 갖게 된다.

이렇게 ‘쇼핑에 대한 공포’를 만들어 놓는 환경이 기업에 친화적일까? 나라 경제가 잘 되려면 사실 정부는 기업과 소비자 중 어느 편도 들지 않는 공정한 심판관이 돼야 한다.

정부가 어느 한 쪽 편을 들지 않는다는 '게임의 규칙'이 공정하게 적용돼야 사업할 마음이 생기고, 이른바 '기업가 정신'도 발휘되는 것이다.

심판이 공정하지 않고 어느 쪽 편을 들면 어떻게 되나? 최근 어느 대학 축구팀에서 문제가 됐지만, 심판이 어느 한쪽 편을 들면, 경기는 난장판이 되고, 재미 또는 경기 기술의 발전 등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정부가 어느 쪽 편을 들어야 한다면, 그건 사실 기업 쪽이 아니라 소비자 쪽이어야 한다. 금력을 동원할 수 있는 기업과 비교한다면 소비자는 철저히 약자이며, 애플 사례에서 보듯, 소비자 편에 서야 21세기에는 ‘장사’가 되기 때문이다. 


한국의 비즈니스 프렌들리 = 위장된 '소비자 무시' 주의

물론, 비즈니스 프렌들리가 필요한 지역도 있을 수는 있다. 미국의 사람도 안 사는 농촌 지역이라든지, 한국의 붕괴돼 가는 농촌 지역은 비즈니스 프렌들리 해야 한다. 엄청난 혜택을 주지 않으면 기업들이 절대 들어가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 전체가 그런 깡촌인가? 수도권이 그런 무인지경인가. 서울처럼 엄청나게 큰 대도심 지역 중에서 지역 정부가 '비즈니스 프렌들리'를 구호로 내걸며 공공연하게 소비자를 무시하는 지역이 서울 말고 단 하나라도 있는지 알고 싶다.

결국 '비지니스 프렌들리'는 가진 자들이 소비자-국민-근로자의 눈을 가리기 위한 세뇌용 선전구호에 불과했다는 사실을, 한국 소비자들은 이제 알아야 한다.

Post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