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어서 자면서 맹수 피하고 에너지 최대한 저장

잘 잔 선조가 살아 남았기에 우리는 이렇게 잘 자게 됐다

 

수면에 대한 진화론적 해석, 처음으로 등장

 

사람이 왜 잠을 자는지에 대해선 그간 수많은 이론이 나왔지만 어느 정도 미흡한 점이 있었다고 하네요.

많이 알려진 이론으로잠을 자야 잘 기억한다”, 즉 잠이란 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는 설이 있죠.

 

그러나 뇌가 없는 식물도 잠과 비슷한 휴지기를 갖기 때문에뇌 때문에 잔다는 이론은 한계가 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이번에는 진화론에 기초한 새 이론이 나왔습니다. “잘 자는 선조들이 살아 남았기 때문에 후손인 우리도 잠을 자게 됐다는 이론입니다. 잠은 진화의 결과라는 것이죠.

 

미국 UCLA 대학 제롬 시겔 교수 팀은 사람을 포함해 해마, 오리너구리, 가시두더지 같은 다양한 동물들의 수면 특징을 조사한 결과잠은 에너지를 절약하고 포식동물에 잡혀 먹는 위험을 줄이는 효과 때문에 진화했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잠 든 동안 맹수 밥되기 쉽다?

 

그 동안 잠은 동물에게 해로운 것으로 여겨져 왔죠. 잠자는 동안 의식이 마비되고 꼼짝 못하기 때문에 맹수의 공격에 무방비로 노출된다는 것이죠. 이렇게 잠이 해로운데 왜 인간은 인생의 3분의 1을 자는 데 써버리는지도 의문이었죠.

 

그러나 시겔 교수는 잠을 잔다고 완전히 의식이 마비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할 때 얼마든지 순식간에 잠을 깰 수 있다는 데 잠의 특징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어머니가 잠을 자다가도 아기의 가느다란 울음 소리가 들리면서 퍼뜩 잠이 깨지만 천둥이 치더라도 잘 잔다는 현상에서 잠의 특징을 잘 알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편안히 쉬어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면서도 필요하면 쉽게 깬다는 게 졸도처럼 완전히 의식을 잃은 것과 다른 잠의 특징이라는 것이죠.

각 동물마다 잠자는 시간 다른 것은 필요성 다르기 때문

 

그는 또한 먹이를 구하려고 여기저기 돌아다닐 때와 숨어서 잘 때 중 언제가 더 위험하겠느냐고 묻습니다. 당연히 잘 때가 더 안전하기 때문에 적당히 잘 자는 개체가 생존경쟁에 더 유리했다는 것입니다.

 

잠에 대한 진화론적 해석은 각 종마다 잠 자는 시간이 다른 이유도 쉽게 설명합니다. 먹이를 얻는 데 걸리는 시간, 에너지를 절약해야 할 필요성이 각 종마다, 또 삶의 각 기간마다 다르기 때문에 잠 자는 시간이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은 겨울에 먹이를 구할 수 없기 때문에 동굴 속 안전한 곳에 숨어 포식자를 피하면서 한철 내내 잠을 자는 것이며, 사람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겨울잠을 안 자고 매일 조금씩 잔다는 것이지요.

아기가 더 잠 많이 자는 것은 활발한 신진대사 때문

 

또 사람이 왜 어릴 때는 많이 자고 늙어서는 잠이 줄어드는지도 설명할 수 있답니다. 어렸을 때는 신진대사가 왕성하고 또 지켜 주는 어른이 있기 때문에 오래 자지만, 늙어서는 신진대사가 떨어질 뿐 아니라 지켜 주는 역할을 맡아야 하므로 잠이 줄어든다는 것입니다.

 

이런 진화론적 설명은 특징이 있죠. 여태까지 사람은 왜 잠을 잘까?”라는 질문에 사람의 잠만을 생각하니 기억을 잘 하기 위해” “낮 시간 동안 발생한 피로물질을 청소하기 위해같은 인간중심적인 이론밖에 나올 수 없었던 것이지요.

인간중심 연구와 '동물과 비교연구'의 차이점

 

그러나 진화생물학은 어떻게보다는 를 질문하며, 그에 대한 대답을 현재 살아 있는 다른 동물을 통해 거슬러 올라간 과거의 동물들과 비교해 얻어내려 합니다. 사람은 뚝 떨어져 혼자 존재하는 게 아니라 여러 동물과 진화적으로 이어져 있다는 생각이죠.

 

이번 진화론적 잠 이론에서도 볼 수 있듯 여러 동물의 잠과 사람의 잠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전혀 새로운 답안이 나오게 되는 것이죠. 진화론 또는 진화론적 사고방식이 인식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 주는 방식이며, 매력있는 이유라 하겠습니다 


 


Post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