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꽃의 어마무시한 15K 조사(응답자가 무려 1만 5천명 이상!)에서 스스로를 "보수"라고 밝힌 응답자(4156명)을 대상으로 지지 후보를 추린 결과. 한덕수가 1등이지만, 이재명이 무려 2등이다. 한동훈이나 김문수보다 더 높으니 참 이를 어쩌나.....

 

이를 어쩌나?

보수에서도 이재명이 통해버렸네!!!  

 

여론조사꽃이 30일 발표한 이른바 ‘15K 여론조사’(응답자가 1만 5000명 이상!)에서,

이재명에 대한 보수층의 지지세가 간단치 않은 것으로 확인됐으니 말입니다.

 

그간 여론조사는 대개 1000명 안팎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지요. 

그 이상으로 확대하면 너무 돈이 많이 들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한국 정치판에서 여론조사가 미치는 영향이 지나치게 크다는 사실(그래서 여론조사로 속이는 '명태균 식 사기'도 가능!)에 착안한 김어준은

"그동안 벌어놓은 돈 다 쓰고 망해버리겠다"며 15K 조사를 시작해버렸습니다.

한 번 할 때마다 1억이 깨진다는 엄청난 조사입니다. 

이번 조사도  26~29일(토~화) 나흘 동안 진행됐답니다.

주말을 끼고 전화를 돌리는 건, 젊은층의 응답을 받아내기 위해서이죠.

평일에만 전화를 돌리면 주로 할배-할매들이나 자영업자들이 적극 응답에 나섭니다. 

 

무려 14만 8776에게 전화를 돌려 1만 5007명으로부터 응답을 받아냈다니 참으로 엄청난 조사입니다!!

 

이렇게 응답을 많이 받아내면, 실제와 틀릴 확률 즉 표본오차가 확 줄어듭니다. 

위 문장은 한국갤럽이 밝힌 표본오차 수준입니다. 여론조사에서 1천 명의 응답을 받으면 ± 3%p 정도의 오차가 발생하고,1만 명이 넘으면 ± 1.0%p 이하로 오차가 떨어진다는 얘기입니다.

 

이번 여론조사꽃의 15K 조사의 표본오차는 그래서 ±0.8%p(95% 신뢰수준에)입니다. 그만큼 믿을만 하다는 얘기지요.   

 

그런데, 이번 '믿을 만한' 조사에서 보수층 응답자만을 추려내 분석해보니, 

"난 보수"라고 밝힌 응답자 중

이재명 지지율이 무려 16.4%에 달해, 

한덕수의 25.5%보다는 낮지만,

한동훈(15.1%), 김문수(14.6%)보다는 높았습니다.

보수에서마저 한동훈-김문수가 이재명에게 뒤진다니 놀라운 결과입니다. 

 

이 조사를 진행한 박시영 컨설턴트가 30일 ‘김어준의 겸손은힘들다 뉴스공장’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보수 40~50대에서는 이재명, 20~30대에서는 홍준표, 60~70대에서는 한덕수가 각각 1등”이라고. 

현재 보수는 연령별로 최애 후보가 찢어져 있다는 것이지요. 

 

누가 이렇게 찢어 놨냐? 바로 윤건희 두 각하들이시죠. 

이 둘이 보수를 갈갈이 찢어놓고 있는데, 

국힘의 쌍권총, 즉 두 권 씨는 계속 윤만 싸고돌고 있으니,

참말로 제 뿌리 썪어문드러지는 것도 못 알아차리고 있는 '무신경 종자들' 아닐 수 없습니다 그려.

 

박시영은 또한 “보수층의 민주당 지지도는 15.2%인데 이재명 지지도는 16.5%로 더 높다”며

 

“그만큼 당을 넘어서는 개인 득표력이 있고, 그만큼 이재명의 보수 확장 전략이 통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해석했습죠.

15K 조사에서 드러난 바는? 

 

보수는 분열돼 있고, 

무주공산이 된 보수-중도를 

이재명이 찬찬히 파고들어가고 있다는 소리!!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꽃이 지난 4월 26~29일(4일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만 5007명을 대상으로, 통신 3사 제공 무선가상번호를 활용한 자동응답 전화(ARS) 방식으로 실시됐다. 총 통화 시도 14만 8776명에 응답률은 10.1%였다. 표본오차는 ±0.8%포인트(95% 신뢰수준).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Posted by
,

윤석열과 국힘의 향후 관계 설정에 대해 물은 결과. (그래픽=NBS 전국지표조사)

10일 발표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국민의힘과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향후 관계에 대한 생각을 물은 결과,

‘출당시키고 정치적 관계를 정리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이 50%로 절반을 차지했습니다.

‘중립적 입장에서 법적 절차를 지켜보는 것이 좋다’는 27%,

‘계속 지지하고 정치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좋다’는 16%에 그쳤다능. 겨우 16%!!!ㅎㅎㅎㅎ

77%(관계 끊어라 50% + 중립 지켜라 27%의 합)라는 절대다수가

국민의힘에게 “제발 윤과 거리 쫌 둬라”고 하고 있는 거지요. 

 

보수층 응답만을 모아봐도 비슷합니다.

 

스스로를 보수라고 밝힌 응답자에서도

‘정리하라’ 32%, ‘중립 지켜라’ 32%여서 이 둘을 합치면 64%나 되고, 

‘지원해야지’는 34%에 그친 거지요. 

 

셋 중 둘이 "거리 두거나 끊어라"는데도, 

캐비넷에 도대체 뭐가 들었는지, 

국힘은 계속 윤 주위를 맴도네요.  ㅎㅎ

 

오는 6월 3일 대선에서 정권 교체가 이뤄져야 한다는 응답은 48%,

정권 재창출이 이뤄져야 한다는 응답은 37%였습니다.

차기 대통령 적합도는

이재명 32%,

김문수 12%.

홍준표 7%,

오세훈과 한동훈은 5%에 불과.

기레기 + 민주당 내 문파 잔당 + 국힘은 맨날,

'이재명에 대한 비호감도' 울부짖지만, 

위 그림에서 알 수 있듯, 

이재명에 대한 호감도는 가장 높고, 

비호감도는 가장 낮아요. 

 

국힘 주자들에 대한 비호감도는 60% 후반~70% 중반이고,

호감도는 겨우 20%초반에 걸려 있는데도, 

기레기들은 이런 얘기 거의 안 하지요.ㅋㅋ

 

끝까지 속여보겠다는 건데,

세상 일이 그렇게 니들 맘대로만 된다면

윤석열이 파면 당했겠냐고!!?? 

 

 

Posted by
,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을 하루 앞두고 3일 발표된 NBS 전국지표조사(3월 31일~4월 2일 실시)에서 최저 또는 최고 결과들이 여럿 나왔다.

하루 전(2일) 보궐선거에서 여당이 참패한 가운데, 올해 대선이 진행된다면 어느 당 후보를 지지할 것이냐는 설문에 대해 ‘국민의힘 후보를 뽑겠다’는 응답은 28%에 그쳐, 지난 2월 이후 처음으로 20%대로 떨어졌다.

‘민주당 후보를 뽑겠다’는 응답은 40%로 큰 변화가 없었다. (아래 그림 참조)

'어느 당 후보를 택할 것인가'라는 응답에서 국민의힘 지지가 뚝 떨어진 것을 볼 수 있다. (그래픽=NBS 전국지표조사)

 

‘정권 유지’를 바라는 의견 역시 33%에 그쳐 지난 2월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반면, ‘정권 교체’ 희망은 51%로 지난 3주간 같은 수치를 유지했다.

진보층이 ‘정권 교체’를 바라는 비율은 82%나 되는 반면, 보수층이 ‘정권 재창출’을 바라는 비율은 66%여서 상대적으로 낮았다. (아래 그림 참조)

'정권 유지냐 교체냐'에 대한 응답에서도 최저치가 나왔다. (그래픽=NBS 전국지표조사)

 

탄핵을 기각해 ‘윤을 복귀시켜야 한다’는 응답은 34%로, 지난 3월 3주차에 이어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윤 대통령의 탄핵 심판 대응에 대해선 ‘잘하고 있다’(매우+대체로)는 긍정 평가가 30%로 지난 2월 이후 가장 낮았다. 특히 탄핵 찬성자들은 91%가 ‘윤 대통령이 잘못 대응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아래 그림 참조)

 

윤 대통령의 탄핵 심판 대응에 대한 긍정 평가는 2월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그래픽=NBS 전국지표조사)

 

헌법재판소에 대한 불만이 상승한 것도 눈에 띈다. 헌재의 심판 과정을 ‘신뢰한다’는 응답은 지난 8주간 줄곧 51~60% 수준이었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46%로 뚝 떨어졌다.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36~45%에서 46%로 오르며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처럼 헌재의 심판 과정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면서 최종 심판에 대한 불승복 태도도 최고치를 기록했다. “내 생각과 심판 결과가 다르면 수용하지 않겠다”는 44%로 가장 높이 올라갔고, “내 생각과 달라도 수용하겠다”는 의견은 50%로 지난 3월 이후 가장 낮아졌다. (아래 그림 참조)

“내 생각과 심판 결과가 다르면 수용하지 않겠다”는 응답도 44%로 최고를 기록했다. (그래픽=NBS 전국지표조사)

 

이번 조사는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통신 3사 제공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면접(CATI)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27.3%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 3.1%포인트이며,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Post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