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는 열 여자 안 가린다고? → 꼭 그런 건 아냐
여자는 감정적, 남자는 이성적이라고? → 더 감정적인 건 남자야
‘남자는 열 여자 안 가려’ ‘여자는 감정적, 남자는 이성적’….
상식처럼 통하는 말들이다. 모두 맞을까? 맞는 것도 있고 틀린 것도 있다는 게 최근 발표된 남자 뇌에 대한 연구의 결론이다.
남자 성격에 중요한 사실은 ‘나이에 따라 변한다’는 사실이다. 즉, 젊은 남자와 나이든 남자를 구별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국의 과학 전문 웹신문 라이브사이언스닷컴(www.livescience.com)이 소개한 남자 뇌의 비밀 10가지를 카운트다운 방식으로 소개한다.
10. 여자가 감정적이라고? 실제론 남자가 더 감정적
흔히 남자는 여자보다 덜 감정적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론 그렇지 않다는 게 여러 연구의 결론이다. 남자는 어려서는 물론 나이 들어서도 여자보다 더 감정적이다.
남자가 더 감정적이란 사실은 남녀 어린이의 표정 관찰에서 드러난다. 남자 어린이가 더 쉽게 감정을 얼굴에 드러내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은 어른이 돼서도 마찬가지다. 이런 사실은 스웨덴 룬드대학 연구진이 2008년 ‘스칸디나비안 심리학 저널(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에 실린 논문에서 밝혔다.
단, 성인 남자는 일단 ‘나는 지금 감정적’이란 사실을 의식하면, 감정을 감추려 노력한다. 이는 자라면서 ‘감정을 드러내 보이면 지는 것’이란 교육을 받았기 때문이기도 하며, 동시에 ‘싸울지 도망갈지’를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남자가 여자보다 더 감정적인 것은 싸워야 하기 때문이며, 감정을 감추려 노력하는 것 역시 싸우기 위해(아니면 도망가기 위해)서다.
9. 더 외로움 타고, 외로우면 망가져(특히 늙어서)
‘무소의 뿔처럼 혼자 자기 갈 길을 가는 게 남자'라고 여자들은 생각한다. 실제로 여자보다 남자가 홀로 지내는 시간이 더 많다. 그러나 그만큼 남자들은 외로움도 여자보다 더 많이 탄다.
이는 여자들은 외로우면 도와달라고 쉽게 친구든 누구에게든 손을 뻗치지만, 남자들은 ‘약해 보이는 것이 두려워’ 도움을 요청하는 행동을 꺼리기 때문이다.
남자 뇌의 이런 특징은 나이가 들수록 점점 더 심해진다. 그래서 ‘여자는 혼자 살아도 남자는 혼자 못 산다’는 얘기가 나오게 된다.
여자와 함께 사는 남자는 심리적-육체적으로 혼자 사는 남자보다 더 건강하다. 여자와 함께 사는 남자는 덜 외로워하고 불안감에도 덜 시달린다.
그래서 과부가 된 여자는 상대적으로 잘 살고 재산 관리도 잘 하지만 홀아비가 된 남자는 심리적으로 불안하고 재산 관리도 못 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이 통계적으로 증명돼 있다.
8. 동정심 느끼는 건 남녀 비슷하지만 그 뒤 행동이 달라
흔히 여자는 동정적이고 남자는 그렇지 않다고 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캘리포니아 주립대 샌프란시스코 캠퍼스 심리학과의 루앤 브리즌다인 교수는 말한다. 남자나 여자나 다른 사람의 기분을 감정이입으로 느끼는 것은 비슷하지만 차이는 동정심을 느낀 이후에 나타난다.
여자는 곤경에 처한 사람과 감정을 나누는 데 주로 신경을 쓴다. 여자들끼리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수다를 많이 떠는 이유다. 서로 감정을 나누려면 말을 통해 감정을 공유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남자는 다르다. 남자는 감정이입을 통해 동정을 느낀 뒤 상대방에게 문제-고통이 있다고 느끼면 그 감정을 나누는 것보다는 문제를 해결해 푸는 쪽으로 바로 뇌가 움직이기 시작한다. 동감 기능에 이어 바로 '솔류션 찾기' 회로가 맹렬히 돌아가기 때문이다. 여자가 울면 남자가 절절 매는 이유이기도 하다.
7. ‘못 말리는 바람둥이’? 그건 맞아
예쁜 여자가 나타나면 남자의 눈을 ‘자동 레이더 장치’처럼 그 여자를 쫓는다. 이건 그야말로 자동이다. 과학자들은 그 이유를 남성 호르몬 테스토스테론(고환에서 주로 만들어진다)에서 찾는다.
남자의 피 속에는 여자보다 6배나 테스토스테론이 많이 흐른다. 이 호르몬이 무조건 여자의 몸을 남자로 하여금 훑게 만든다. 테스토스테론은 뇌의 ‘자제 능력’을 마비시키기 때문이다.
남자는 섹시한 여자가 나타나면 본능적으로 그 여자를 훑어본다. 그러나 그 여자가 시야 밖으로 사라지면 또 쉽게 잊어버린다. 안 보이는 여자 말고 당장 눈 앞에 나타난 '지금 이 여자'에게 자동 레이더 장치를 맞춰야 하기 때문이다.
'눈에서 벗어나면 마음에서도 벗어나는(out of sight, out of mind)' 현상은 그래서 남자에게 더 두드러진다. 고로… 여자는 남자를 너무 혼자, 오래 놔둬선 안 된다. out of mind가 되기 전에 '매력있는 나의 몸'을 적절한 간격으로 보여줘야 된다는 말씀.
6. 남자는 극렬한 향토방위군
동물 세계에서 수컷의 중요한 역할을 자기 땅, 또는 자기 암컷을 지키는 일이다. 침범을 당한 수컷은 죽을 때 죽더라도 자기 땅-암컷을 지킨다.
포유류 동물의 수컷 뇌에선 ‘자기 영역 지키기’ 부위가 암컷 뇌보다 더 크다는 사실이 밝혀져 있다. 자기 땅-여자가 침범 당했다고 느끼면 수컷은 무조건 광분하게 된다.
사람의 뇌에서도 수컷의 ‘자기 영역 지키기’ 뇌 부위가 암컷보다 더 큰지 아닌지는 앞으로 연구해야 할 과제지만, 남자가 ‘지키기’에 더 열중한다는 사실은 여러 조사에서 드러나 있다. 여자도 지키기 행동을 보이지만 남자보다는 그 정도가 미약하다.
5. 남자는 군대 놀이 좋아해
수컷들은 순위가 정해지지 않으면 불안해하고 반드시 우열의 순위를 정하려 든다. 그러나 일단 순위가 정해지면 테스토스테론 호르몬이 줄면서 공격성도 줄어든다. 남자들이 윗사람과 아랫사람의 의리, 상명하복에 편안함을 느끼는 이유다.
4. 남자는 영원한 망나니? 아냐, 나이 들면 달라져
‘남자는 젊으나 늙으나 똑 같다’고 하지만 그렇지 않다. 젊은 남자와 늙은 남자는 확실히 다르게 행동한다. 상대 위에 올라 서려고 하는 행동은 이르면 남자 아이가 6살이 되면서부터 나타난다. 상대를 괴롭혀 굴복시키려 드는, 그래서 순위를 정하려는 행동이다.
젊은 수컷은 이런 정복 행동에 집중하지만, 성숙한 수컷이 되면 행동이 달라진다. 다른 수컷을 굴복시키기 보다는 협동과 협력에 더 신경을 쓰게 된다. 이런 행동의 변화 역시 남성 호르몬 테스토스테론의 증감과 관련이 있다.
테스토스테론이 많은 젊은 수컷은 1대1 대결에 집중한다. 맞대결로 상대를 꺼꾸러뜨리려 드는 것이다. 그러나 테스토스테론이 줄어들면서 수컷은 달라진다. 이제 1대1 대결이 아니라 팀 대결이다.
테스토스테론이 적은 남자는 1대1 대결에는 약해도 팀 대결에는 더 강하다. 흔히 말하는 ‘회사 인간’의 탄생이다.
3. 남자도 임신에 준비해
아내가 출산을 앞두면 신기하게도 남자의 몸에서 여성 호르몬 프로락틴(엄마의 젖이 나오게 하는 호르몬)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테스토스테론을 줄어든다. 남자 몸 역시 태어날 아기를 대비하면서 덜 싸우면서 아버지로서의 행동을 준비하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여자의 페로몬(이성에게 영향을 미치는 냄새 분자)이 남성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브리즌다인 교수는 해석했다.
반대로 남자의 페로몬은 임산은 앞둔 여성의 뇌에서 모성을 발현시키는 뇌 신경세포(뉴런)을 자라게 한다니, 남녀는 자녀의 출산을 앞두고 서로를 좋은 엄마와 아빠가 준비시킨다는 말씀.
2. 노는 아빠
남자는 아이들과 억지로 놀아주는 것 같지만 실제론 생물학적으로 아이들과 놀아주는 것은 남자의 몫일 가능성이 크다.
남성이 아이들과 노는 것은 억지로 하는 부담이 아니라 자발적인 행동이다. 아빠가 아이와 놀아 주면 아이는 사물에 대해서 더 잘 배우고 더 많은 자신감을 가지며 아동 성폭력 같은 위험에서 더 안전하게 자란다.
1. 남자는 열 여자 안 가린다?
남자의 성과 관련해 가장 널리 퍼져 있는 믿음이 바로 남자는 ‘치마만 두르면 무조건 OK’라는 문장이다. 그러나 이는 젊은 수컷에게 주로 해당된다. 남자에 대한 심리학 실험이 대개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왔다. 젊은 수컷은 정말 ‘치마만 두른 여자라면' 별로 가리지 않는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 남자도 달라진다는 사실이 여러 연구로 밝혀져 있다. 영국 ‘왕립학술원 회보(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에 2007년 실린 연구에 따르면 남자의 ‘잡식성’이 뚜렷하게 달라지는 것은 나이 30을 전후해서다. 30을 지난 남자는 새 여자를 찾아 헤매기보다는 가족 부양에 더 신경을 쓴다.
이는 진화를 통해 남자의 본성에 새겨진 특징이기도 하다. 지구상 동물 중 부모에 가장 의존하는 게 인간의 아기다. 자녀를 돌보지 않고 계속 새 여자를 찾아나서는 남자의 자손은 생존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현재 살아남은 인류는 ‘보살피는 아빠’의 자식'이었을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
물론 나이가 들어도 ‘조강지처’보다는 새 여자를 끝없이 찾는 ‘영원한 잡식성’ 남자도 있기는 하다. 미국의 통계에 따르면 남자의 40% 정도가 이런 특성을 보인다고 한다. 나머지 60%는 결혼하면 기본적으로 한 여자에게 안착한다.
따라서 여자의 최대 목표는? 멋지고 능력있는 남자를 고르면서도 한 여자에 안착 못하고 영원히 새 여자를 찾아 헤매는 이 40%를 피하는 일이 되시겠다.
<책 읽는 북손탐의 추천 동영상>
'진화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자에게 애인생각 간절할 때는 ‘퇴근 전’-‘자기 전’ (1) | 2010.04.27 |
---|---|
“첫눈에 반했다”는 남자일수록 바람 3배 더 피우는 이유는? (0) | 2010.04.22 |
'스펙' 떨어져도 연애 잘하는 남자, 이런 비결이 있네 (0) | 2010.03.23 |
신세경 같은 미녀 옆에 있으면 '남자가 박명' (1) | 2010.03.21 |
’연예인 커플’ 바라보는 시각, 남녀가 어쩜 이렇게 다를까 (1) | 2010.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