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말의 화약 발명가 최무선(탄생 연도 불명확~1395)이 각종 포를 제작해 왜구를 물리치는 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고 하지만, 옛날 대포를 보면 궁금해지는 사항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포탄의 정체죠. 요즘 폭탄은 목표물에 닿는 순간 무섭게 터지면서 살상력을 발휘하지만 옛날 포탄이라야 그저 철 덩어리인데, 폭발하지도 않는 이 철 덩어리가 얼마나 피해를 끼쳤을지 궁금하기 때문이죠.

 

예컨대 이순신 장군이 철 포탄을 쏴 적함을 맞춰도 퍽 구멍이나 뚫리고 마는 것은 아닌지, 아니면 아예 구멍도 뚫리지 않고 튕겨 나올지 등등이 궁금한 것이지요.

 

그런데 마침내 이런 의문이 풀렸다는 외신이 15일 따끈하게 날라 왔습니다.

이스라엘 하이파대학 연구진이 한 대포 실험 업체의 자금 지원을 받아 옛날 배와 똑 같은 나무 구조물을 만들고
, 옛날 식 철덩어리 포탄을, 옛날 대포가 내는 속도에 맞춰 발사해 봤더니 영락없이 배 옆면이 뽀개지면서 심대한 타격을 받더라는 것입니다.


 

철포탄 속도 느릴수록 더 큰 충격 안겨

 

실험진은 정확한 실험을 위해 아주 면밀한 계산을 했다고 합니다.

실험진은 1966년 이스라엘의 아크레 항 앞에서 발견된 침몰선(18세기 말 침몰한 것으로 추정됨) 유해를 토대로 동일하게 두꺼운 나무 구조물 5개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이 침몰선의 유해 부근에는 철 포탄도 함께 발견돼 포탄에 맞고 침몰한 것 아니냐는 추정을 받아 왔답니다.


위 사진이 이 배의 잔해이며, 아래 사진은 이 배에서 발견된 옛날 포탄 두개 입니다. (사진 출처: 하이파대학)

 

연구진은 현장에서 발견된 포탄과 똑 같은 재질과 무게로 포탄을 만들었습니다.

문제는 어느 정도 속도로 이 철 포탄을 날려야
18세기말 상황을 재현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죠. 그래서 연구를 통해 당시 대포는 철탄을 초속 100~500m 속도로 날렸다고 계산한 뒤 이 범위 안에서 포탄을 날려 봤답니다.

 

재미있는 것은 철탄의 속도가 느릴수록 더 대미지가 크다는 사실이었습니다.

철탄의 속도가 느릴수록 배의 나무는 더 큰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더 산산조각 난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배 옆면이 산산조각이 나면 승무원들은 타격을 받고 배는 가라앉게 되는 것이죠
.








Post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