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사가 누구야?”

 

판사가 누구냐에 따라 나라의 운명이, 개인의 목숨이 오락가락하는 

이 나라에서 요즘 너무나 자주 물어지는 질문입니다.

 

이런 나라는 ‘법이 지배하는’(rule of law) 나라가 아니라

‘판사가 지배하는’(rule by judge) 나라이지요.


한국의 판사는 선출직이 아닙니다.

 

미국에서는 지방 법원 판사를 주민 투표로 뽑은 주가 적지 않다니

판사에 대한 민주적 통제가 이뤄지고 있는 것과는 완전히 반대지요. 

눈 감고 칼로 처단하는 유럽의 정의의 여신상(위)과 멀겋게 두 눈을 뜬 채 피고인이 어떤 사람인지, 서울대 법대를 나왔는지 안 나왔는지를 살펴본 뒤 처벌하는 듯한 그냥 법전을 들고 있는 한국 대법원의 정의의 여신상.

 

독일 등 유럽엔 참심원(심판에 참여하는 시민이라는 뜻) 제도가 있어서

시민들이 판사와 함께 판결에 참여합니다.

판사 멋대로 판결을 내리지 못하게 위해서입니다. 

 

영국과 미국에선 배심원(일반인 중 무작위 선발)이 유-무죄를 결정하니,

'판사에 의한 멋대로 통치'가 쉽지 않지요. 

 

이런 걸 보면, 다른 선진국들과 비교해 한국엔

‘사법의 민주화’가 거의 제로 수준이라는 걸 알 수 있지요.

'법 왜곡 죄' 추진 계획을 말하는 신장식 의원. '매불쇼' 4월 14일.

신장식 의원은 14일 ‘매불쇼’에 출연해

“2016년부터 법 왜곡 죄 신설에 대한 논의가 계속돼 왔다. 독일에선 2007~2017년 사이 10년간 판-검사에 대한 법 왜곡 죄 기소가 72건 있었고, 이 중 52건에 대해 유죄 판결이 내려졌다”고 말했습니다.

 

사법 기관에 대한 신뢰도가 한국과는 비교가 안 되게 높은 독일에서도

매년 7건 정도의 법 왜곡 죄 기소가 있고,

넷 중 셋에 유죄가 나왔다니 놀랍지요.

한국에서 법 왜곡 죄 논의가 시작됐다는 2016년은 어떤 해였을까요?

그로부터 3년 전엔 고 노회찬 의원이 의원직을 상실했고,

2년 뒤엔 노 의원이 세상을 떠났습니다.

연설 중인 고 노회찬 의원. 그가 세상을 떠난 것도 일종의 사법 살인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2013년 노 의원은 ‘삼성 X파일’

즉 삼성그룹으로부터 ‘명절 떡값’을 받은 검사들의 명단을 공개했습니다.

국회에서 검사들 이름을 밝힌 건 국회의원의 면책 특권 덕에 처벌할 수 없지만,

한국 법원은 참으로 미꾸라지스럽게

“떡값 받은 검사 명단을 인터넷에 올린 것은 통신비밀보호법 위반”이라며

의원직 상실형에 해당하는 징역 4월(집행유예 1년)과 자격정지 1년을 확정했지요.

 

노 의원은

“대법원의 판단 결과는 뇌물을 준 사람과 뇌물을 심부름한 사람, 뇌물을 받은 검사 어느 한 명도 처벌하지 않고 정황을 보도한 기자 2명과 수사를 촉구한 당시 법사위 국회의원만 처벌받는 경우가 됐다”며

“‘도둑이야’라고 소리를 치니까 도둑인지 아닌지, 얼마만큼 훔쳤는지를 조사하지 않고 한밤중에 주택에서 소리 친 사람을 처벌하는 꼴이 됐다”고 비판했습니다.

 

요즘 윤석열 지지자들의 손팻말에는 'Only Yoon'이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지귀연 판사가 내란 피의자 윤석열을 대하는 태도에서도 '오직 당신만은 별개'라는 '온리 윤'의 태도가 노골적으로 읽힙니다. 

 

독일 형법 제339조에 바로 법 왜곡 죄 조항이 있습니다. 

특정인에 유리 또는 불리하게 고의로 법을 왜곡 적용한 법관(판-검사 포함)은 1년 이상, 5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는 규정입니다.

 

"특정인에게만 유리하게?" 바로 지귀연 판사 이름이 떠오릅니다. 

 

독일에 이러한 법 왜곡 죄 조항이 생긴 건,

제2의 히틀러가 나와선 안 되기 때문입니다. 

히틀러 한 명만으로 독일 민족은 멸족의 목구멍 안으로 들어갈 뻔했거든요. 

 

그래서 독일은 히틀러에 부역했던 법관들,

그리고 동독에서 독재 정부에 부역한 법관들을

이 법 왜곡 죄 조항으로 처벌했습니다. 그리고 처벌은 지금도 계속 이뤄지고 있지요.

자주시보의 2022년 1월 27일자 만평 '전쟁광 윤틀러'.

한국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제2의 윤석열'이 나온다면, 대한민국은 아마 멸종의 위기를 겪을 것입니다. 

 

그래서 독일과 마찬가지로, 

'제2의 윤석열'이 나오지 않도록,

법 왜곡 죄가 신설되기를 기원합니다.

 

시궁창 같은 쥐 구멍을 깨끗히 소독하려면 

밝은 햇빛을 비추는 게 최고이며, 

'법 왜곡 죄'가 살균 햇빛이 될 수 있을 테니까요. 

 

 

 

Posted by
,

https://youtu.be/CbiywzXIzx4

 

 

미국의 정치 전문지 폴리티코가 9일 현재 윤석열이 펼치는 작전은 미국인에 너무나 친숙한 트럼프식이라며 비판했습니다. 트럼프가 대성공한 작전인 무조건 부정하고, 규칙 깨버리기를 윤이 흉내내는 중인데, 과연 그것이 먹히겠냐는 것이지요.

 

미국 사람들에게 너무나도 익숙한 이런 작전이 앞으로 펼쳐질 트럼프 2.0 시대에 윤의 , 책임없어작전에 도움을 줄지 폴리티코의 진단을 들어봅니다. 다음은 기사의 핵심 내용입니다.

 

한국으로 수입된 트럼프식 막무가내

 

윤의 경호원들은 관저를 봉쇄하며 체포를 거부하고 있고, 그의 법률 팀은 법 체계와 야당을 공격하고, 책임 회피 시도를 점점 더 대담하게 하고 있다. 이는 내란 혐의를 받았을 때 트럼프가 취했던 전술과 아주 유사하다.

 

윤이 트럼프를 따라하는 가장 노골적인 시도는 자신의 변호를 위해 미국 대법원의 면책 판결을 활용하려는 작전이다. 미국 대법원은 재임 중인 대통령의 공식 행위에 대해 광범위한 면책을 부여했으며, 트럼프는 이에 힘입어 2020년 선거 뒤집기 시도 혐의로부터 벗어났다.

 

같은 논리로, 윤은 계엄령 선포가 대통령의 헌법상 권리에 속하며 기소로부터 면책된다고 주장 중이다. 하지만 이런 주장이 한국 법정에서 먹힐 가능성은 낮다. 왜냐하면 한국 헌법은 현직 대통령이 내란이나 반역 혐의로부터 면책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기 때문이다.

 

윤의 더 효과적인 법적, 정치적 조치는 부정 선거 주장으로 보인다. 트럼프는 선거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이를 급진적 행동의 정당화 근거로 사용했다. 이러한 음모론은 그의 지지자들을 결속시키는 강력한 접착제가 됐다. 한국의 극우 음모론자들은 과거에도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했지만 윤은 그러한 정서를 국회의 정당성에 대한 의문으로 연결시키고 자신을 구원자로 프레임하고 있다.

 

윤의 가장 헌신적인 지지자들은 탄핵반대 집회에서 "도둑질을 멈춰라(Stop the Steal)"라는 표지판을 흔든다. 이것 역시 트럼프 지지자들을 흉내낸 것이다. 이는 한국전쟁과 반공 투쟁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미국과 한국 보수파 간의 역사적으로 강력한 동맹관계를 보여준다.

 

이런 시위대에 대해 시카고 국제문제협의회의 아시아 연구 펠로우인 칼 프리드호프는 "그들은 자신들의 음모론적 신념과 현실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인정을 거부하며, 그런 능력의 결여가 진정한 유사점"이라고 지적했다.

 

미국인들에게는 이 모든 것이 너무나 익숙해 보인다.

 

프리드호프는 "최선의 시나리오는 윤이 한국인들은 천천히 탄핵 찬성에서 멀어지게 하는 것"이라며 "그는 최대한 오래 지연시키려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이런 따라하기에도 불구하고 윤은 트럼프 같은 정치적 지속력을 가지지 못할 수 있다. 퀸시 연구소의 비상임 연구원으로 한국 정치를 연구하는 박성은은 윤 대통령이 영감을 주는 연설가가 아니며 추종자들에 대해 트럼프 같은 장악력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박은 "그에게는 좋은 출구가 없다. 그는 곧 체포될 수도 있고, 나중에 체포될 수도 있지만, 그가 어떻게 하든 대통령 직에서 물러나는 것을 피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라고 전망했다.

Posted by
,

https://youtu.be/6QnfsQ31fq0

 

29년 전에 '성공한 쿠데타는 처벌할 수 없다'는 해괴한 소리를 해대던 그 검찰의 DNA.

이제 21세기가 돼서도 그걸 또 살짝 비틀어 '실패한 쿠데타는 어떻게, 왜 처벌하니?'라고 부르짖는 개-돼지 같은 작자들....

'계엄이 고도의 통치행위'라면 '강간은 고도의 사랑 행위' 된다능ㅋㅋㅋㅋ

Post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