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라닌 색소 부족해 짧은 파장 빛만 반사하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듯 눈 색깔이 파랗게 보이는 것.
파란색 눈 유전자는 열성이라 미국에서 파란 눈 계속 줄어
파란 눈은 유럽인, 그 중에서도 핀란드, 발트해 연안의 구 소련 공화국에 많다고 하죠. 북유럽과 동유럽에 파란 눈이 많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과학적으로 말하면 파란 눈은 간단합니다. 전혀 신비로운 현상이 아니에요.
백인 시리즈 1: 백인 처음 생긴 것은 5500년 전?
백인 시리즈 3: 금발은 유럽 백인의 특권?
원숭이도 멜라닌 색소 부족하면 파란 눈 돼
전에 디스커버리 채널인지 어떤 과학 채널에서 원숭이 얘기를 보여 주던데 이 원숭이는 돌연변이로 멜라닌을 생산하지 못해 몸 털이 모두 하얗더군요. 이렇게 멜라닌을 생산하지 못하는 이 원숭이의 눈이 바로 파란색이었습니다.
인간 사회라면 유일한 흰털에 파란 눈까지 갖췄으니 신비롭다며 난리였겠지만 원숭이 사회에선 전혀 그렇지 않더군요. 털 색깔과 눈 색깔이 다른 원숭이들과는 완전히 다른 이 ‘흰둥이 원숭이’는 그야말로 천덕꾸러기였습니다.
또래 원숭이들이 때리고 바깥 쪽으로 밀치고 해서 사육사가 보살펴 줘야 하는 처지더라구요.
갈색 눈은 멜라닌 많이 모든 빛 흡수하기 때문
갈색 눈은 지구상에서 가장 흔한 색깔의 눈입니다. 멜라닌을 정상적으로 생산하는 사람이 대다수이기 때문이죠.
Eiberg H, Troelsen J, Nielsen M 등 학자들은 2008년 학술지 ‘인간 유전학(Human Genetics)’에 발표한 눈 색깔 관련 논문에서 “파란 눈을 가진 사람은 HERC2라 불리는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멜라닌 생산이 부족해 파란 눈이 된다”고 밝혔습니다.
멜라닌이 적어서 눈으로 들어온 광선 중 짧은 파장만이 반사되기 때문에 파랗게 보인다네요. 이렇게 짧은 파장이 반사돼 파랗게 보이는 것은 낯 시간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과 똑 같은 원리라고 합니다.
갈색 눈은 멜라닌 색소가 풍부하기 때문에 광선 중 짧고 긴 파장을 모두 흡수해 어두운 갈색이 된다는 것입니다.
'멜라닌 부족' 돌연변이는 중동에서 신석기 때 처음 발생
Eiberg H. 등은 HERC2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처음 생긴 시기에 대해 “중동 또는 현재의 흑해 부근에서 6,000~10,000년 전, 즉 신석기 혁명 때일 것”이라고 추측했습니다. 이 한 사람의 돌연변이에서 파란 눈이 퍼져 나갔다는 것이죠.
그래서 파란 색 눈을 가진 사람은 모두 HERC2 유전자 돌연변이를 갖고 있답니다. 이 유전자 변이는 열성이라서 예컨대 갈색 눈의 한국인과 파란 눈의 핀란드인이 결혼을 하면 자녀들 중에는 파란색 눈을 갖고 태어나는 확률이 낮죠.
이런 이유로 미국에서 태어나는 아기 중 파란 눈을 가진 비율을 측정해 보니 유럽인들끼리만 결혼했던 1899~1905년에는 신생아 세 명 중 두 명(57.4%)가 파란 눈이었는데, 외국인 이민자가 들어오기 시작한 1936~1951년 기간에는 이 비율이 33.8%(세 명 중 한 명)로 뚝 떨어졌고, 최근에는 더욱 떨어져 16.6%(여섯 명 중 한 명)로 줄었답니다. (2002년 Grant MD, Lauderdale DS의 논문)
미국에서는 파란 눈을 찾기가 더욱 힘들어진다는 것이죠.
우생학자들, '세계 파란눈 지도' 만들기도
앞에서도 말했지만 파란 눈은 그저 과학 현상 중 하나일 뿐입니다. 파란 눈이 매력적이란 것은 부정할 수 없지만 마치 파란 눈을 가진 사람은 우수한 사람이고, 갈색 눈을 가진 사람은 열등한 사람이라고 쳐다보는 태도는 과학적으로 옳지 않다는 것이지요.
백인 얘기를 하면서 피부색, 파란 눈 얘기만 하고 넘어갈 수는 없겠죠. 우리의 귀여운 윌리엄이 찬란한 금발로 나오듯 다음 편에는 금발에 대한 얘기를 해 보겠습니다.
<책 읽는 북손탐의 추천 동영상>
'진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보다 늑대가 더 똑똑 (0) | 2009.09.05 |
---|---|
'탐나는도다' 윌리엄 같은 금발은 유럽 귀족의 특권? (2) | 2009.09.01 |
‘탐나는도다’ 윌리엄 같은 백인 처음 생긴 건 5500년 전? (3) | 2009.09.01 |
여자가 벌레 훨씬 더 무서워하는 것은 진화 탓 (3) | 2009.08.31 |
눈물은 항복의 표시…“ 졌으니까 봐줘 제발” (3) | 2009.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