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는 잘난척 하기 위해, 여자는 자기를 노출하기 위해 인터넷 이용


최근 한국에서도 친구맺기 사이트가 속속 등장하고 있지만 미국에선 ‘페이스북’ ‘마이스페이스’ 같은 친구맺기 사이트가 아주 인기다.

그런데 남자와 여자는 평소 실제 생활에서 노는 방법이 다르듯 인터넷에서 노는 방볍도 다르다는 재미있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에 따르면 남자는 누가 잘났는지를 겨루기 좋아하고, 여자는 자기 자신을 노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을 더 즐겨 사용한다는 것이다.

호주 퀸슬랜드대학 경영학과 레베카 러셀베넷 교수 팀은 친구맺기 사이트 ‘페이스북’ 사용자를 대상으로 이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중 어떤 것을 남녀가 사용하는지를 조사했다.

이성을 항상 염두에 두는 진화적 특성 때문?

남녀 모두는 ‘쿨’한 애플리케이션을 좋아했지만, ‘쿨’의 기준은 달랐다.

여자는 자신의 가치, 성격, 관심사를 나타낼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좋아했다. 노출을 해야 수컷이 다가오기 때문이라고 해석하면 지나치게 성선택(sexual selection)적으로 해석한 것일까?

반대로 남자들은 서로 경쟁하고 비교해 누가 최고인지를 겨룰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좋아했다. 이것 역시 남자는 자신을 과시해야 여자가 따르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지 않을까?

러셀베넷 교수는 “친구맺기 사이트에서는 더 쿨하게 보여야 더 많은 친구를 맺을 수 있다”며 “쿨하다는 기준이 남성과 여성에서 확연히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책 읽는 북손탐의 재밌는 동영상들>







Posted by
,

못난 아이 사진 대하는 남녀 차이 드러나


못 생긴 아이로부터 여자는 남자보다 더 빨리 시선을 거두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매클레인병원 이고르 엘먼 박사 팀은 남자 13명, 여자 14명에게 아기들 사진을 보여 주면서 아기들의 외모에 점수를 매기라고 했다.

사진은 보통 생김새의 아기들 50명 사진과, 그리고 피부장애, 사시, 다운증후군, 태아알코올증후군 같은 여러 증세를 갖고 있어 보기 싫거나 비정상적으로 생긴 아기들 30명의 사진이었다. 

실험에 참가한 남녀는 열심히 사진에 매력 점수를 매기기만 했지만 연구진은 그새 참가자들 모르게 사진을 들여다보는 '시간'을 측정했다. 사진을 얼마나 유심히 쳐다보는지, 아니면 얼마나 빨리 고개를 돌리는지를 측정한 것이었다.

시간 측정 결과 비정상적 생김새의 아기 사진에서 눈길을 거두는 속도는 여자 쪽이 훨씬 빨랐다. 못 생긴 아기들은 보고 싶지 않다는 무의식적 행동이었다.

이에 대해 엘먼 박사는 “자녀의 외모에 따라 부모의 태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이번 연구는 보여 준다”고 말했다. 그리고 그는 “여자들은 건강한 아이를 기르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한편, 매력적이지 않은 아이는 거부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새끼 기르는 힘든 일 하는 암컷은 자식에 대한 '선별력' 갖게 돼 

연구에 참여한 리나 야마모토 박사는 “외모에 민감한 이런 태도는 진화론적으로 설명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즉 동물 세계에서는 새끼에 대한 어미의 차별이 확실하다는 것이었다. 어미 새는 조금이라도 덩치가 큰 새끼에게 먹이를 선별적으로 먼저 주며, 따라서 늦게 또는 작게 태어난 새끼는 굶어 죽는 경우가 많다.

어미 동물의 이러한 태도는 많은 에너지와 시간이 투입되는 새끼 양육에서 '모자라는' 새끼를  기른다는 것은 전혀 무의미한 일이기 때문이다. 결국 새끼 양육을 책임지지 않는 수컷과는 달리 새끼을 낳고 기르는 힘든 임무가 부여된 암컷은 자녀의 외모에서 재빨리 장래 가능성 또는 길러야 할지 말아야 할지를 선택한다는 것이다.

동물의 진화적 특징을 사람에게 대입시키는 이러한 진화심리학적 연구에 대해서는 반감을 가지기 쉽다. "왜 사람을 동물로 취급하느냐"는 반론이다. 

그러나 사람을 동물로 취급하는 데 바로 진화론의 최고 장점이 있다. 지구상의 모든 생물은 박테리아부터 사람까지 다 연결되는 같은 생명으로 보는 게 진화론의 입장이기 때문이다.




Posted by
,

자신과 닮은 자식만 “확실한 내 자식”으로 생각해 시간-돈 더 많이 투자


아버지는 자신과 외모가 비슷한 ‘판박이’ 자녀에게 더 큰 물질적 지원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자신과 닮지 않은 자녀에게는 비교적 냉정한 아버지의 이러한 태도는 ‘아버지는 근본적으로 자기 아내가 낳은 자식이 자기 자식인지 아닌지를 의심한다’는 진화론적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자기를 빼닮은 자녀는 굳이 DNA 검사를 하지 않아도 자기 자식이 확실하기 때문에 더 큰 사랑을 베푼다는 해석이다. 이러한 특성은 최근과는 달리 그 동안 자기 자식이 자신과 닮은 것 이외에는 자기 자식인지 아니면 혹시 다른 남자의 자식을 자기가 힘들여 키우고 있는지 전혀 확인할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진화적으로 발달했다는 해석이다.


프랑스 진화과학협회 생물인류학자 알렉상드라 알베르뉴 박사는 세네갈의 30가구를 조사해 부자 사이에 닮은 정도는 아버지가 자식에 투자하는 돈과 노력에 정비례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연구진은 세네갈의 A마을에서 아버지와 아들의 사진, 그리고 이들이 하룻밤 입었던 티셔츠를 모았다.

그리고 멀리 떨어진 B마을로 가서 사람들에게 아들 사진과 아버지 후보 3명의 사진을 주며 “아들과 아버지를 맞춰 봐라”고 요구했다. B마을 사람들은 주어진 시간의 절반도 안 돼 아버지와 아들의 사진을 비교적 정확하게 맞췄다.

아들이 입었던 티셔츠 한 장과 ‘아버지 후보’ 두 사람이 입었던 티셔츠를 주면서 “어느 쪽이 아버지인지 냄새를 맞고 맞춰 봐라”는 실험에서도 B마을 사람들은 아버지와 아들 짝을 잘 맞췄는데, 특히 B마을 남자들이 짝을 더 잘 맞췄다.

이렇게 외모상 또는 냄새상 아들과 아버지의 짝을 맞춘 뒤 연구진은 아버지가 각 자녀들과 하루 동안 얼마나 많은 시간들을 보내는지, 금전적, 감정적 지원을 얼마나 하는지를 조사했다. 

그 결과 아버지는 자신과 외모와 냄새가 비슷한 아들, 즉 남들이 봐도 비슷하다고 여겨지는 아들에게 더욱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는 경향이 드러났다.

자녀의 나이, 성별, 출생 순서, 아버지 자신의 나이와 재산 같은 여러 다른 요인들을 고려해도 닮은 자녀에게 더 투자하는 아버지의 태도는 분명했다.

연구진은 또다른 실험도 했다. 즉 아들들의 몸무게와 팔두께도 재 본 것이다. 그랬더니 아버지의 사랑을 더 많이 받은 '닮은' 아들이 몸무게도 더 무겁고 팔두께도 더 두꺼웠다. 아버지가 더 잘 먹여서든, 아니면 사랑을 더 받아서든 닮은 아들의 영양상태와 몸 상태가 더 좋았던 것이었다.

연구진은 또한 런던 히스로 공항에서 비슷한 방식으로 조사를 했는데 여기서도 아버지는 자기와 닮고 행동거지도 비슷한 자녀에게 더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오클라호마대학 인류학과의 커미스 앤더스 교수는 “포유류 중 자식 양육에 많은 시간과 자원을 들이는 것은 인간이 거의 유일하다”며 “그렇기 때문에 아버지는 자신의 유전자를 확실하게 물려받았다고 생각하는 아들에게 더욱 많은 사랑을 쏟게 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따박따박 읽어내는 북손탐의 재밌는 동영상들>



고흐가 미쳤다고? 이렇게 맨정신인데? 

고흐는 열정만의 화가라고? 책을 이렇게나 많이 읽은 지식인인데? 

우리가 잘못 배운 빈센트의 진면모!




메시와 호날두 중에 누가 좋냐고? 

난 단연코 호날두!! 

왜냐고? 인간적이잖아!! 

동양인 비하하느라고 눈찢는 메시가 좋으니? 

호날두는 저런 천박한 짓 말라고 메시 같은 것들한테 아래위로 찢어주잖아.   


"아래위로 눈 찢어진 야만인들아!"라면서




돈에 구애받지 않고 사는 법이 있다고라고라??




Post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