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하기는 인간관계-사회통합의 기본원리

원숭이, 따라하면 놀아주지만 그렇지 않으면 무시 

따라하기에 대한 재미있는 연구가 나왔네요
. 사람은 사람을 따라한다고 하죠.

두 사람이 만나서 행동하는 것을 비디오로 촬영해 보면 사람들 행동이 묘하게 일치하기 시작한다고 합니다. 한 사람이 뒤로 몸을 제끼면 상대방도 제끼고, 목소리를 올리면 같이 올리고 내리면 같이 내리고.

 

그리고 이런 과정은 무의식적에 일어나 본인들은 누가 누구를 따라하는지 잘 모른답니다.

 

그런데 이 따라하기에 아주 중요한 의미가 있다는 연구가 학술지 사이언스’ 814일자에 나왔네요. 미국 국립보건원 산하 국립 아동건강-인간발전 연구소가 한 연구입니다.

 

내용은 원숭이가 자기를 따라하는 사람과는 함께 놀아 주지만 따라하지 않는 사람은 싫어한다는 내용입니다. 내용을 한번 봅시다.


끌리는 사람 따라하고 따라하는 사람에 끌리고
 

연구진은 흰목꼬리감기원숭이(capuchin monkey) 한 마리에 두 연구원을 붙여 원숭이의 행동을 따라하거나 또는 따라하지 않게 했습니다. 조그만 공을 주면 이 원숭이는 공을 손으로 찌르거나, 입에 집어넣거나 또는 땅에 튀기는 행동을 한답니다.

 

따라하게 돼 있는 연구원은 원숭이가 공을 입에 넣으면 자기도 입에 넣는 식으로 따라했고, 안따라하는 연구원은 원숭이가 공을 입에 넣을 때 자기는 공을 땅에 튀기는 식으로 완전히 다른 짓을 한 것이지요.

 

이런 실험을 하고 연구진이 원숭이와 함께 있는 시간을 가졌는데 원숭이들을 자기를 쫓아한 연구원들 옆에는 잘 가서 앉지만 따라하지 않은 연구원은 피하더라는 것입니다.

 

이어 연구진은 간단한 과제를 원숭이에게 시켰답니다. 연구원 손에 있는 작은 물건을 원숭이가 집었다가 다시 연구원에게 돌려 주면 음식을 보상으로 주는 일이었답니다.

 

이번에도 역시 원숭이들은 자기를 따라한 적이 있는 연구원과는 일을 잘 했지만, 따라하지 않은 연구원이 똑 같은 먹이 보상을 주는데도 함께 일하기를 거부했답니다.


자기도 모르게 상대방 목소리 톤에 맞추게 돼
 

재미있죠? 모방에 대한 연구는 이 밖에도 많지요. 침팬지 새끼들이 어른들이 하는 행동을 찬찬히 들여다보고 쫓아하는데, 어미처럼 자기와 가깝고 좋아하는 상대는 잘 따라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잘 따라하지 않는다고 하죠.

 

미국 CNN방송의 유명한 토크쇼 사회자인 래리 킹에 대한 연구도 있죠.

생긴 건 별로인 이 할아버지는 인터뷰하는 사람이 속마음을 털어놓게 만들기로 유명한데, 이 사람이 방송에서 말하는 톤을 조사해 보니, 영국 여왕처럼 거물이 나오면 킹이 상대방의 말 톤을 쫓아가고, 반대로 만만한 인물이 나오면 출연한 사람이 킹의 말 톤에 맞춘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약자가 강자에게, 그리고 배우고자 하는 사람이 모범적인 사람을 따라하는 게 바로 모방이라는 것입니다.

 

나를 따라하는 사람이 귀여워 보이기 시작한다

모방의 원리가 이렇다면 어떻게 될까요
? 바로 나를 쫓아하는 사람을 귀여워하는현상이 생기게 되겠죠. 놀리는 따라하기에는 신경질이 나지만 존경해서따라하는 행동은 좋게 받아들여지고 그래서 따라하는 사람에게 조언과 도움을 더 많이 준답니다.

 

이러한 따라하기의 메커니즘은 여태껏 사람에게서만 관찰됐는데 이번 연구는 처음으로 원숭이에서도 같은 현상을 확인했다는 데 의미가 있답니다.

 

흰목꼬리감기원숭이가 선택된 것은 이들이 야생에서 먹이를 먹을 때나 이동할 때, 그리고 포식동물을 피할 때 서로 따라하기를 잘 하기 때문이랍니다.

 

따라하기는 이런 기능 때문에 원숭이든 사람이든 무리를 이루는 동물의 기본이랍니다. 따라하기를 서로 하면서 가까운 사이가 되고 갈등이 줄어들면서 함께 모여 살 수 있다는 것이죠.

 

뒤집어 말하면 따라하기를 못하면 무리생활이 안 된다는 것입니다. 따라하기를 못하는 대표적 경우가 바로 자폐증이라는 것입니다. 따라하기를 못하니 유대감 형성이 안 되고 다른 사람과 연결이 안 돼 완전히 따로 놀게 된다는 겁니다.

따라하기 원리를 처세술이 적용하기

 

이런 따라하기의 과학적 근거를 안다면 처세술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 같군요. 중요한 상대나 직장 상사의 행동을 너무 티나지 않게 슬쩍슬쩍 따라해 주면 된다는 거죠. 이런 행동으로 상대방의 동물적 감각에 당신을 존경합니다” “당신은 저에게 중요한 분입니다라는 의식을 깊숙이 심어 넣어 주면 효과를 볼 수 있을 것 같네요.  

 

따라하기가 이렇게 사회를 구성하고 유지하는 기본 원리 중 하나라면 한국 사회에서의 따라하기는 잘 되고 있나요?

 

한국 근현대사의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옳은 일을 하면 거지 꼴을 못 면한다인 것 같습니다. 못되게 살아야 사회 상층부로 올라갈 수 있다니 사람들이 안 그래도 되는데 못된 짓을 하면서 사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따라해도 거지꼴 면할 수 있는 나라가 되야 할 텐데...

 

가까운 미국-일본을 보면 편안히 따라할 수 있는 롤 모델들이 우리보다는 훨씬 많은 것 같습니다. 편안히 따라할 수 있다는 것은 거지꼴 걱정을 않고 따라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어느 사회든 옳은 일을 하려면 저항과 고통을 이겨내야 하겠지만 한국처럼 옳은 일을 따라하면 반드시 죽이겠다고 벼르는 사람들이 많고, 그들이 지배층을 구성하고 있는 나라도 드물 것입니다. 편안히 따라할 수 있는 사회가 어서 빨리 와야 할텐데


<책 읽는 북손탐의 재밌는 동영상들>





Posted by
,


차가 조연으로 나오는 영화가 많죠. ‘배트맨 카’가 그렇고 트랜스포머가 그렇습니다. 차는 사람이 이용하는 많은 기계 중 하나일 뿐인데, 차 말고는 ‘기계’가 조연쯤으로 영화에 나오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냉장고나 세탁기가 사람처럼 나오는 영화가 있었던가요?

차가 사람에게 특이한 존재라는 증거를 미국의 인류학자 에드 리보우는 이렇게 표현했답니다.

차를 기계로만 생각할 수 없는 인간들

“우리는 차 속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차가 우리를 A에서 B지점으로 옮겨주는 데 우리는 의존한다. 더구나 차 속에서 우리는 수많은 경험을 한다. 관계가 싹 트고 뜨거워지고…. 라디오를 들으며 웃고 눈물을 흘리고…. 한 마디로 차는 그냥 물건, 기계가 아니다. 차는 우리 삶에서 의미 있는 한 자리를 차지하며, 대량으로 찍어내는 기계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차를 마치 개체처럼, 즉 이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존재처럼 대한다”고.

너무 감상적인 말인가요? 하지만 제 개인 경험을 돌아봐도 상당히 말이 되는 얘기인 것 같습니다. 처음 아들이 태어났을 때 차 뒷좌석에 싣고 다니면서 여기저기를 다니다 아들이 뒷머리카락을 잡아당겨 사고가 날 뻔 하기도 했고, 뒷좌석에서 오줌 싸고 토하던 모습하며…. 아득했던 그 옛날의 애들이 더럽혀 놓았던 그 지저분했던 뒷좌석이 지금도 삼삼하게 생각이 납니다.

“이 놈의 차, TV, 라디오”를 때리는 이유는?

차 속에서 생긴 수많은 추억들 때문에 우리는 자기도 모르게 차를 마치 사람 대하듯 한다는 것입니다. 차가 말을 안 들으면 차를 때리기도 하는데 사실 사람이 기계를 때린다는 것은 이처럼 기계를 마치 사람처럼, 최소한 사람 말귀를 알아들을 줄 아는 존재로 여긴다는 증거겠죠. 사람에게 잘 얻어맞는 차나 TV, 라디오 따위는 모두 그만큼 사람과 가깝기 때문에 잘 얻어맞을 겁니다.

차를 꾸미고 이른바 튜닝하기 좋아하는 것도 자기 차를 개체로 여기기 때문일 겁니다.

사람이 이렇게 사물을 ‘인간화’하는 것은 사람에게만 있는 독특한 감정적 친화력 때문에 그렇답니다. 노자(老子)가 “자연은 무심하고 무자비하다”고 했듯 동물들은 무심합니다.

어느 동물학자가 동물 세계를 ‘아침 출근길의 직장인들처럼 서로에 대해서 완전히 무심하다’고 표현했는데 맞는 말 같습니다. 동물들은 심지어 같은 종이라도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대개 무심한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짐승 같은 놈’이라고 할 때는 바로 이런 무심한 동물의 특징을 말하는 것이죠.

무심한 동물과 무심하지 못한 인간

그러나 사람은 그렇지 않습니다. 직장에 새로운 사람이 나타나면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 말꽃이 핍니다. 낯선 자에 대한 이런 관심은 사람과 가까운 침팬지에서도 나타난다죠.

침팬지 암컷은 자기 무리의 수컷들보다는 외부에서 온 수컷을 더 좋아하고 그 ‘외간 수컷’을 쫓아 무리를 떠나 ‘시집’을 간다고 합니다. 침팬지 연구의 대가 제인 구달 박사의 얘기입니다.

아프리카 고릴라를 현지에서 연구한 호주의 여성 동물학자 다이앤 포시도 고릴라 암컷이 이처럼 외간 수컷을 따라 시집가는 이야기를 여러 차례 들려줍니다.

사람이나 침팬지, 고릴라 같은 고등동물은 이처럼 낯선 존재에 잘 마음을 쏟는데, 그 중 제일은 역시 사람이겠죠. 사람은 낯선 사람에게 마음을 붙이는 단계를 지나 기계에까지 마음을 붙이는 특징을 갖고 있다는 소립니다.

기계에까지도 ‘사랑의 호르몬’을 흩뿌리는 인간

사람과 동물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호르몬으로 ‘옥시토신’이 있습니다. 흔히 ‘사랑의 호르몬’ 또는 ‘유대의 호르몬’이라 부르죠. 여자가 성행위를 할 때 오르가슴을 느끼면 이 옥시토신 호르몬이 뇌에서 나와 그 남자에 유대감을 느끼게 된답니다. 남녀 사이에 성행위가 만족스럽지 못하면 이 옥시토신 호르몬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점점 더 서먹서먹하게 느껴지면서 사이가 벌어진다는 것입니다.

동물은 아무 때나, 아무 대상에게나 옥시토신이 나오지 않지만 사람은 여러 대상에 대해 이 옥시토신을 발산하는 특징을 가졌다고 합니다.

이런 연구를 처음 시작한 미국 클레어몬트 대학원대학의 폴 잭 교수는 사람의 이런 특징에 대해 “유대감을 느끼는 대상을 고르는 데 도대체 가리는 게 없다”고 표현했습니다.

잭 교수의 실험에 따르면 사람은 전혀 모르는 사람이 신뢰감을 표시하기만 하면 바로 이 옥시토신 호르몬 수치가 올라간답니다. 금세 믿는 것이죠.

이렇게 잘 믿는 마음은 상대방에 꼭 옆에 있을 필요도 없습니다. 인터넷을 통해 글월만 주고받으면서도 어느덧 친근감을 지나 사랑까지도 느끼는 게 사람입니다.

사람 닮은 로봇 나오면 반드시 사랑에 빠진다

이런 특징을 잭 교수는 ‘상대를 가리지 않는 호르몬의 난혼(hormonal promiscuity)’라고 표현했습니다.

이런 특징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 외모나 행동이 사람과 비슷한 로봇이 나온다면 사람은 반드시 그 로봇과 사랑에 빠지고 결혼까지 하게 될 거라고 그는 예언했습니다.

인간이 만든 기계 중 인간이 그 안에 들어가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기계. 그래서 ‘옥시토신의 난혼’을 즐기는 인간이 사랑하게 된 기계가 바로 차입니다. 많고 많은 사물 중에 하필이면 트랜스포머의 로봇들이 차 속에 둥지를 틀게 된 사연입니다.

 

Post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