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토 중'이란 보도는 대개 반응을 떠보기 위해 흘리는 뉴스인 경우가 많습니다.
결국 시보레 로고를 좋아하는 한국인들이 'GM대우'라는 이름을 버리게 하고, 시보레라는 본토 발음을 한국에서 만들어지고 판매되는 차에 붙게 만든 것 같습니다.
그런데 미국의 3대 자동차 메이커 중 포드는 그럭저럭 연명하지만 GM(시보)은 파산 일보직전까지 갔다가 미국 정부의 지원금 등으로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으로 보입니다. 결국 '시보레'는 좋은 브랜드가 아니라는 것이죠.
이름이 달라진다고 왜 이익금을 더 잘 가져갈 수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번 사태에서 '겉멋'에 집착하는 한국인의 특징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됩니다.
로고를 뭘 갖다 붙이던 제품이나 고장률 등은 아~무런 차이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한국인들은 단지 GM대우 로고보다 시보레 로고가 더 멋있다는 이유 때문에 로고를 갈아붙이는 수고를 하더니 결국 일이 이렇게 진전되는군요.
'겉을 바꾸면 속도 바뀐다'고 생각하는 것인지, 아니면 '겉이라도 바꿔야 덜 멸시 당한다' 생각하는 것인지, 참 한국인들이 하는 일이란 알다가도 모를 일이 많습니다.
한국 사람들, 옷 잘 입습니다. 차도 좋은 것 몰고 다닙니다. 외제 차 몰고 다니는 사람 중 상당수가 빚쟁이란 소리도 들립니다. 사기꾼일수록 빚을 내서라도 외제차를 몰아야 하고, 사기꾼이 제일 먼저 하는 일이 몇 억을 '쳐 발라서라도' 사무실을 테헤란로 같은 데 비까번쩍 하게 내는 것이랍니다.
제가 투자자라면 저는 사무실의 비까번쩍이 아니라 일하는 사람들의 눈동자, 사무실 분위기를 슬쩍슬쩍 자주 들러 냄새 맡아 볼 것 같습니다. 모든 일은 결국 사람이 하는 것인데, 왜 일부 몽매한 한국 투자자들은 사람은 보지 않고 그 사람의 옷-차-사무실부터 보는지 모르겠습니다. 겉으로 사람을 판단할 수 있다는 참, 수준낮은 자신감입니다.
원산지 미국에서 로고는 보일락 몰락, 그래도 자세히 보면 보이게, 은은하게 멋을 내는 게 보통인데, 한국에선 폴로 말이 손바닥 만한 것을 지나 아예 폴로 말이 배를 다 덮은 제품도 보았습니다.
그게 진품인지, 짝퉁인지는 모르겠으나, "나 폴로 입는 사람이야"를 얼마나 과시하고 싶었으면 폴로 한국 지사든, 아니면 짝퉁 메이커든, 그렇게 큰 로고를 붙여야 했는지 웃음부터 나오면서도 뜨악한 느낌을 금할 수 없습니다.
겉멋도 좋지만 좀 실질을 갖추면 안 될까요? 미국 부자들, 엄청나게 폼 잡는 사람도 많지만, 트럭 몰고 다니는 사람도 많습니다. 그래서 미국에서 한국 식으로 차-옷-사무실로 어떤 사람의 지위나 부를 예단하려다가는 큰 코 다치기 쉽습니다.
미국에서 이런 일, 있을 수 없습니다. 아니 벤츠건, 티코건, 벨리파킹 맨은 팁을 받아먹고 사는데, 왜 발레파킹 하겠다는 차에게 모멸감을 주면서 "너는 니가 주차해"라고 해야 하나요? www.wikipedia.org에서 가져온 위 사진도 "발레 파킹. 모두 환영"이라고 돼 있지 않습니까?
한국인이 다 바뀌면 좋겠지만 그렇게는 절대로 안 될 것이고, 나부터 한번 바뀌어 봅시다. 쪽 팔리다는 생각, 남이 어떻게 보리라는 생각 좀 접고, 뱃속이 든든한 사람들이 좀 돼 봅시다.
'드라마-영화-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대생과 '서운대생'의 결혼은 "자녀에게는 별로" (4) | 2010.01.18 |
---|---|
재벌+정부의 세종시 "땅" 짚고 헤엄치기 작전, 너무 심한 것 아닌가요? (0) | 2010.01.15 |
나는 '디자인 서울’이 싫어요 (2) | 2010.01.13 |
‘아바타’ 보면 안다, 미국인이 외국인을 어떻게 보는지 (5) | 2010.01.08 |
'하이킥' 러브라인, 세경-지훈, 정음-준혁 미는 건 넘 위험할까요? (3) | 2009.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