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하기 직전에 최고 물건 만든다'는 역설 있는데…
미국의 사진 평론가 마이크 존스턴은 카메라 렌즈로 이런 현상을 말했다. 4×5인치나 되는 대형 필름으로 사진을 뽑아내는 대형 카메라에서 최고의 렌즈가 나온 시기를 그는 2000년대 중반으로 꼽았다.
인류의 사진 역사상 카메라 렌즈로는 최고의 영상을 뽑아낼 수 있는 명작이 이때 탄생했지만 이미 세상은 디지털 카메라 시대로 넘어간 뒤였다. 이래서 ‘사상 최고의 렌즈’는 그 최고 품질에도 불구하고 눈길 한번 못 받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는 한탄이다.
몰락 직전에 광휘 뿜어냈던 유럽, 미국…, 그 다음은?
미국 애플이 만든 ‘아이폰’ 전화기 한 대가 한국의 이동통신 시장을 하루가 다르게 바꾸는 모습을 보면서 ‘몰락 전 반짝’ 역설이 계속 머리에서 감돈다.
미국이 만드는 ‘물건’이 보잘것없고 제조업 분야에서 한국·일본에 판판이 깨진다고는 한다. 그러나 영화 ‘아바타’, 그리고 아이폰을 통해 보여준 그들만의 장점은 아직도 남아 있다.
한국 같은 폐쇄 사회는 상상도 할 수 없는 그들만의 기발한 창조성, 그리고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힘이다.
정말 딱딱한 한국 사회-기업, 소프트 세계에서 설 자리 있나?
이건 마치 애플의 CEO 스티브 잡스가 만드는 물건도 뛰어나지만, 그가 새 제품을 프레젠테이션하면 세계 언론이 초조하게 기다리면서 돈 한 푼 받지 않고 대대적 '광고'를 해주느라 안달을 떠는 현상과도 비슷하다. 자발적 복종을 이끌어내는 힘이다.
그리고 이런 능력의 바탕에는 미국 문화의 독특한 ‘너도 나도 모두 그저 같은 사람일 뿐’이라는 철학적 바탕도 있다. 미국의 파티 같은 데 가면 수입과 지위에 엄청난 차이가 있는 남녀노소가 서로 이름(퍼스트 네임)을 부르며 스스럼없이 말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신 앞에서는 너도 나도 그저 사람일 뿐이기 때문에, 비록 직장에서는 하늘 같은 상사라도 사석에서는 그냥 사람 대 사람으로 만날 수도 있다는 장면이다. 논문으로 바쁜 대학원생을 대신해 교수가 심부름을 해주는, 지상 최고의 권위주의 국가 한국에서는 그림도 그려지지 않는 광경이 펼쳐지는 이유다.
하버드 졸업생을 ‘미스터 하버드’라고 부르며 우대하지만, 그렇다고 비(非)하버드 출신을 모두 바보·멍청이로 여기지는 않는 사회, 실패하더라도 두 번째, 세 번째 찬스를 주는 부드러운 사회이기 때문에 ‘소프트 파워’로 세계인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나라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닌지….
미국이 소프트웨어 지배하는 이유
그래서 요즘 한국 경제를 비추는 햇살은 너무 아름답지만, 바로 이 햇살이 망하기 전의 그 반짝 햇살은 아닐까라고 의심되는 것은 지나치게 걱정 많은 사람의 기우일까?
'드라마-영화-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난뱅이에게 돈 가면 부자 뇌 기뻐한다는데… (3) | 2010.02.28 |
---|---|
‘한국엔 왜 스티브 잡스 없나’ 이유 밝혀져 (8) | 2010.02.27 |
'파스타' 같은 사내 연애, 현실에선 절대 용납안돼 (7) | 2010.02.17 |
각하, 세종시를 어떻게 포항-울산-수원-파주와 비교하십니까? (0) | 2010.02.13 |
워싱턴의 '스노샬리즘'과 서울의 '악다구니’ (1) | 2010.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