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정보 입력될수록 뇌는 과거 정보 열심히 지워

분명히 알던 내용인데 생각이 안 나는 경험은 누구나 하게 된다. 특히 이런 경험은 벼락치기 공부를 하고 난 뒤 일어나기 쉽다.

많은 내용을 한꺼번에 기억하려 밤샘 공부를 했지만 막상 첫 문제를 대하고 나니 머리 속이 하얗게 빈 것처럼 아무것도 생각나지 않는 경험이다.

또한 매일 많은 양의 정보를 뇌 속에 집어넣는 사람은 과거사를 까맣게 잊어 버리는 현상도 관찰된다.

과학자들은 그간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즉 뇌가 일부러 과거 기억한 내용을 지우려 드는 듯한 현상의 원인은 캐기 위해 노력해 왔다. 그리고 국제적 학술지 ‘셀(Cell)' 최신호에 그 비밀의 일부를 밝힌 연구 성과가 공개됐다.


상황 바뀌었는데 옛날 기억에 의존한다면…

중국 칭화대학의 리이 중 교수 팀은 초파리를 대상으로 기억 실험을 시키면서 기억이 입력되고 지워지는 과정이 일어나는 과정에 랙(Rac)이라는 단백질이 적극적으로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진은 초파리들에게 3가지 기억 실험을 했다. 첫 실험은 특정 냄새를 맡은 뒤 다리에 전기충격을 줘 특정 냄새에 대한 공포 기억을 심어 주는 것이었다. 두 번째 실험은 ‘기억에 대한 방해’ 실험으로, 다른 냄새를 맡게 한 뒤 충격을 주어 첫 번째 실험의 결과를 헷갈리게 했다.

세 번째 실험은 ‘기억의 역전’ 실험이었다. 처음 배운 내용을 뒤집어버리는 내용이다. 즉, 예컨대 첫 실험에서 사과 냄새와 전기 충격이 연결되고, 오렌지 냄새는 충격과 상관없었다면, 마지막 실험에서는 오렌지 냄새를 맡은 뒤에 전기 충격을 주어 초파리들을 헷갈리게 만들고, 달라진 환경을 얼마나 빨리 기억하느냐를 본 것이었다.

이런 실험을 하면서 연구진은 일부 파리에게는 랙 단백질이 충분히 생성되도록 했고, 일부 파리에서는 랙 단백질 양을 크게 낮췄다. 그러자 뚜렷한 차이가 발생했다.

랙 단백질이 충분한 파리는 과거 기억을 신속히 잊고 새 기억에 적응했다. 예컨대 전에는 오렌지 냄새가 ‘평화의 냄새’였지만 지금은 ‘공포의 냄새’로 뒤바꾼 사실을 더 빨리 알아채고 이에 대처하는 행동을 보인 것이었다.


랙 단백질이 과거 기억 지우는 데 적극 관여


그러나 랙 단백질이 거의 없는 파리들은 이런 ‘기억의 전환’을 제대로 이루지 못했다. 이들은 첫 기억을 지우는 능력이 떨어져 오렌지 냄새를 맡은 뒤 전기충격이 주어지는데도 오렌지 냄새가 날 때 회피 행동을 하지 않는 등 새로운 환경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파리뿐 아니라 쥐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관찰했다”며 “생존을 위해서는 새로운 정보를 빨리 기억하는 능력도 중요하지만 상황이 바뀌었을 때 과거의 기억 내용을 빨리 잊고 새로운 정보를 기억하는 능력도 중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잊는 과정은 할 수 없이 또는 저절로 일어나는 현상이 아니라, 뇌가 새로운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행하는 작용이란 점이 증명된 것이다.

뇌의 이런 작용 때문에 벼락공부처럼 한꺼번에 너무 많은 정보를 뇌에 입력시키려 하면 뇌는 랙 단백질의 작용으로 먼저 배운 내용을 열심히 지우면서 결국 아무것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Post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