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짓기 할지 안할지 결정하는 '세포 속 화학방정식' 확인
'한다' 효소와 '안 한다' 효소 싸우다 어느 한쪽으로 급히 기울어


사랑의 영원한 수수께끼가 하나 있다. 왜 어떤 사람에게는 끌리고, 어떤 사람에게는 전혀 마음이 가지 않느냐 하는 수수께끼다.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마르셀 푸르스트의 소설에서도 주인공 남자가 어떤 여자에 대해 '이성적으로' 철저히 생각해 본 끝에 "나는 이 여자를 사랑하지 않아"라고 결정을 내리고 여자를 떠나보내지만, 여자가 없어지고 나니 그때야 비로소 그 여자가 자신의 진정한 사랑이란 사실을 '몸으로' 느끼고 다시 찾아헤매는 내용이 나온다고 한다. 

이런 게 바로 사랑의 수수께끼다. 아무리 머리를 굴려봐야 머리로는 해결할 수 없는 '사랑의 화학(chemistry of love)'이기도 하다. 이 화학방정식을 푸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랑할지 말지 결정은 마음-이성-두뇌가 아니라, 몸 속의 세포가 한다는 연구 결과다. 세계적 과학지 ‘네이처(Nature)’ 최근호에 발표된 내용이다. 


이성 나타나면 "좋다" 효소와 "아니다" 효소 경쟁하기 시작

캐나다 몬트리올 대학의 스티븐 미치닉 교수 팀은 세포 속 분자활동에 대한 관찰을 통해 ‘짝짓기 할 만한 이성이 나타나면 세포에 불꽃이 켜지는’ 현상을 관찰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의 관찰에 따르면 이성이 접근할 때 이성이 내뿜는 ‘사랑의 화학신호 물질’ 페로몬에 따라 인체 세포 내의 두 효소가 싸움을 시작한다.

한 효소는 “괜찮은데”라며 짝짓기를 부추기고, 나머지 한 효소는 “아냐, 내 짝이 아냐”라며 짝짓기를 회피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 두 효소는 Ste5라고 이름 붙여진 단백질에 영향을 미친다.

이런 과정이 축적돼 어느 한 순간 한 쪽 편 효소가 승리하면 바로 몸 전체가 반응하게 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세포의 이런 작용을 이스트 세포의 작용에 근거해 관찰했다고 밝혔다. 빵을 부풀리는 데 사용되는 이스트는 아주 간단한 세포지만 다음 행동을 결정할 때 두 효소가 서로 경쟁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이 과정은 수학적 정확성을 갖고 작동된다. 남자든 여자든, 눈 앞에 나타난 이성이 '짝짓기 할만한 바람직한 특징'을 갖춘 것으로 판단되면 바로 세포에 불이 켜지면서 불꽃이 튀기 시작한다는 것이 연구진의 결론이다.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바뀌는 과정 연구에도 기여할 전망

미치닉 교수는 “이성에 대한 끌림이 세포 차원에서 결정된다는 사실은 매우 놀라운 발견”이라며 “암컷 공작이 수컷 공작의 꼬리를 보고 짝짓기를 할지 말지를 순식간에 결정한다는 사실을 150년 전 찰스 다윈이 발견했는데 우리는 그 과정을 화학적으로 확인했다”고 말했다.

세포 속 효소의 이러한 역할은 앞으로 암 연구 등에도 큰 기여를 할 전망이다. 세포가 분열하면서 각기 다른 신체 조직으로 달라지는 방식 역시 이 같은 ‘세포 속 화학작용’에 따라 이뤄지며, 이런 화학작용에 문제가 생기면서 정상 세포가 암세포로 마구 변하기 때문이다.

이런 연구 결과에서 얻을 수 있는 결론은 간단하다. 이성을 선택할 때 잔머리를 굴리지 말라는 것이다. 유전적으로, 본능적으로 나에게 딱 맞는 이성이 나타나면, 머리로 생각할 것도 없이 바로 몸이 반응한다는 것이다.

"이 사람이 내 사람일까"를 머리로, 스펙으로 아무리 따져 봐야 소용 없고 몸이 먼저 알아서 반응한다니, 배우자 결정에서 스펙만을 따지는 요즘 한국인의 풍토는 정말로 어리석은 짓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책 읽는 북손탐의 재밌는 동영상들>





Posted by
,

저탄수화물-고단백 식단의 체중감량 효과, 미국에서 증명
저지방 식사 한 10대보다 고기 주로 먹은 10대 살 더 잘 빠져

한국인의 비만도가 날로 높아가고 있는 가운데, 살을 빼려면 역시 빵과 밥 같은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는 게 가장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또 나왔다. 이번 연구는 고도 비만인 10대 청소년을 상대로 한 것이었다.

미국 콜로라도대학 소아과 낸시 크렙스 교수 팀은 정상 체중보다 1.75배나 더 나가는 심가한 비만 청소년(평균 연령 14세) 46명을 두 그룹으로 나눠, 13주 동안 한 그룹(24명)에는 고단백질에 탄수화물은 적은 식단을, 다른 그룹(22명)에게는 저지방 식단을 섭취하도록 했다.

그 결과, 고단백-저탄수화물 그룹 청소년들은 평균 13kg을 감량했지만 저지방 식단 그룹은 7kg 감량에 그쳤다.


청소년에 고단백 식단 줘도 부정적 효과는 없어

그간 영양학 전문가들은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고단백-저탄수화물 다이어트를 적용하는 데 소극적이었다. 왜냐하면 고기를 위주로 하는 고단백 식단은 고지방 식단이 되기 쉽기 때문이었다.

의학자들은 고단백 식단을 섭취하느라 섭취한 지방이 청소년들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고 골밀도를 낮추고 성장을 방해할 것을 우려했었다. 그러나 이번 연구 결과, 고단백 식사를 해도 이런 부정적 효과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단백 식사 그룹에서 키 성장, 골밀도, 콜레스테롤 등 여러 신진대사 측면에서 나쁜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오히려 두 그룹 모두에서 나쁜 저밀도(LDL) 콜레스테롤은 줄어들고 심혈관 건강에 좋은 고밀도(HDL) 콜레스테롤 수치는 높아지는 좋은 영향이 관찰됐다.


식단 적용 뒤 9개월 동안 다시 살찌지 않아

이번 연구는 고단백 식사를 할 경우 자연스레 함께 섭취하게 되는 동물성 지방이 생각보다 그리 나쁜 효과는 끼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일부 증명한 셈이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연구진은 “의료진의 감시 아래 고도비만 청소년이 고단백 다이어트를 하면 좋은 건강 상태를 유지하면서 살을 빨리 빼는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실험에 참가한 청소년들의 줄어든 체중은 식사 조절 뒤 9개월이 지나도록 계속 유지돼 요요 현상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단백 식단은 인체의 근육을 유지-성장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 몸에 근육이 많을수록 기초대사량(가만히 있어도 소비되는 칼로리의 양)이 높아져 다이어트에 더 유리한 것으로 그간의 실험을 통해 밝혀져 있다.


고단백 식단은 배고픔에 시달리지 않아도 돼

그간 '고단백 식사'를 추천해온 전문가들은 "고단백 식사를 하면서 운동을 곁들이면 몸무게는 그대로라도 몸의 구성 성분이 지방질에서 단백질로 바뀌면서 더욱 건강해지고 기초대사량을 높일 수 있어 장기적으로 다이어트 효과를 지속할 수 있다"고 주장해 왔는데, 이런 사실 역시 이번 연구에서 증명된 셈이다. 

고단백 식단이 좋은 점은 식사량을 크게 줄이지 않고 단백질을 위주로 섭취하므로, 기아감(배고픔)에 시달리지 않아도 된다는 측면도 있다.    

이번 연구를 보면 쌀밥, 국수, 과자, 빵 등의 탄수화물 섭취량이 서구인보다 많은 한국인에게도 좋은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소아과 저널(Journal of Pediatrics)’ 최신호에 소개됐다.

Posted by
,

하루 4캔 이상 마시는 남자, 정자 숫자 30% 적어

제너릭 브랜드 콜라. (출처=wikipedia.org)

하루에 캔 콜라(250ml 들이 기준)를 4캔 이상 마시는 남자는 정자 숫자가 30% 이상 줄어드는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덴마크의 티나 옌센 교수(환경의학)는 2001~2005년 징병 검사를 위해 정액을 검사받은 덴마크 남성 2544명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이들의 하루 콜라, 커피 섭취량과 정자 숫자를 비교해 봤다.

그 결과, 콜라를 많이 마시는 젊은 남자(하루 4캔 이상)에서 정자 숫자가 정액 1㎖당 3500만개에 불과해, 4캔 미만으로 콜라를 마시는 남자의 ㎖당 5000개 이상과 비교해 30% 정도나 정자 숫자가 빈약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커피는 많이 마셔도 정자 숫자에 크게 영향 안 미쳐

연구진은 콜라 속의 카페인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커피 섭취량과 정자 숫자의 관계도 비교해 봤는데, 커피 카페인을 하루에 800mg(커피믹스 기준으로 11.6잔) 이상씩 다량 섭취하는 남자에서도 정자 숫자는 일부 줄었지만, 콜라 다량 섭취자 만큼 뚜렷하지는 않았다.

연구진은 “카페인을 많이 먹는 게 정자 숫자에 나쁜 영향을 주기는 하지만 이렇기 위해서는 커피를 아주 많이 마셔야 한다”며 “이에 반해 콜라를 좋아하는 사람은 하루 4캔 이상씩만 마셔도 정자 숫자에서 눈에 띠는 차이가 발생한다는 점이 이번 연구에서 드러났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또한 콜라를 좋아하는 사람은 햄버거 같은 정크푸드를 좋아해 채소 등을 거의 먹지 않으며, 운동을 하는 비율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최근 10년간 젊은 세대의 콜라 섭취량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전염병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최근호에 실렸다.


Post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