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정보 입력될수록 뇌는 과거 정보 열심히 지워

분명히 알던 내용인데 생각이 안 나는 경험은 누구나 하게 된다. 특히 이런 경험은 벼락치기 공부를 하고 난 뒤 일어나기 쉽다.

많은 내용을 한꺼번에 기억하려 밤샘 공부를 했지만 막상 첫 문제를 대하고 나니 머리 속이 하얗게 빈 것처럼 아무것도 생각나지 않는 경험이다.

또한 매일 많은 양의 정보를 뇌 속에 집어넣는 사람은 과거사를 까맣게 잊어 버리는 현상도 관찰된다.

과학자들은 그간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즉 뇌가 일부러 과거 기억한 내용을 지우려 드는 듯한 현상의 원인은 캐기 위해 노력해 왔다. 그리고 국제적 학술지 ‘셀(Cell)' 최신호에 그 비밀의 일부를 밝힌 연구 성과가 공개됐다.


상황 바뀌었는데 옛날 기억에 의존한다면…

중국 칭화대학의 리이 중 교수 팀은 초파리를 대상으로 기억 실험을 시키면서 기억이 입력되고 지워지는 과정이 일어나는 과정에 랙(Rac)이라는 단백질이 적극적으로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진은 초파리들에게 3가지 기억 실험을 했다. 첫 실험은 특정 냄새를 맡은 뒤 다리에 전기충격을 줘 특정 냄새에 대한 공포 기억을 심어 주는 것이었다. 두 번째 실험은 ‘기억에 대한 방해’ 실험으로, 다른 냄새를 맡게 한 뒤 충격을 주어 첫 번째 실험의 결과를 헷갈리게 했다.

세 번째 실험은 ‘기억의 역전’ 실험이었다. 처음 배운 내용을 뒤집어버리는 내용이다. 즉, 예컨대 첫 실험에서 사과 냄새와 전기 충격이 연결되고, 오렌지 냄새는 충격과 상관없었다면, 마지막 실험에서는 오렌지 냄새를 맡은 뒤에 전기 충격을 주어 초파리들을 헷갈리게 만들고, 달라진 환경을 얼마나 빨리 기억하느냐를 본 것이었다.

이런 실험을 하면서 연구진은 일부 파리에게는 랙 단백질이 충분히 생성되도록 했고, 일부 파리에서는 랙 단백질 양을 크게 낮췄다. 그러자 뚜렷한 차이가 발생했다.

랙 단백질이 충분한 파리는 과거 기억을 신속히 잊고 새 기억에 적응했다. 예컨대 전에는 오렌지 냄새가 ‘평화의 냄새’였지만 지금은 ‘공포의 냄새’로 뒤바꾼 사실을 더 빨리 알아채고 이에 대처하는 행동을 보인 것이었다.


랙 단백질이 과거 기억 지우는 데 적극 관여


그러나 랙 단백질이 거의 없는 파리들은 이런 ‘기억의 전환’을 제대로 이루지 못했다. 이들은 첫 기억을 지우는 능력이 떨어져 오렌지 냄새를 맡은 뒤 전기충격이 주어지는데도 오렌지 냄새가 날 때 회피 행동을 하지 않는 등 새로운 환경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파리뿐 아니라 쥐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관찰했다”며 “생존을 위해서는 새로운 정보를 빨리 기억하는 능력도 중요하지만 상황이 바뀌었을 때 과거의 기억 내용을 빨리 잊고 새로운 정보를 기억하는 능력도 중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잊는 과정은 할 수 없이 또는 저절로 일어나는 현상이 아니라, 뇌가 새로운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행하는 작용이란 점이 증명된 것이다.

뇌의 이런 작용 때문에 벼락공부처럼 한꺼번에 너무 많은 정보를 뇌에 입력시키려 하면 뇌는 랙 단백질의 작용으로 먼저 배운 내용을 열심히 지우면서 결국 아무것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Posted by
,

동시베리아 출신으로 그린란드로 진출한 종족의 후손 특징 알아내
삽처럼 생긴 앞니에 혈액형 A, 대머리 될 유전자 특징 갖고 있어


게놈 특징을 통해 복원한 4천년 전 남자 '이눅'의 모습 상상도. 삽처럼 생긴 앞니에 나이 들면 대머리가 되는 유전적 특징을 가진 것으로 분석됐다. (출처=eurekalert.org, 그림= Nuka Godfredtsen)


덴마크 과학자들이 그린란드에서 발견된 4천년 전 머리카락 한 줌에서 당시 그린란드에 살았던 남자의 게놈을 완전히 분석해내는 데 성공했다.

이 남자는 동부 시베리아 출신으로 6400~4400년 전쯤 시베리아에서 당시 ‘신세계’였던 그린란드로 진출해 갔던 ‘사카크’ 족의 후손이어서, 시베리아를 통해 한반도로 이주한 유입 흐름과 연결될 가능성도 있다.

이 남자의 머리카락은 그린란드에서 발견됐다. 과거 인간 게놈을 완전 복원-분석하려면 영구 동토 속에서 언 채로 뼈나 머리카락이 발견돼야 했다.

화석화된 머리카락에서 처음으로 게놈 분석해내

그러나 이번 덴마크 코펜하겐대학 자연사박물관 연구진은 완전히 얼어 있는 상태가 아니라 화석화된 형태의 머리카락에서 게놈을 분석해낸 것이어서, 멸종한 원시인의 게놈 분석에 새 시대를 연 것으로 평가된다.   

이들이 분석에 사용한 머리카락 뭉텅이는 1980년대에 그린란드 북서부 영구 동토대에서 채집돼 덴마크 국립박물관에 소장돼 있던 것이었다.

연구진은 이 남자의 이름을 ‘이눅(Inuk: '사람'을 뜻하는 그린란드어)로 정했으며, 유전자 분석을 통해 이 남자가 A+형 혈액형에 갈색 눈, 갈색 피부, 숱이 많은 검은 머리카락을 가졌지만 나이 들면 대머리가 될 유전자형을 갖고 있는 것을 밝혀냈다.

이눅은 또한 추운 날씨에 적응한 체질에 삽처럼 생긴 앞니를 갖고 있었으며, 귀지가 마른 편이어서 귓병에 걸리기 쉬운 체질인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당시 시베리아인들이 어떻게 그린란드로 건너갔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며 “배를 타고 건넜거나 겨울철 바다가 언 틈을 이용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따박따박 읽어내는 북손탐의 재밌는 동영상들>




고흐가 미쳤다고? 이렇게 맨정신인데? 

고흐는 열정만의 화가라고? 책을 이렇게나 많이 읽은 지식인인데? 

우리가 잘못 배운 빈센트의 진면모!




메시와 호날두 중에 누가 좋냐고? 

난 단연코 호날두!! 

왜냐고? 인간적이잖아!! 

동양인 비하하느라고 눈찢는 메시가 좋으니? 

호날두는 저런 천박한 짓 말라고 메시 같은 것들한테 아래위로 찢어주잖아.   


"아래위로 눈 찢어진 야만인들아!"라면서




돈에 구애받지 않고 사는 법이 있다고라고라??





Posted by
,

독일 연구진 "신진대사 빨라지고, 포만감 호르몬 더 많이 나와"


한라산(해발 1,950m)이나 지리산(1,915m)처럼 높은 산 위에서 생활하면 살이 저절로 빠진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독일 뮌헨대학의 플로리안 리플 교수 팀은 평균 체중 105kg의 비만 남자 20명을 모아 해발 2650m의 산악 지대에서 2주를 보내도록 했다.

산에 올라가기 전에 연구진은 이들이 식사를 얼마나 하는지, 운동은 얼마나 하는지를 미리 측정했으며, 산 위에 올라가서도 생활 태도를 절대로 바꾸지 말고 평지에서 하듯 생활하도록 했다.

2주간 평소 똑 같이 생활했는데도 1.5kg씩 빠져

이들이 2주 동안 머문 시설은 냉방이 된 연구시설로, 연구진은 실험 참여자들이 등산을 하거나 해서 평지에서 더 많은 칼로리를 소비하지 못하도록 했다.

실험 결과는 놀라웠다. 그저 평소처럼 먹고 걷고 행동했을 뿐인데도 체중이 평균 1.5kg 정도씩 줄어들었다. 이 같은 체중 감량의 원인을 연구진은 두 가지로 해석했다.

하나는 고산지대에서는 산소 농도가 낮기 때문에 신진대사가 더 왕성해지므로 평지에서와 똑같이 움직여도 더 많은 칼로리가 자동적으로 소비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원인은 포만감을 느끼도록 하는 렙틴(leptin) 호르몬의 양이 늘어났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연구진은 실험 참여자들의 몸에서 렙틴 호르몬 양을 측정했는데, 고산지대에서 렙틴 호르몬의 양은 늘어났다. 렙틴 호르몬이 많으면 포만감을 느껴 배고픔을 덜 느끼게 된다.

이런 호르몬의 영향 탓인지, 산 위에서 실험 참가자들은 섭취 칼로리가 하루 평균 734칼로리 줄어들었다.

고산지대의 영향으로 신진대사는 더 빨라지고 식욕을 덜 느끼니 저절로 살이 빠지는 현상이다.

이전에도 산악생활을 하는 사람들은 비만도가 낮다는 연구는 있었지만 그런 연구들은 등산 또는 산악자전거처럼 격한 신체활동을 동반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특별한 신체활동을 추가로 못하도록 금지한 이번 연구와는 다르다.


평지 내려온 뒤에도 4주간 다이어트 효과 지속

연구진은 하산 한 뒤 4주간 이들의 몸 변화 상태를 추적했는데, 고산지대에서의 유익한 체중감량 효과가 평지에서도 4주간 어느 정도는 지속되는 것으로 관찰됐다.

평지로 돌아오면 바로 원래 상태로 돌아갈 것이라는 연구진의 예측과는 달리, ‘고산 다이어트 효과’가 지속되는 현상이었다. 

이 연구의 한계라면 참가자가 20명으로 너무 적다는 점이다. 그러나 리플 교수는 “희박한 산소, 렙틴의 증가가 체중감소 효과를 올렸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의 진짜 의미는 다이어트를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는 데 있다”고 말했다.

리플 교수는 “현재 말할 수 있는 것은, 살을 빼고 싶다면 휴가를 바닷가로 가지 말고 산으로 가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비만(Obesity)’ 2월4일자에 실렸다.


<책 읽는 북손탐의 재밌는 동영상>



Post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