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생긴 수컷은 교미 기회 많기 때문에 정액의 질 낮아

 

잘생긴 수컷은 교미 기회를 쉽게 잡을 수 있기 때문에 교미 때 정액을 조금씩밖에 쓰지 않는다는 얄궂은 짝짓기 이론이 영국에서 나왔다.

 

잘생긴 수컷은 정자를 아껴 묽은 정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수태가 잘 되지 않는 반면, 못생겨 인기 없는 수컷은 진한 정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자끼리의 경쟁에서는 못생긴 수컷이 더 유리하다는 학설이다.

 


정자 경쟁에서는 못생긴 수컷이 더 유리

 

정자 경쟁은 암컷이 여러 수컷과 교미하는 동물 종에서 암컷의 몸에서 정자끼리 펼치는 경쟁을 말한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과 옥스포드대학 연구진은 학술지 미국 박물학자(American Naturalist)’ 최근호에 발표한 논문에서 이런 주장을 펼쳤다.

 

잘생긴 수컷, 또는 쪼는 순서(pecking order)’가 높은 지배적 수컷은 수학적으로 보다 많은 암컷과 교미를 해야 하기 때문에 정액의 농도를 묽게 조정하고 그래서 암컷이 잘생긴 수컷의 새끼를 배는 게 쉽지 않다는 주장이다.

 


우두머리 수컷
, '강등'되면 정액 질 좋아져

 

연구자들은 닭 같은 가금류, 그리고 북극 지방의 차가운 물에 사는 곤들매기류(arctic char) 물고기에서 이런 현상이 발견된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실제로 닭 같은 가금류의 정액을 조사하면 쪼는 순서가 높은 지배적 수컷은 정액의 활동성이 다른 수컷들보다 떨어진다그러나 이렇게 쪼는 순서가 높은 수탉을 사람이 일부러 아래 계급으로 강등시키면 다시 정액의 활동성이 높아지는 것이 관찰된다고 밝혔다.

 

쪼는 순서가 위인 지배적 수컷은 교미 기회가 많기 때문에 활동성 높은 고급정액을 만들 필요가 없고, 반대로 교미 기회가 거의 주어지지 않는 아래 계급의 수탉은 단 한번의 기회라도 잡으면 반드시 수태를 시켜야 하기 때문에 고농도의 진한 정액을 뿜어낸다는 설명이다.

 


사람에게도 같은 원리 적용될지는 미지수

 

연구진이 이번에 제시한 원리에 따른다면 정자 경쟁에서는 잘생긴 지배적 수컷이 아니라 오히려 못생긴 아랫것수컷이 더 유리하게 된다.

 

이런 원리를 사람에게 적용하는 문제에 대해서 연구진은 조심스런 접근을 보였다. 연구진은 사람이나 다른 영장류에도 이런 원리가 적용될지는 아직 확실치 않다. 사람이 매력을 느끼는 과정은 복잡하고 문화적 요소도 있기 때문이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연구진은 매력과 교미 기회는 다른 동물 종에서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사람에게도 비슷한 영향력이 주어지는 게 아닐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책 읽는 북손탐의 재밌는 동영상>


Posted by
,

매일 늦게까지 잔업을 하는 직원에게 동료가 비아냥거렸다. “너는 그렇게 힘들게 일한다면서 왜 살이 안 빠지고 오히려 찌냐?”

 

이런 무식한 질문에는 이렇게 답을 해줘야죠. “너는 스트레스 살도 모르냐?”.

 

흔히들 스트레스를 받으면 살이 빠진다고 생각하지만 스트레스가 오히려 살을 찌운다는 연구 결과가 미국 하버드대학에서 7일자로 나왔습니다. 미국 사람 1355명을 9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랍니다.


 

스트레스 받는 원인, 여자가 훨씬 다양

 

연구를 진행한 제이슨 블락 교수는 스트레스 살이 찌는 데도 남녀가 다르다고 했습니다. 여자는 여러 원인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허리가 굵어진답니다. 경제 문제, 힘든 직장 일, 가족 사이의 불편한 관계, 자기 삶의 조건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 모두가 여자에게는 스트레스 원인이 된다고 하네요.

 

반대로 단순한 동물남자에겐 스트레스 종류도 간단해, 가족 사이의 불편한 관계, 삶의 조건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 따위는 별 스트레스가 아니라는군요. 남자들이 스트레스를 받는 주요 원인은 직장에서 새로운 일을 잘 배우지 못할 때, 그리고 재미있다고 생각한 일을 제대로 해내지 못할 때처럼 일 스트레스들이고, 이럴 때 스트레스 살이 찐답니다.


 

통통한 사람 스트레스 받으면 살 팡팡 쪄

 

스트레스 살은 스트레스를 받기 전 상황에 좌우된다는군요. 말랐던 사람은 스트레스를 받아도 별로 살이 찌지 않지만 이미 뚱뚱한 사람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팡팡 살이 찐답니다.

 

연구진의 결론은 체중 조절을 하려면 먹는 것도 중요하지만 마음도 중요하다는 것이죠. 마음이 편하지 않으면 살 빠지기가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우리 주변에서도 이런 경우를 많이 보죠. 황제다이어트나 단식이니 해서 기껏 살을 빼 놓고는 조그만 지나면 바로 원상복귀 하는 요요현상이죠. 이렇게 요요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기본적으로 사람 몸이 원래 유전자가 정해 준 대로 일정 체중을 유지하려고 끊임없이 노력하는 이유도 있지만, 심리적 불안정도 큰 역할을 합니다.


 

모니카 셀레스 마음 비우니 살 빠지더라

 

다이어트에 마음이 얼마나 중요한가는 90년대 초 세계를 휩쓴 여자 테니스 선수 모니카 셀레스(Monica Seles, 36)의 자서전에 잘 나와 있습니다.

 

1990-1991-1992년 프렌치 오픈 3연승, 1991-1992US오픈 2연승 등 찬란한 시기를 구가한 그녀는 지난 4꽉 잡기: 내 몸, 마음, 자신에 대해(Getting a Grip: On My Body, My Mind, My Self)’란 자서전을 냈는데 여기서 자신의 다이어트 투쟁사를 털어놨다고 외신들이 보도했습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폭식을 하는 습관이 있던 그녀는 시중에 나와 있던 다이어트 책이란 책은 모두 사서 읽었으며 새해마다 올해는 30파운드를 빼야지라고 작심했지만 살은 안 빠지고 건강만 상했답니다. 비싼 돈을 주고 영양사, 트레이너 등을 고용해 돈으로살을 빼려고도 했지만 도대체 소용이 없었다지요.

 

그러던 어느 날 그녀는 내가 왜 영양사, 트레이너의 명령을 들으며 다른 사람들이 보기 좋은 몸을 만들려고 이 고생을 해야 하지?” 하는 생각에 이들을 모두 해고했답니다. 그리고 그때까지 해 왔던 식이요법을 집어치우고 먹고 싶은 걸 편안하게 먹되 무지무지하게 많이 걷기 시작했답니다. 트레이너가 시켜서 걷는 게 아니고 그냥 자기가 좋은 대로 걸어 다니는 운동입니다. 이렇게 식이요법을 집어치운 뒤 그녀의 살은 꺼지기 시작했고 지금은 날씬한 몸매를 자랑합니다.

 

초조한 마음으로 다이어트를 하는 것보다는 욕심내지 않고 차분하게 생활하는 것이 살을 빼는 첩경이란 점을 우리는 그녀의 경험에서 알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받으면 몸은 '비상사태' 맞을 준비를 시작

 

스트레스를 받으면 살이 찌는 이유는 여러 연구가 밝혔습니다. 미국 예일대 연구진은 2004년 스트레스를 받으면 우리 몸은 살아남기 위한 생존 모드에 돌입하면서 코르티솔이라는 스트레스 호르몬을 많이 분비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이 호르몬은 비상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식욕을 높이고 복부지방을 쌓기 시작한답니다.

 

또 스트레스를 받아 잠을 충분히 못 자면 지방을 분해하는 렙틴 호르몬은 줄어들고, 식욕을 돋우는 그렐린 호르몬이 늘어나면서 살찌게 된다는 연구 결과를 아주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김대중 교수와 미국 콜럼비아대 정신과 제임스 강비쉬 교수 팀이 지난 2월 발표한 바 있습니다.

 

여기다 한국식으로 말하자면 스트레스 받으면 술 먹게 되고 자기 전에 라면 먹게 되잖아요? 경제난에 항상 시끄러운 나라 한국이기에 스트레스를 안 받고 사는 게 참으로 힘들지만, 그래도 초조하게 열량을 계산하기 보다는 마음 편히 먹으면서 몸을 재게 움직이는 게 살빼기, 아니 건강하게 유전자가 정해준 내 몸매 지키기의 왕도란 점을 알았으면 좋겠습니다.


<책 읽는 북손탐의 추천 동영상>



Posted by
,

누구나 다 아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게 있습니다. 아들은 엄마를 사랑하면서 아빠를 미워한다는 것이죠. 반대로 엘렉트라 콤플렉스라는 것도 있죠. 딸은 아버지를 사랑해 엄마를 제거하고자 한다는 것입니다.

 

프로이트가 제시한 이 개념은 아직도 언론지상에 종종 등장합니다. 그런데 이 콤플렉스가 맞을까요? 정말로 누구나 아들은 엄마를, 딸은 아빠를 사랑할까요? 그게 본능일까요?

 

올해는 찰스 다윈 탄생 200주년이고, ‘종의 기원출판 150주년이 되는 해여서, 전세계적으로 축하행사들이 잇달아 열리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윈과 진화론의 탄생이 축하되는 것은 그만큼 진화론이 과학적으로 인정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간 진화론자들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말이 안 된다는 사실을 여러 방법으로 증명했습니다.

 

개나 고양이를 보면 새끼가 어미와 교미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짐승이라는 소리가 나오는 순간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일부 동물이 어미와 교미한다고 새끼의 어미에 대한 사랑이 보편적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동물학을 몰라도 정말 너무 모르는 소리입니다.



나이 차면 침팬지-고릴라 암컷이 가족 떠나는 이유 
 

사람과 가까운 침팬지나 고릴라를 보면 근친상간을 피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갖춰져 있다고 합니다. 침팬지나 고릴라 암컷은 일정 연령이 되면 자기 그룹을 떠나 다른 그룹의 수컷에게로 시집가는경우가 많답니다. 또한 수컷이 나이가 차면 무리를 떠나는 경우도 있죠.

 

따라서 침팬지 수컷 새끼가 태어나 교미를 할 정도 나이가 되면 암컷 형제들은 다 다른 그룹으로 떠난 상태이기 때문에, 다른 암컷에게서 태어난 암컷을 교미 상대로 찾을 수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근친상간을 피하려는 이런 양상은 여러 동물에서 관찰됩니다. 최근 ‘BMC Evolutionary Biology(진화생물학)’라는 학술지 630일자에 실린 검정세발가락갈매기(black-legged Kittiwake)의 짝짓기에 대한 연구 논문도 이런 근친상간 기피 현상을 보여 줍니다.

 

이 새가 특히 관심을 끄는 것은 새 중에서는 특이하게도 한번 짝을 맺으면 평생 함께 사는 일부일처 새이기 때문이랍니다. 한번 짝을 고르면 평생 사니 짝을 고를 때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를 동물학자들이 연구할 만하죠.

 

결과는 유전적으로 아주 멀리 떨어진 짝을 암컷과 수컷이 의식적으로 찾고, 이렇게 유전적으로 먼 암수가 만나 낳은 새끼들은 튼튼하게 잘 자란답니다.

반면 이들 새 중 일부는 유전적으로 가까운 개체와 짝을 맺는데
, 그러면 대개 새끼들이 부실해 일찍 죽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 유전적으로 가까운 짝을 고르는 것은 후손이 남을 여지를 없애는 자살행위라는 것이죠.

 


유전적으로 가까운 사람을 기가 막히게 피하는 게 사람인데...


사람도 유전적으로 먼 짝을 고른다는 연구 결과는 많이 나와 있습니다
. 미국 뉴욕주립대 연구진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첫 키스를 한 뒤 상대와 헤어졌다는 비율이 남자 대학생은 59%, 여자 대학생은 66%나 됐다고 합니다. 이렇게 첫 키스에서 쫑이 나는이유는 바로 냄새로 상대방의 유전자 특징을 파악하기 때문이라는 해석입니다.

 

두 사람이 침을 섞으며 첫 키스를 할 때 상대방에 대한 엄청난 정보가 전달되는데 이때 상대방이 유전적으로 자신과 가깝다고 판단되면 무의식적으로 상대를 멀리 하게 된다는 결론입니다.

 

티셔츠에 밴 남녀의 체취로 마음에 드는 상대방을 고르라고 했더니 유전적으로 거리가 먼 이성을 골랐다는 실험 결과도 있습니다.

 

이렇게 새부터 사람까지 유전적으로 가까운 상대를 최대한 피하려는 특징이 진화돼 있는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유전자의 절반이 나와 같은 부모를 사랑의 대상으로 선택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지요. 진화론자 입장에서 본다면 말도 안 되는 거짓말인 것이지요.

 


성선택론자가 설명하는 '말도 안 되는 이유' 

인간의 두뇌가 커진 현상 등이 모두 암컷과 수컷이 서로를 고르면서 그렇게 됐다는 이른바
성선택론을 주장해 요즘 최고로 잘 나가는 진화론 학자 중 하나인 제프리 밀러는 자신의 저서 연애(The Mating Mind)’에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대해 이런 내용을 썼습니다.

 

어린이들은아빠, 나 좀 봐!’ 하면서 자기 능력에 버거운 뭔가를 해내는 모습을 부모에게 보여 주려 한다. 이는 자신의 적응도(생존할 수 있는 능력)를 과시하기 위해서다. 어미새는 어떤 새끼에게는 벌레를 주고 어떤 새끼는 굶겨 죽인다. 이는 새끼 기르기라는 힘든 일에서 되지도 않을 싹수에 헛된 투자를 하지 않기 위해서다.

 

부모가 이렇게 차별 부양을 하기 때문에 새끼는 살아남으려면 부모에게 자신의 적응도를 증명해야 한다. 부모에게 자신의 적응도를 보여 줄 때 자식은 구애에 사용되는 전략들을 사용한다. 튼튼하고 잘난 점을 적극 내세우는 것이다. 여기에 숨겨진 성적 동기 따위는 없다.

 

따라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엘렉트라 콤플렉스는 틀렸다. 프로이트는 아이들이 부모를 겨냥해 적응도를 자랑하는 행위, 즉 원기왕성한 놀이, 재미있는 이야기하기, 장난스런 대화 등을 발견하고는 이것을 부모와 성관계를 하려는 아이들의 은밀한 욕망이라고 추론했다. 말도 안 된다. 아이들이 원하는 것은 근친상간이 아니라 부모의 부양투자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말도 안 되는 이론을 완전히 폐기처분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 이런 주장, 동물 연구 등이 맞다고 생각한다면 이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니 하는 말은 추방돼야 할 것 같습니다.

Post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