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틀거리는 금속 근육사용

 

잠자리, 모기, 거미, 파리. 적진에 몰래 침투해 도청하고 촬영하면서 임무를 완수한다는 이른바 곤충 로봇모델이 만들어진 곤충들이다.

 

미국의 CIA와 유럽의 첩보 기관들은 이런 로봇곤충 개발 작업을 1970년대부터 계속해 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런 가운데 이번에는 로봇 박쥐가 등장할 차례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농구로 유명한 University of North Carolina와는 다른 대학) 연구진은 무게 6그램에 손에 쏙 들어갈만한 초소형 로봇 박쥐를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이 개발하고 있는 것은 이른바 MAV(micro-aerial vehicle: 초소형 비행체) 프로젝트의 하나로, 박쥐가 선택된 것은 날아다니는 동물 중 박쥐의 비행이 최고의 민첩성, 유연성, 경제성을 보이기 때문이란다.

 


현존 동물 중 최고 비행 실력 보유자는 박쥐

 

박쥐는 날개를 아래위로 휘저으면서 비행한다. 빛이 하나도 없는 좁은 공간에 여러 장애물을 설치해 놔도 박쥐는 용케 그 장애물을 모두 요리조리 피하며 날아다닌다. 따라서 박쥐의 이런 비행 방식은 자연에 존재하는 비행 방식 중 최고로 꼽힌다는 것이다.

 

큰 박쥐를 자유자재로 움직이며 나는 박쥐의 비행방식은 날개를 빠른 속도로 팔락거리며 나는 곤충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그 동안 시도됐던 곤충형 초소형 로봇에서 문제가 됐던 것은 바로 곤충의 비행 방식을 로봇에 적용하려면 너무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는 것이었다.

 

현재 만들어지고 있는 로봇 박쥐는 무게 6그램으로 깃털 정도 무게밖에 안 된다. 이렇게 무게가 가벼울 수 있는 것은 첨단 재료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바로 원위치로 돌아오는 진짜 박쥐 같은 뼈와 관절

 

우선 로봇 박쥐의 뼈대와 관절은 모두 첨단 형상기억 합금으로 만들어진다. 이 합금은 박쥐 몸에서 연골, 인대, 작은 뼈가 작동하는 방식 그대로 움직인다. 즉 모양이 바뀌었다가 바로 원래 모양으로 되돌아오는 성질을 가진 것이다.

 

이런 형상기억 뼈대는 에너지 효율이 좋다. 예컨대 뼈대를 폈다가 접을 때 펴는 동작과 접는 동작에 각각 에너지를 공급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펼 때만 에너지를 공급하면 접는 동작은 형상기억 합금이 알아서하기 때문이다.

 

이런 첩보 벌레로봇 개발에서는 곤충의 관절-근육의 정밀한 움직임을 모방하기 힘들다는 것이 문제가 돼 왔는데, 이런 특수합금 관절이 이런 문제를 풀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 로봇 박쥐의 몸을 둘러쌀 근육도 화제거리다.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이 금속 근육은 전기가 공급되면 실제 사람 근육이 수축되듯 금속 자체가 수축되면서 움직인다. 말 그대로 꿈틀거리는 금속이 근육으로 채택되는 것이다.

 


진짜 박쥐가 날듯이 날 수 있다

 

더구나 이 금속 근육은 전기자극을 받으면 수축하면서 동시에 전기를 통과시키는 성질도 일부 바뀐다고 한다. 센서는 이 금속 근육이 이처럼 수축하면서 전기 전도성도 바뀌는 두 가지 변화를 받아들임으로써 외부의 급격한 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고 한다.

 

즉 로봇 박쥐가 비행 중에 갑자기 강한 바람이 불면 로봇의 센서가 금속 근육의 움직임을 통해 이런 변화를 바로 탐지해 대응하므로 문제없이 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비행 방식은 박쥐가 실제로 날 때 대응하는 방식이라고 한다.

 

이 박쥐 로봇은 첩보 로봇으로서 쓰이는 것은 물론 박쥐가 나는 방식을 공기역학적으로 연구하는데도 기여할 것이라고 연구진은 밝혔다. 온갖 환경을 만들어 로봇 박쥐가 날게 함으로써 지상 최고라는 박쥐의 비행능력을 완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위 사진은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 연구진이 개발하고 있는 로봇 박쥐의 뼈대 모델이다. 제작자는 이 대학의 연구자 조지 번겟.

 

Posted by
,

800-1000만 년 전 살아


‘사람 뜯어먹는 강 물고기’로 유명한 남미의 피라냐의 대형 선조가 발견됐다고 해서 화제다. 현재의 피라냐는 대개 30cm 정도 크기인데 800-1000만 년 전에 살았을 것으로 여겨지는 피라냐의 조상 ‘메가피라냐(학명 Megapiranha pananensis)는 1미터가 넘는 대형이었을 것으로 화석 증거를 통해 드러났다.

메가피라냐 화석은 1980년 아르헨티나의 북동부 강변에서 발견됐는데 그간 화석 보관소에 방치돼 있다가 아르헨티나 학자들이 우연히 이 화석을 다시 발견해 최근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위 그림은 화석을 토대로 재구성한 메가피라냐 모습이다.


지그재그형 이빨이 현재 피라냐와 달라

메가피라냐 화석의 특징은 지그재그 형태로 된 이빨이 7개 아래 위 턱에 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현재의 피라냐는 한줄로 가지런한 6개 이빨을 갖고 있다. 학자들은 파쿠(pacu)라는 초식성 물고기(이빨이 두 줄) --> 메가피라냐(이빨이 1.5줄로 지그재그 형태) --> 피라냐(이빨이 한 줄) 순으로 진화한 것으로 보고 있다.

왼쪽 사진은 메가피라냐의 지그재그형 이빨 사진이다.

메가피라냐는 이빨이 7개인데 현재의 피라냐는 6개인데 대해 학자들은 “이빨 하나가 사라졌을 것”이라는 해석과 “지그재그 상태에서 한 줄로 이빨 형태가 바뀌면서 이빨 두 개가 붙어 하나로 됐을 것”이라는 또 다른 해석을 각각 내놓고 있다.

동료 피라냐 살 베어먹는 피라냐

피라냐는 사람을 뜯어먹는 물고기라고 유명해졌지만 실제로 피라냐가 사람을 무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오히려 피라냐는 낚시꾼들이 잡은 물고기를 사정없이 물어뜯는다.

피라냐들은 특히 동료 피라냐들이 낚싯줄에 잡히더라도 사정없이 물어뜯는다. 따라서 피라냐는 성한 모습으로 물 밖으로 잡혀 나오는 경우가 거의 없다. 동료들에 물어뜯겨 살점이 뭉턱뭉턱 떨어져 나간 상태로 물 밖으로 잡혀 나온다.



<책 읽는 북손탐의 '피가 되고 살이 되는' 재밌는 동영상>






Posted by
,

 

스페인 대학 조사 결과

 

페미니스트들은 겉으론 아니라고 하지만 속으로는 여자가 남자보다 더 큰 힘을 갖게 하려고 한다.’

 

대부분 여자들은 남자가 그들에게 해 주는 것에 대해서 충분히 감사하지 않는다.’

 

남자에게 시시덕거리며 접근했다가 나중에 아니라고 부정하는 여자가 있는데 그런 여자들은 대개 남자를 놀리려고 그런 짓을 한다.’

 

스페인 그라나다 대학 심리학과 연구진이 18~26세 남자 대학생 109명 중 일부에게 실험을 위해 들려 줬다는 성차별 농담 중 일부다. 당신은 이런 농담을 들으면 맞다고 생각하는가, 틀리다고 생각하는가?

 

연구진은 남자 대학생들은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에는 이런 농담을 들려 주고, 나머지 그룹에게는 성차별 내용이 없는 농담을 들려 줬단다. 그리고 이어 남자가 여자에게 간단한 정도부터 심각한 정도까지 폭력을 가하는 상황을 말해 주면서 이럴 경우 당신은 어떤 태도를 취할 것이냐?”고 물어 보았다.

 

측정 결과, 여성차별 농담을 들은 남학생일수록 여자에 대한 남자의 폭력에 무감각해지는 경향을 보이더라는 것이 연구의 결론이다. 여성을 비하하는 농담을 많이 들을수록 여성에 대한 폭력에 둔감해지면서 잘못 했으니 맞는다는 태도를 갖기 쉽다는 것이다.

 

이런 조사 결과는 2일 스페인 그라나다에서 열린 세계 최대의 농담 관련 학술대회인 유머와 웃음에 관한 국제 여름 심포지엄에서 첫날 발표됐다.


<책 읽는 북손탐의 재밌는 동영상>


Post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