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넬대 연구진, ‘meme’ 진화론에 근거해


온라인 뉴스
9천만 건 분석한 결과

 


유명한 리처드 도킨스
(Richard Dawkins)가 제창한 문화의 진화현상으로서 밈(meme)이라는 게 있습니다. 문화적 현상도 유전자가 퍼지듯 사람들 사이로 퍼져나가고, 생물체가 진화하듯 문화적 현상 또는 어떤 개념도 진화한다는 것이지요. Meme은 유전자의 ‘gene’과 모방한다는 의미의 그리스 말 ‘mimema’를 합성해 만들었다는군요.

 

도킨스가 밈의 예로 잘 드는 것은 야구모자 거꾸로 쓰기. 어느 날 어디선가 누군가가 야구모자를 챙이 뒤로 가도록 거꾸로 썼고, 그게 쿨해 보였는지 영국, 미국 등 전세계적으로 퍼지는 현상을 그는 밈의 전파와 변용의 예로 듭니다.

 

어쨌든 이런 밈 이야기는 여기저기 곧잘 나오는데 생물학적 유전자와는 달라서 이해하기가 썩 수월하지는 않죠. 유전자는 눈으로 볼 수 있는 실체가 있지만 밈은 그렇지 않아서 그런가 보기도 합니다.

 

그런데 미국의 명문 코넬대학의 컴퓨터 과학자들이 밈을 추적하는 컴퓨터 모델을 만들어 수십만 건씩 쏟아져 나오는 뉴스의 밈을 분석해 그 결과를 곧 발표한다니 관심을 가질 만도 하겠습니다.

 

코넬대 연구진은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이르기까지의 3개월 동안 영어권에서 쏟아져 나온 온라인 뉴스 9천만 건을 분석했답니다. 9천만 건! 대단한 숫자입니다. 온라인 뉴스에 대한 분석으로는 사상 최대라는군요.


 

주류 뉴스는 신속히 뜨고 신속히 사라져

2.5시간 뒤에 뜨고 더 오래 머무는 블로그뉴스와 차이

 

이들은 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특정한 단어들의 결합이 온라인 뉴스라는 광활한 무대를 어떻게 여행하고 다니는지를 컴퓨터로 추적했답니다.

예컨대 미국에서 서브프라임 경제위기가 닥쳤을 때 누군가가
위기에 빠진 금융기관들을 이러저러한 방법으로 구제하자라는 아이디어를, 즉 밈을 최초로 제시하면서 사용한 몇몇 단어의 그룹들이 어떻게 주요 일간지의 인터넷판 신문, 블로그 등으로 모방되면서 돌아다니는지를 추적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든 것이지요.

 

9천만 건의 뉴스를 분석한 결과 얻어진 결론은 크게 두 가지랍니다. 하나는 아직도 뉴스의 생산과 소통에는 주류 언론의 역할이 절대적이라는 것입니다. 밈 형태로 여러 언론사가 베껴 쓰고 변형해 쓴 기사의 96.5%는 주류 언론의 기사로부터 시작됐기 때문입니다. 블로그에서 출발해 소통된 뉴스는 3.5%에 불과하다는군요.

 

또 다른 특징이라면 주류 언론에 새 기사가 뜬 뒤 약 2시간30분이 지나면 블로그 등에서 모방 기사나 관련 기사가 뜨기 시작한답니다.

 

주류 언론 기사는 밈 형태로 여기저기서 받아 쓰면서 유통되지만 생명이 짧은 게 특징이라고 하네요. 새 기사가 밀고 올라오니까 뉴스(news)가 아닌 올즈(olds)는 신속하게 물러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죠.

 


형태로 모방-변형되는 뉴스를 컴퓨터로 추적

 

반면 2시간30분 시차를 두고 떠오르는 블로그 글들은 생명이 좀 더 길답니다. 블로그 글에 대해 트랙백이나 댓글 등이 달리고 논쟁이 오가면서 조금 더 관심권에 머물러 있다는 것이지요.

 

그러나 이런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주류언론의 뉴스든, 블로그 뉴스든, 특징은 바로 사라져 주는 것이랍니다. 쏟아져 나오는 뉴스 탓에 구문(舊聞)은 오래 관심권 안에 머물 수 없다는 것이지요. 하루살이 같은 인생을 살면서도 큰 영향을 미치는 뉴스의 삶을 보는 것 같습니다.

 

연구진은 앞으로 어떤 밈이 출현했을 때 정치적으로 반대 입장에 서는 진영 사이에서 이 밈이 어떻게 오가는지를 분석해 볼 계획이랍니다. 뉴스가 받아들여지고 변형되는 과정에서 상반되는 정치적 입장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보겠다는 것이죠.

 

구름 잡는 얘기 같은 밈 학설이 이처럼 컴퓨터의 도움을 받으면서 구체적 숫자의 형태로 눈앞에 제시된다니 문화의 진화론이랄까 하는 분야의 연구에 앞으로 좋은 선례가 될 것 같습니다.



 

Posted by
,

일전에 "개는 사람 이용해 먹고 사는기생 동물'?"이란 글이 Daum View에 실려 논란을 빚은 적이 있습니다. 사람이 개를 기르는 게 아니라 개가 사람을 이용해 놀고 먹는다는 글이었습니다. '기생동물'이라고 표현한 이유지요.

 

개는 동물 중 유일하게 사람의 심리를 읽을 줄 알아 사람이 알아서 먹이를 갖다 바치도록 만든다는 글이었습니다. 당시 이 글에 대해서는 "개를 괴롭히는 것은 사람인데 무슨 소리냐" “그런 부림은 얼마든지 받겠다라는 댓글이 여럿 달렸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고양이가 사람을 부려 먹는 데 천재라는 논문이 나왔네요.

 

영국 서섹스대학의 카렌 매컴(Karen McComb) 교수는 '현대 생물학(Current Biology)' 714일자에 발표한 논문에서 '고양이가 평소의 조용한 그르랑거리는 소리에 사람의 신경을 자극하는 외침 소리를 교묘하게 섞어 놓음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먹이를 주인이 가져다 주도록 시킨다'고 했습니다.

 


'부모의 본능'을 이끌어내는 고양이의 소리

매컴 교수는 포유류의 소리 커뮤니케이션이 전공 과목이라는데 어느 날 자기 고양이가 내는 소리에 자신이 바로 자리에서 일어나 먹이를 가져다 주는 걸 발견하고는 놀랐답니다
. 그래서 자기 고양이가 내는 소리를 자세히 들어봤더니 먹이를 갖다 달라고 시킬 때 내는 소리가 아주 독특하더랍니다.

 

고양이가 내는 소리는 크게 두 가지랍니다. 하나는 기분 좋을 때 내는 낮은 그르랑 소리, 다른 하나는 날카롭게 외치는 소리랍니다. 그런데 이 두 소리 중 하나만 내면 사람이 잘 안 움직인답니다. 특히 날카롭게 외치는 소리를 계속 내면 주인이 침대에서 쫓아내 버리죠. 시끄럽다고.

 

그런데 기분 좋은 듯 그르랑거리는 소리를 내면서 그 중간중간에 살짝살짝 외치는 소리를 섞어 넣으면, 주인은 고양이가 기분 좋다고 생각했다가 바로 긴장하게 되고 고양이에게 신경을 쓰게 된다는 게 매컴 교수의 발견입니다.

 

그리고 고양이의 이런 소리는 아기가 엄마에게 뭔가를 해 달랄 때 내는 소리와 아주 흡사하답니다. 새끼가 불편하다는 소리를 내면 뭔가를 해 주지 않고는 못 배기는 사람의 본능을 고양이가 이용한다는 것이지요.

 


주인과 단 둘이 사는 고양이가 주인 잘 부려먹어

매컴 교수는 다른 고양이 소유자들도 이런 경험이 있는지 물어봤더니 다 그렇다고 말하더라는 겁니다. 그래서 교수 팀은 기술진을 데리고 녹음에 나섰는데 실패했답니다. 주인하고 둘만 있을 때는 그르랑+외침소리를 내던 고양이들이 낯선 사람이 나타나니까 모두 입을 닥치더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매컴 교수는 할 수 없이 각 고양이 주인에게 소리를 녹음해 달라고 시켰답니다. 그리고 그 녹음 소리를 여러 실험 대상자에게 들려 주면서 어떤 기분이 드냐고 물어봤답니다. 그랬더니 대부분 사람들이 그 그르랑+외침소리가 가장 기분 나쁘면서 긴박하게 들린다고 대답했답니다.

 

연구진이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그르랑+외침소리에서 외침부분을 빼내 들려 줬더니 이런 반응, 기분 나쁘게 긴박하게 들린다는 반응이 크게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매컴 교수는 특히 주인과 둘이 사는 고양이들이 이 소리를 잘 낸다가족과 함께 사는 고양이는 그르랑+외침 소리의 효과가 가족 중 어떤 사람에게는 통하고 어떤 사람에게는 통하지 않기 때문에 잘 쓰지 않고 그냥 야옹거리기만 한다고 말했습니다.

 

고양이가 야옹 소리로 사람을 홀려 일을 시킨다니 왠지 오싹한 기분이 드네요.

 


남자는 개, 여자는 고양이 좋아하는 이유

고양이와 개는 애완동물계의 투 톱이죠. 대개 남자들은 개를 좋아하고 여자들이 고양이를 좋아한다죠. 왜 그런지 아십니까? ‘털 없는 원숭이(The Naked Ape)’란 국제적 베스트셀러를 쓴 영국 옥스포드대학의 데스몬드 모리스 교수는 개, 고양이, 말 등에 대한 여러 책들을 썼는데, 그 중 개와 고양이에 대한 책을 보면 분석이 잘 돼 있더군요.

 

남자가 개를 좋아하는 것은 개나 남자나 다 조직의 세계에 살기 때문이랍니다. 상명하복, 의리로 뭉친다, 집단행동 등이 인간의 수컷과 개에게 공통되는 점이죠.

 

반면 여자가 고양이를 좋아하는 이유는 고양이의 독립성 때문이라는군요. 고양이는 가끔 사람에게 등을 비비는 등 친근한 행동을 하지만 철저하게 혼자서, 독립적으로 사는 동물입니다. 주인이 뭐라 하건 말건 자기 하고 싶은 대로 사는 동물이라는 것이죠. 많은 사회적 제약 속에 사는 여자들은 고양이의 이러한 독립 정신에 끌린다는 겁니다.

 

서양에서는 남자들 중에서도 예술가처럼 독창적인 사람들이 고양이를 좋아한다고 모리스는 밝혔습니다.

 

가끔 고양이들이 밤새 우는 소리를 들으면 , 애기가 우는 것처럼 잘도 운다싶어서 머리가 쭈삣 서기도 하는데, 바로 그런 소리를 교묘하게 이용해 고양이가 주인을 마음대로 조종한다니, 고양이를 좋아하지 않는 저는 괜히 역시~”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고양이를 키우시는 분들은 매컴 교수의 주장을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하군요




Posted by
,

 

잘생긴 수컷은 교미 기회 많기 때문에 정액의 질 낮아

 

잘생긴 수컷은 교미 기회를 쉽게 잡을 수 있기 때문에 교미 때 정액을 조금씩밖에 쓰지 않는다는 얄궂은 짝짓기 이론이 영국에서 나왔다.

 

잘생긴 수컷은 정자를 아껴 묽은 정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수태가 잘 되지 않는 반면, 못생겨 인기 없는 수컷은 진한 정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자끼리의 경쟁에서는 못생긴 수컷이 더 유리하다는 학설이다.

 


정자 경쟁에서는 못생긴 수컷이 더 유리

 

정자 경쟁은 암컷이 여러 수컷과 교미하는 동물 종에서 암컷의 몸에서 정자끼리 펼치는 경쟁을 말한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과 옥스포드대학 연구진은 학술지 미국 박물학자(American Naturalist)’ 최근호에 발표한 논문에서 이런 주장을 펼쳤다.

 

잘생긴 수컷, 또는 쪼는 순서(pecking order)’가 높은 지배적 수컷은 수학적으로 보다 많은 암컷과 교미를 해야 하기 때문에 정액의 농도를 묽게 조정하고 그래서 암컷이 잘생긴 수컷의 새끼를 배는 게 쉽지 않다는 주장이다.

 


우두머리 수컷
, '강등'되면 정액 질 좋아져

 

연구자들은 닭 같은 가금류, 그리고 북극 지방의 차가운 물에 사는 곤들매기류(arctic char) 물고기에서 이런 현상이 발견된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실제로 닭 같은 가금류의 정액을 조사하면 쪼는 순서가 높은 지배적 수컷은 정액의 활동성이 다른 수컷들보다 떨어진다그러나 이렇게 쪼는 순서가 높은 수탉을 사람이 일부러 아래 계급으로 강등시키면 다시 정액의 활동성이 높아지는 것이 관찰된다고 밝혔다.

 

쪼는 순서가 위인 지배적 수컷은 교미 기회가 많기 때문에 활동성 높은 고급정액을 만들 필요가 없고, 반대로 교미 기회가 거의 주어지지 않는 아래 계급의 수탉은 단 한번의 기회라도 잡으면 반드시 수태를 시켜야 하기 때문에 고농도의 진한 정액을 뿜어낸다는 설명이다.

 


사람에게도 같은 원리 적용될지는 미지수

 

연구진이 이번에 제시한 원리에 따른다면 정자 경쟁에서는 잘생긴 지배적 수컷이 아니라 오히려 못생긴 아랫것수컷이 더 유리하게 된다.

 

이런 원리를 사람에게 적용하는 문제에 대해서 연구진은 조심스런 접근을 보였다. 연구진은 사람이나 다른 영장류에도 이런 원리가 적용될지는 아직 확실치 않다. 사람이 매력을 느끼는 과정은 복잡하고 문화적 요소도 있기 때문이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연구진은 매력과 교미 기회는 다른 동물 종에서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사람에게도 비슷한 영향력이 주어지는 게 아닐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책 읽는 북손탐의 재밌는 동영상>


Post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