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정의 의미, 표정 지은 뒤 어떤 행동 할지 척척 맞춰

사람 감정은 문화-종교가 만든 게 아니라 수백만년 전부터 있어온 것

 

독일 막스 플랑크 진화인류학 연구소에서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네요. 침팬지, 보노보, 고릴라, 오랑우탄이 사람의 얼굴 표정과 마음을 기가 막히게 읽어 낸다는 것입니다.

 

이들이 한 실험에 여러분도 한번 참가해 보십시오. 연구진은 긴 테이블 가운데를 투명한 플라스틱 판으로 막은 뒤 이쪽에는 연구진이, 플라스틱 판 저쪽에는 침팬지(17마리), 보노보(5마리), 오랑우탄(5마리), 고릴라(5마리) 등이 있게 했답니다.


컵 속을 보고 사람이 웃은 뒤 뭘 씹고 있다면 그 의미는?

 

테이블 위에는 엎어진 컵이 2개 있습니다. 한 사람이 컵 속의 내용물을 이들에게 보여 주지 않은 채 첫 번째 컵 아래를 들어올려 보고는 미소를 띄우고, 두 번째 컵을 올려보고는 찡그리는 표정을 짓습니다.

그리고 잠시 커튼으로 이들의 시야를 가린 채 사람은 손을 뻗어 두 컵 중 하나에서 뭔가를 꺼내 입에 넣고 씹어 먹습니다.

 

이어 칸막이를 치우고 두 컵 중 하나를 고르라고 유인원들에게 시킵니다. 그들은 어떤 컵을 고를까요? 당신이라면 어떤 컵을 먼저 여시겠습니까? 아까 그 사람이 들쳐 보고 웃었던 컵입니까, 아니면 찡그렸던 컵이니까?

 

대부분 유인원들은 찡그리게 만든 컵을 골랐답니다. 이상한가요? 사람을 찡그리게 만들었다면 분명 맛없는 게 들어 있을 텐데


이유 있는 선택

 

그런데 바로 이렇게 찡그리게 만드는 컵을 고르는 데 유인원들의 똑똑함이 드러난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사람이 들여다보고 행복한 미소를 지은 컵 속에는 벌써 그 사람이 꺼내 먹어 아무 것도 없을 테니까 아직 내용물이 남아 있을 찡그리게 하는 컵을 먼저 들쳐봐야 하나라도 먹을 걸 건질 수 있다는 것이지요.

 

게다가 사람과 유인원은 입맛이 서로 다른데 사람이 징그러워 하는 것이라고 유인원들이 못 먹을 이유도 없는 것 아니겠습니까?

 

이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침팬지 같은 유인원이 사람 얼굴표정의 내용(웃으면 좋은 것이고, 찡그리면 나쁜 것이라는)을 알뿐 아니라 그러한 표정에 따른 행동(좋은 것을 먼저 먹을 것이라는)까지도 예측함을 보여 준다고 연구진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저 사람은 지금 기분이 이럴 것이니, 이렇게 할 것이다"라고 넘겨집을 수 있다는 것이죠. 감정이입이 된다는 것입니다. 

 

침팬지, 보노보, 고릴라, 오랑우탄이 사람으로부터 갈라져 나간 것은 최소한 600만년 이전이죠. 사람과 이들 유인원의 공통 조상이 있었고, 진화를 거듭하면서 사람과 이들 유인원이 갈라졌다는 것이지요.


사람과 유인원 공통조상 때부터 감정-표정 있었다

 

그런데 사람의 얼굴 표정을 이들이 읽을 줄 안다는 것은 곧 공통 조상이 다양한 얼굴표정을 지을 수 있었다는 소리가 되죠.

공통의 유산이 있기 때문에 수백만 년 동안 각기 다르게 진화했어도 표정을 읽을 수 있다는 것이지요.

 

우리는 흔히 사람만 웃고 울고 미소 짓는다고 생각하지만 유인원 연구자들은 침팬지가 웃는다” “보노보가 미소 짓는다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옆에서 지켜 보면 이들이 웃고 울고 미소 짓는 게 보인다는 것이죠.

 

그리고 이러한 유인원들의 표정 중에서 제일 재밌는 것은 미소 짓는, 즉 입술을 들어 올려 이빨을 드러내 보이는 표정이죠. 사람이 이를 드러내는 것은 물겠다는 의사를 드러낼 때, 즉 화가 났을 때이기도 하지만 웃을 때도 이를 드러내죠.

 

침팬지가 입술을 말아 올려 이빨을 보이는 행동은 복종의 표시, 또는 자기보다 힘센 놈 앞에서 곤란할 때 짓는 표정이라고 하죠.

미국 에모리 대학의 영장류 학자 프란스 드 발은 자신의 책에서 강한 놈 앞에서 난처할 때 짓는 침팬지의 미소(이 드러내기)와 사람의 미소는 분명히 연관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침팬지도 썩소를 짓는다!

 

사람의 미소 중에는 썩소라는 게 있지 않습니까? 난처할 때 일부러 짓는 미소. 침팬지가 입술을 말아 올릴 때와 사람이 썩소를 지을 때는 둘 다 이빨을 드러내면서 비슷한 감정을 나타낸다는 것이지요.

 

여기다 침팬지와 사람의 표정에는 유사점이 많답니다. 새끼가 어미에게 뭔가를 달라고 할 때 입술을 내미는 것도 침팬지와 사람이 똑 같다고 하죠.

도움을 청할 때는 팔을 상대방에게로 내미는 것도 침팬지, 보노보와 사람이 같답니다.

 

그리고 이번 실험에서 드러난 또 한 가지 사실은 나이가 들수록 더 잘 맞췄다는 것입니다. 이들도 학습을 한다는 것을, 그래서 나이가 들수록 더 영리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죠.

 

인류와 유인원의 공통 조상이 웃을 줄 알고 찡그릴 줄 알았다면 이런 감정이 문화 때문에 생긴 게 아니라 생물학적으로, 즉 인간에게 기본적으로 갖춰져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종교는 번데기 앞에서 주름 잡지 말아라

 

이렇게 따진다면 인간의 양심, 도덕심, 서로 돕는 마음 등도 모두 생물학적 토대를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죠.

기껏해야 2천년 전에 생긴 종교가 하나님의 마음 그대로인간의 마음에 양심, 도덕심을 심어 준 게 아니란 소리입니다.

 

인간과 유인원이 나눠 갖는 감정의 역사가 최소한 600만 년 전인데 기껏해야 2(기독교)~4천년(이집트 종교) 밖에 안 되는 종교들이 도덕적 문제는 우리가 결정합네라고 도덕적 문제에 대한 권위를 잡는 것은 그야말로 번데기 앞에서 주름 잡는 격이죠. 

 

이번 연구를 통해 유인원의 마음을 함부로 볼 게 아니라는 것, 그리고 사람의 감정이 깊은 생물학적 뿌리를 갖는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따박따박 읽어내는 북손탐의 재밌는 동영상들>


건나블리 같은 언어 천재 만들고 싶다면?


 



고흐가 미쳤다고? 이렇게 맨정신인데? 

고흐는 열정만의 화가라고? 책을 이렇게나 많이 읽은 지식인인데? 

우리가 잘못 배운 빈센트의 진면모!


메시와 호날두 중에 누가 좋냐고? 

난 단연코 호날두!! 

왜냐고? 인간적이잖아!! 

동양인 비하하느라고 눈찢는 메시가 좋으니? 

호날두는 저런 천박한 짓 말라고 메시 같은 것들한테 아래위로 찢어주잖아.   

"아래위로 눈 찢어진 야만인들아!"라면서.


돈에 구애받지 않고 사는 법이 있다고라고라??


 

Posted by
,

고래의 숨구멍, 하이에나의 음핵 등
이상한 진화 디자인 10개를 제시

그러나 독자들 “최고의 진화 10가지인데 무슨 소리?”


최악의 진화 디자인 10가지 - Part 2


미국의 유명한 인터넷 관련 잡지 ‘와이어드(Wired)’가 최근호에서 ‘최악의 진화 디자인 10가지’를 제시했다가 관련 전문가들로부터 호된 비판을 받았다.

이 잡지가 제시한 10가지 이상한 진화 디자인은 다음과 같다.


1. 고래의 숨구멍: 바다 속에 사는 동물은 아가미를 통해 바닷물 속의 산소를 끄집어내 사용할 줄 알아야 한다. 고래나 돌고래처럼 허파의 크기를 키우고 콧구멍을 등쪽으로 보낸 것은 이상한 우회 수단일 뿐이다.



2. 하이에나의 클리토리스(음핵): 이 가짜 페니스는 새끼를 날 때는 두 배로 커지지만 아주 딱딱해지기도 하기 때문에 새끼가 빠져 나오다 찌부러져 죽는 수도 있다.




3. 캥거루의 젖꼭지: 막 태어난 캥거루 새끼는 아주 작고 약한데도 불구하고 엄마의 질에서 엄마의 배에 붙어 있는 주머니의 젖꼭지를 찾아서 혼자 엄마 배를 기어올라가야 한다.






4. 기린의 출산:
엄마 기린은 서서 새끼를 낳는데 새끼가 땅으로 떨어지는 높이는 1.5미터나 된다. 까딱하면 새끼가 터질 것 같다.




5. 골리앗 새 먹는 거미: 어른이 두 손을 다 펼쳐야 담을 수 있을 정도로 큰 이 거미는 나무에 올라가 새 같은 움직이는 먹이를 잡아먹는다. 그런데도 이 거미의 껍데기는 아주 약해 추락하면 바로 터진다. 거미니까 실을 뿜어내 떨어지지 않을 거라고? 이 거미는 심지어 실을 뿜어내지도 못한다.




6. 상어 새끼의 이빨: 일부 상어는 알을 낳는 대신에 새끼를 낳는다. 그런데 새끼들은 자궁 속에서 벌써 이빨이 자라기 시작해 가장 먼저 자라는 녀석이 늦게 자라는 다른 형제들을 자궁 속에서 잡아 먹는다. 음…… 형제들을!


7. 사람의 위장: 사람은 여러 음식을 소화시키지만 나무의 주요 구성성분인 셀룰로스는 분해하지 못한다. 왜 우리 위장은 공생하는 박테리아를 갖고 있지 않은가? 터마이트(흰개미)의 뱃속에 있는 박테리아는 열심히 셀룰로스를 열심히 분해해 터마이트를 돕는데….


8. 민달팽이의 성기: 암수한몸의 어떤 종은 성기를 서로의 몸에 감는다. 그 중 한 녀석이 멈춰서 있으면 다른 녀석은 성기를 씹어서 잘라낸다. 이 무슨 일?



9. 네발동물의 가려움증: 등에 상처가 나거나, 가렵거나, 벌레가 기어 다녀도 발을 댈 수가 없다. 참 고된 운명이며 어찌 할 수가 없기 때문에 근처에 나무둥지가 있기를 바랄 뿐이다.




10.  수컷 일각고래의 뿔: 뿔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이빨 하나가 턱을 뚫고 나와 계속 자라는 것이다. 최고 2m 75cm까지 자란다. 일각고래 왈 “선생님, 이빨이 아파요” 치과의사 왈 “그럴 만 하구나.”



오늘은 일단 이 10가지를 소개하기로 하죠. 내일은 이렇게 선정된 10가지 최악의 진화에 대해 전문가와 독자들이 쏟아 부은 반박과 정정, 비난을 모아서 올려 보겠습니다. 


<책 읽는 북손탐의 추천 동영상>



Posted by
,

800-1000만 년 전 살아


‘사람 뜯어먹는 강 물고기’로 유명한 남미의 피라냐의 대형 선조가 발견됐다고 해서 화제다. 현재의 피라냐는 대개 30cm 정도 크기인데 800-1000만 년 전에 살았을 것으로 여겨지는 피라냐의 조상 ‘메가피라냐(학명 Megapiranha pananensis)는 1미터가 넘는 대형이었을 것으로 화석 증거를 통해 드러났다.

메가피라냐 화석은 1980년 아르헨티나의 북동부 강변에서 발견됐는데 그간 화석 보관소에 방치돼 있다가 아르헨티나 학자들이 우연히 이 화석을 다시 발견해 최근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위 그림은 화석을 토대로 재구성한 메가피라냐 모습이다.


지그재그형 이빨이 현재 피라냐와 달라

메가피라냐 화석의 특징은 지그재그 형태로 된 이빨이 7개 아래 위 턱에 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현재의 피라냐는 한줄로 가지런한 6개 이빨을 갖고 있다. 학자들은 파쿠(pacu)라는 초식성 물고기(이빨이 두 줄) --> 메가피라냐(이빨이 1.5줄로 지그재그 형태) --> 피라냐(이빨이 한 줄) 순으로 진화한 것으로 보고 있다.

왼쪽 사진은 메가피라냐의 지그재그형 이빨 사진이다.

메가피라냐는 이빨이 7개인데 현재의 피라냐는 6개인데 대해 학자들은 “이빨 하나가 사라졌을 것”이라는 해석과 “지그재그 상태에서 한 줄로 이빨 형태가 바뀌면서 이빨 두 개가 붙어 하나로 됐을 것”이라는 또 다른 해석을 각각 내놓고 있다.

동료 피라냐 살 베어먹는 피라냐

피라냐는 사람을 뜯어먹는 물고기라고 유명해졌지만 실제로 피라냐가 사람을 무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오히려 피라냐는 낚시꾼들이 잡은 물고기를 사정없이 물어뜯는다.

피라냐들은 특히 동료 피라냐들이 낚싯줄에 잡히더라도 사정없이 물어뜯는다. 따라서 피라냐는 성한 모습으로 물 밖으로 잡혀 나오는 경우가 거의 없다. 동료들에 물어뜯겨 살점이 뭉턱뭉턱 떨어져 나간 상태로 물 밖으로 잡혀 나온다.



<책 읽는 북손탐의 '피가 되고 살이 되는' 재밌는 동영상>






Post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