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입, 눈-눈 사이 거리의 비율이 중요

눈과 입 사이의 아래위 길이가 전체 얼굴 길이의 36%, 눈과 눈 사이의 양옆 길이가 얼굴 폭의 46%일 때 가장 매력적인 여자 얼굴이 된다는 새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 출처=토론토대학)

미인 얼굴의 황금비율이 새롭게 도출됐다. 눈과 입 사이의 수직 거리가 전체 얼굴길이의 36%, 눈과 눈 사이의 수평 거리가 얼굴 폭(가로 길이)의 46%일 때 여자 얼굴이 가장 매력적으로 보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건강 포털 코메디닷컴이 보도했다.

미국 캘리포니아대 샌디에이고 캠퍼스와 캐나다 토론토대 공동연구진은 이상적인 미인 얼굴 비율을 찾기 위해 눈과 입 사이 거리와 두 눈 사이의 거리를 각각 다르게 컴퓨터로 합성한 여자 얼굴 사진 여러 장을 놓고 대학생들이 네 번에 걸쳐 가장 매력적이라고 느끼는 사진을 고르도록 했다.

그 결과, 얼굴의 길이 및 폭과 관련된 황금비율을 산출할 수 있었다. 눈과 입 사이의 아래위 길이가 전체 얼굴길이의 36%, 눈과 눈 사이의 양옆 길이가 전체 얼굴 폭의 46%를 차지할 때 판정자들은 “가장 매력적”이라고 말했다. 

고대 그리스의 인체 황금비율과는 달라

재미난 점은 이러한 비율이 보통 얼굴에서 찾아보기 쉬우며 고대 그리스인들이 생각했던 황금비율과는 거리가 멀다는 사실이었다. 고대 그리스인들의 황금비율은 원의 직경과 원둘레의 비율 즉 원둘레율(원주율)로 파이(π)로 표시됐다.

연구진은 “고대 그리스인이 예술 작품에서 많이 사용한 신적인 황금비율은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모나리자 등 예술작품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며 “이러한 비율이 특별하다는 어떤 근거도 지금까지 밝혀진 것이 없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는 사람들이 실제로 매력적이라 느끼는 얼굴 비율을 연구했기 때문에 더 실제적 가치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또한 큰 눈, 도톰한 입술 같은 얼굴의 각 구성 요소의 매력도 미인을 만드는 데 중요하다는 점을 밝혔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길이의 비율이었다. 사람들이 헤어 스타일을 바꿨을 때 갑자기 더 매력적으로 또는 덜 매력적으로 보이는 이유는 바로 헤어 스타일이 얼굴의 비율을 다르게 보이도록 만들기 때문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학술지 ‘시각 연구(Vision Research)’ 최신호에 실렸다.


<책 읽는 북손탐의 재밌는 동영상>



Posted by
,

남자는 우울감에서 벗어나지만 여자는 큰 차이없어

춤, 연주, 회화 같은 예술활동을 즐기거나 극장, 콘서트홀에 가기만 해도 남자의 건강이 좋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남성의 문화 생활은 우울감을 떨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노르웨이과학기술대 조스테인 홀멘 교수팀은 노르웨이의 지역 건강조사에 참여한 남녀 4만82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면접, 병력 검토를 하고 소변과 혈액을 분석했다.

그 결과 문화생활을 즐기는 남녀는 자신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남자는 문화생활을 즐기면 우울감에서 벗어나는 경향이 분명했지만 여성에게서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놀랄 만한 사실은 문화활동이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는 상관없이 행복감을 준다는 것이다.

연구진이 사회경제적 지위, 만성질환, 흡연과 음주 같은 요소를 포함해 검토했더니 트럭운전수든 은행장이든 상관없이 그림을 그리거나 극장에 가거나 음악을 듣는 것으로 개인의 건강과 행복이 더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문화생활을 하면서 느끼는 행복감이 우울증 감소에는 효과가 있었지만 불안감을 없애 주지는 못했다. 홀멘 교수는 “문화생활이 건강을 100% 보장해 주는 것은 아니지만 여러 각도에서 삶을 건강하게 만드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노르웨이 건강 회의(Norwegian health conference)’에서 지난 11월에 발표됐다.





Posted by
,
손 작을수록 촉감세포 몰려 있기 때문

손의 감각은 손이 작을수록 더 예민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온타리오의 맥마스터대학 다이엘 골드레이크 박사 팀은 18~27세 남녀 50명씩을 대상으로 손가락 민감도를 측정했다. 방법은 폭이 점점 좁아지는 홈의 압력을 손끝으로 느끼도록 하는 것이었다. 연구진은 이들의 손가락 크기도 함께 측정했다.

 

그 결과, 집게손가락이 짧은 사람일수록 작은 홈을 더 잘 구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끝의 부드러움과 유연성은 촉각 민감도와 상관없었다. 일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촉각이 예민한 것은 여성이 남성보다 손가락이 작기 때문이며, 성별 차이 때문이 아니라고 연구진은 밝혔다. 남자라도 손가락이 여자보다 작으면 손가락이 큰 여자보다 촉각이 더 예민했다.

 

손가락이 작은 사람의 촉각이 예민한 것은메르켈 세포(Merkel cells)’로 불리는 접촉 자극 세포가 좁은 면적에 더 촘촘히 몰려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연구진은 추측했다. 메르켈 세포는 접촉 자극에 대한 정보를 뇌에 제공하는 감각수용 세포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메르켈 세포를 찾아 비교하기 위해 실험 참여자들의 땀구멍 사이 거리를 측정했다. 메르켈 세포는 땀구멍 주위에 몰려 있다. 손가락이 작은 사람은 땀구멍 밀도가 다른 사람보다 더 높다. 이런 사람은 메르켈 세포 사이의 간격이 좁아 메르켈 세포 밀도가 높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골드레이크 교수는신경과학자들은 사람에 따라 촉각이 다르다는 사실은 알고 있지만 왜 그런지는 정확히 몰랐다이번 연구는 손가락 크기가 촉각의 민감도를 결정하는 중요 요소라는 것을 보여 줬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신경과학저널(The Journal of Neuroscience)’ 최신호에 실렸다.



<책 읽는 북손탐의 추천 동영상>



<3.1절 100주년 속살읽기 시리즈~>


[①] 남한의 3.1절과 북한의 3.1절이 다르다고? ‘3월 김정은 답방’을 앞두고 해석 통일 하려면?






[②] 유치장으로 ‘도피’한 민족대표 33인에 대해 일본 학계 “33인은 어떻게 봐도 어이없는데, 33인을 대단하다고 가르치는 남한은 쫌 이상” 혹평





[③] 18살 함석헌 소년은, 3월 1일 그날 일본경찰 코앞에 태극기 마구마구 흔들었는데 어떻게 살아남았을까?






[3.1운동 속살읽기 ④] “죽기 딱 좋은 날”이라며 3.1거사 반기고 준비한 남강 이승훈 선생의 결기와 실행







<설날에도 항일의 냄새가? 시리즈>


[①] 윤치호는 왜 “총독부가 아무리 '왜설날' 강요해도 조선인은 끝내 설 쇤다”고 썼나?






[②] 염상섭의 ‘지 선생’은 어떻게 침뱉어 만세 부르고, 총독부는 이를 ‘정의롭게’ 만들어줬나








 


Posted by
,